역주 법화경언해 권4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4
  • 5백제자수기품 제8
  • 5. 계주의 비유 [1] 오백 아라한의 기쁨과 자책
메뉴닫기 메뉴열기

5. 계주의 비유 [1] 오백 아라한의 기쁨과 자책


五. 五百自慶 四○初. 陳情
爾時五百阿羅漢이 於佛前에 得授記已와 歡喜踊躍야 卽從座起야 到於佛前야 頭面禮足고 悔過自責호 世尊하 我等이 常作是念야 自謂已得究竟滅度호라다소니 今乃知之호니

법화경언해 권4:36ㄱ

如無智者다다 所以者何ㅣ어뇨 我等이 應得如來ㅅ 智慧어늘 而便自以小智로 爲足다다

〔본문〕

법화경언해 권4:36ㄱ

그  五百 阿羅漢이 佛前에 受記 得와 주001)
득(得)와:
얻어. 득(得)-+오+아/어.
歡喜 踊躍야 즉재 座 從야 니러 주002)
니러:
일어나. 닐-[起].
佛前에 다라 주003)
다라:
다다라. 다-[到].
頭面으로 바래 주004)
바래:
발에. 발[足].
저고 주005)
저고:
절하옵고. 절하고.
허믈 주006)
허믈:
허물[過].
뉘으처 주007)
뉘으처:
뉘우쳐. 뉘읓-[悔].
주008)
제:
스스로가. 저+ㅣ. 평성은 매김자리.
責호 주009)
책(責)호:
꾸짖되. 책(責)-.
世尊 주010)
-하:
-시여. -이시여.
우리 녜 이 念을 야 내 너교 마 究竟 주011)
구경:
궁극.
滅度 得호라 다소니 주012)
다소니:
하더니.
오 주013)
오:
오늘에야. 오[今日]+.
아로니 주014)
아로니:
아니. 알-[知].
智慧 업스니 다다 주015)
다다:
같았습니다.
잇뎨어뇨 주016)
잇뎨어뇨:
어찌된 것이냐? 엇뎨[何]+이+거+뇨.
우리 如來ㅅ 智慧 得리어늘 주017)
득(得)리어늘:
얻을 것이거늘. 득(得)-+리+어늘.
곧 내 小智로 足 삼다다 주018)
삼다다:
삼았습니다. 삼-[爲]+더+오/우++다.

〔본문〕 그 때에 5백 아라한이 부처님 앞에 수기를 얻어 환희 용약하여 즉시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앞에 다다라 머리를 발에 대어 절하고 허물을 뉘우쳐 스스로 책하기를, “세존이시여, 저희가 늘 이런 생각을 하여 제가 여기기를 ‘이미 궁극의 멸도를 얻었다.’고 했었는데, 오늘에서야 안 것이 지혜 없는 이와 같았습니다. 왜냐 하면 저희는 여래의 지혜를 얻었어야 할 것이었는데, 곧 저의 작은 지혜로 만족함을 삼았었습니다.

법화경언해 권4:36ㄴ

悔責者 悔昔之失고 慶今之得也ㅣ라 如來ㅅ 智慧 卽一切種智니 我等이 應得이어 而悔不早悟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9월 2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4:36ㄴ

뉘으쳐 주019)
뉘으쳐:
뉘우치게 하여. ‘뉘으치-’은 ‘뉘읓-’의 하임말.
責호 주020)
책(責)호:
꾸짖음은.
주021)
녯:
옛[昔].
일후믈 주022)
일후믈:
잃음을. 잃-[失]+옴/움+을.
뉘읏고 주023)
뉘읏고:
뉘우치고. 뉘읓-[悔]+고.
오 어두 주024)
어두:
얻음을. 얻-[得]+옴/움+.
慶賀호미라 如來ㅅ 智慧 곧 一切種智 주025)
일체종지:
부처님의 지혜.
니 우리 得리어늘 주026)
일:
일찍[早].
아디 몯호 주027)
몯호:
못함을. 몯-+옴/움+.
뉘으츠니라 주028)
뉘으츠니라:
뉘우치는 것이다. 뉘읓-+으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9월 2일

〔요해〕 뉘우쳐서 자책함은 옛적에 잃은 것을 뉘우치고, 오늘 얻음을 경하함이다. 여래의 지혜는 곧 일체종지이니, 우리가 얻을 것이거늘, 일찍 알지 못했음을 뉘우친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2년 9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득(得)와:얻어. 득(得)-+오+아/어.
주002)
니러:일어나. 닐-[起].
주003)
다라:다다라. 다-[到].
주004)
바래:발에. 발[足].
주005)
저고:절하옵고. 절하고.
주006)
허믈:허물[過].
주007)
뉘으처:뉘우쳐. 뉘읓-[悔].
주008)
제:스스로가. 저+ㅣ. 평성은 매김자리.
주009)
책(責)호:꾸짖되. 책(責)-.
주010)
-하:-시여. -이시여.
주011)
구경:궁극.
주012)
다소니:하더니.
주013)
오:오늘에야. 오[今日]+.
주014)
아로니:아니. 알-[知].
주015)
다다:같았습니다.
주016)
잇뎨어뇨:어찌된 것이냐? 엇뎨[何]+이+거+뇨.
주017)
득(得)리어늘:얻을 것이거늘. 득(得)-+리+어늘.
주018)
삼다다:삼았습니다. 삼-[爲]+더+오/우++다.
주019)
뉘으쳐:뉘우치게 하여. ‘뉘으치-’은 ‘뉘읓-’의 하임말.
주020)
책(責)호:꾸짖음은.
주021)
녯:옛[昔].
주022)
일후믈:잃음을. 잃-[失]+옴/움+을.
주023)
뉘읏고:뉘우치고. 뉘읓-[悔]+고.
주024)
어두:얻음을. 얻-[得]+옴/움+.
주025)
일체종지:부처님의 지혜.
주026)
일:일찍[早].
주027)
몯호:못함을. 몯-+옴/움+.
주028)
뉘으츠니라:뉘우치는 것이다. 뉘읓-+으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