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4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4
  • 제바달다품 제12
  • 5. 팔세 용녀의 성불 [3] 지적보살의 의심
메뉴닫기 메뉴열기

5. 팔세 용녀의 성불 [3] 지적보살의 의심


十一. 束敎疑難
智積菩薩이 言샤 我ㅣ 見釋迦如來오니 於無量劫에 難行苦行샤 積功累德샤 求菩提道샤 未曾止息시니 觀三千大千世界혼댄 乃至無有如芥子許도 非是菩薩ㅅ 捨身命處ㅣ시니 爲衆生故로 然後에 乃得成菩提道시니 不信此女ㅣ 於須臾頃에 便成正覺이로소다

〔본문〕

법화경언해 권4:173ㄱ

智積菩薩이 니샤 내 釋迦如來 보오니 주001)
보오니:
보니.
無量 劫에 難行 주002)
난행:
닦기 어려운 수행.
苦行 주003)
고행:
견디기 어려운 수행.
샤 功 모도시며 주004)
모도시며:
모으시며. 모도-[集].
더으샤 주005)
더으샤:
더하시어. 더으-[加].
菩提 道 求샤 긴(간)도 쉬디 아니시니 三千大千 世界 본댄 芥子 주006)
개자:
겨자.
마도 주007)
마도:
만큼.
이 菩薩ㅅ 몸 목숨 리신 주008)
리신:
버리신. 리-[捨].
주009)
:
땅. 곳.
아닌  업수메 니르르시니 주010)
니르르시니:
이르시니.
衆生 爲신 젼로 주011)
젼로:
까닭으로.
그리신 後에 菩提道 시러 일우시니 주012)
일우시니:
이루시니. [成].
이 女ㅣ 아니 한 더데 주013)
아니 한 더데:
잠깐 동안.
곧 正覺 일우 信티 몯리로소다 주014)
몯리로소다:
못 할 것입니다.

〔본문〕 지적보살께서 이르시되, “제가 석가여래를 뵈오니, 한량없는 겁에 난행과 고행을 하시어 공을 모으시며 덕을 더하시어 보리의 도를 구하시되 잠깐도 쉬지 않으시니 3천대천세계를 보건대 겨자만큼도 이 보살의 몸의 목숨을 버리신 땅 아닌 곳이 없는 지경에 이르시니, 중생을 위하신 까닭으로 그렇게 하신 후에야 보리도를 능히 이루시니, 이 딸이 잠깐 동안에 곧 정각을 이루었다는 것을 믿지 못하겠나이다.”

此 執別敎之迹샤 疑圓頓之理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9월 2일

〔요해〕 이 別敎 주015)
별교:
화법(化法) 4교의 l. 만유(萬有)에 차별이 없이 평등함을 깨달으라고 가르치신 교법.
자최 주016)
자최:
자취.
자샤 주017)
자샤:
잡으시어.
圓頓理 주018)
원돈리:
원돈의 이치. 원돈은 모든 것을 갖추고 당장 깨달아 성불함.
 疑心시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9월 2일

〔요해〕 이는 별교의 자취 주019)
자취:
‘적(迹)’의 번역.
를 잡으시어 원돈의 이치를 의심하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2년 9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보오니:보니.
주002)
난행:닦기 어려운 수행.
주003)
고행:견디기 어려운 수행.
주004)
모도시며:모으시며. 모도-[集].
주005)
더으샤:더하시어. 더으-[加].
주006)
개자:겨자.
주007)
마도:만큼.
주008)
리신:버리신. 리-[捨].
주009)
:땅. 곳.
주010)
니르르시니:이르시니.
주011)
젼로:까닭으로.
주012)
일우시니:이루시니. [成].
주013)
아니 한 더데:잠깐 동안.
주014)
몯리로소다:못 할 것입니다.
주015)
별교:화법(化法) 4교의 l. 만유(萬有)에 차별이 없이 평등함을 깨달으라고 가르치신 교법.
주016)
자최:자취.
주017)
자샤:잡으시어.
주018)
원돈리:원돈의 이치. 원돈은 모든 것을 갖추고 당장 깨달아 성불함.
주019)
자취:‘적(迹)’의 번역.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