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4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4
  • 5백제자수기품 제8
  • 5. 계주의 비유 [2] 비유를 들다 1
메뉴닫기 메뉴열기

5. 계주의 비유 [2] 비유를 들다 1


二. 喩今緣
於後에 親友ㅣ 會遇見之고 而作是言호 咄哉丈夫ㅣ여 何爲衣食야 乃至如是오

법화경언해 권4:39ㄱ

我ㅣ 昔에 欲令汝 得安樂야 五欲自恣케 코져 야 於某年日月에 以無價寶珠로 繫汝衣裏호니 今故現在어 而汝ㅣ 不知고 勤苦憂惱야 以求自活니 甚爲癡也ㅣ로다 汝ㅣ 今에 可以此寶로 貿音茂易所須ㅣ니 常可如意야 無所乏短리라 니

〔본문〕

법화경언해 권4:39ㄴ

後에 親 버디 맛나 보고 이 마 호 주001)
호:
하되. -+오+.
주002)
:
아[咄]. 감탄사.
丈夫ㅣ여 엇뎨 주003)
엇뎨:
어찌[何].
衣食 爲야 이 호매 주004)
호매:
같음에. -+옴/움+애.
니르뇨 주005)
니르뇨:
이르렀느냐?
주006)
녜:
예. 옛적. [昔].
너를 安樂 得야 五欲 주007)
5욕:
5욕락. 재물욕, 색욕, 음식욕, 명예욕, 수면욕 등 인간의 다섯 가지 근본 욕망.
주008)
제:
스스로가.
케 주009)
케:
자의(恣意)로 하게. 마음대로 하게.
코져 주010)
코져:
하고자. ‘고져’의 축약.
야 아모 年日月에 값 업슨 寶珠로 네 옷 소배 주011)
옷 소배:
옷 속에. 솝[裏].
요니 주012)
요니:
매니. -+오+니.
이제 그저 現야 잇거늘 네 아디 몯고 주013)
몯고:
못하고. 몯-+고.
브즈러니 苦이 주014)
苦이:
괴로이.
시름야 주015)
제:
스스로의.
사로 주016)
사로:
사는 것을. 살-[活]+옴/움+.
求니 甚히 迷惑도다 네 오 어루 주017)
어루:
가히[可].
이 보로 求논 거슬 貿易홀 띠니 주018)
무역(貿易)홀 띠니:
貿易할 것이니. 무역(貿易)-+오+////+ㅣ+니.
녜 어루 다이 주019)
다이:
뜻대로.
야 업슨 것 업스리라 니

〔본문〕 후에 찬한 벗니 만나보고, 이 말을 하되, “ 아, 이 장부야, 어찌 의식을 위해 이와 같음에 이르렀느냐? 내가 전에 너로 하여 안락함을 얻게 하여 5욕을 스스로 다하게 하여(=하고자) 아무 해, 아무 달 아무 날에 값없는 보배구슬을 네 옷 속에 매어 두었는데, 이제 그대로 나타나(=남아) 있거늘, 너는 알지 못하고 부지런히 괴롭게 근심하여 스스로 삶을 구하니, 심히 미혹하도다. 너는 오늘 가히 이 보배로 〈네가〉 구하는 것을 무역할지니(=살 것이니), 〈그러면 너는〉 늘 가히 뜻대로 〈하여〉 없는 것이 없으리라.“ 고 했다.

親友ㅣ 會遇 譬今復値佛고 咄叱警戒 譬呵小進大고 言丈夫者 指大乘種

법화경언해 권4:40ㄱ

性샤 而警進之也ㅣ시니 餘意 如下合顯니라 貿易所須 譬卽性야 發揮면 當得大利也 니라 以時物로 遷貨씨 曰貿ㅣ오 以有로 易無씨 曰易이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9월 2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4:40ㄱ

親 버디 맛나 이제  부텨 맛나오 가비고 주020)
가비고:
비유하고. 가비-++고.
구지저 주021)
구지저:
꾸짖어. 구짖-[叱].
警戒호 져고 주022)
져고:
적음을.
구지즈샤 주023)
구지즈샤:
꾸짖으시어.
큰 게 나샤 주024)
나샤:
나아오게 하심을. 나-+시+옴/움+.
가비고 丈夫ㅣ라 닐오 大乘 種性 주025)
종성:
중생의 본성.
치샤 주026)
치샤:
가리키시어. 치-+시+아/어.
警戒야 나샤미니 녀나 든 아래 어울워 주027)
어울워:
어울게 하여. ‘어울우-’는 ‘어울다[合]’의 하임말.
나토미 주028)
나토미:
나타냄이. 나토-[顯].
니라 求논 것 貿易호 性에 나가 펴면 반기 큰 利 得  주029)
得 :
얻을 것을. 得-+  +ㄹ.
가비니라 주030)
가비니라:
비유하는 것이다. 가비-+니+라.
時節ㅅ 거스로 쳔 주031)
쳔:
재물.
옮길 씨 주032)
옮길 씨:
옮기는 것이.
닐온 貿ㅣ오 잇 거스로 업슨 것 밧골 씨 주033)
밧골 씨:
바꾸는 것이. 밧고-[易].
易이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9월 2일

〔요해〕 ‘친한 벗을 만남’은 이제 또 부처님 만남을 견주고, ‘꾸짖어 경계함’은 적은 것을 꾸짖으시어 큰 것에 나아가게 하심을 견주시고 ‘장부’라고 이르심은 대승의 종성을 가리키시어 경계하여 나아가게 하심이니, 다른 뜻은 아래 합해서 나타냄과 같은 것이다. ‘구하는 것을 무역함’은 본성에 나아가 펴면 반드시 큰 이익 얻을 것을 견주신 것이다. 〈그〉 시절에 〈난〉 것으로 재물을 옮기는 것이 ‘무’이고, 있는 것으로 없는 것 바꾸는 것이 ‘역’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2년 9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호:하되. -+오+.
주002)
:아[咄]. 감탄사.
주003)
엇뎨:어찌[何].
주004)
호매:같음에. -+옴/움+애.
주005)
니르뇨:이르렀느냐?
주006)
녜:예. 옛적. [昔].
주007)
5욕:5욕락. 재물욕, 색욕, 음식욕, 명예욕, 수면욕 등 인간의 다섯 가지 근본 욕망.
주008)
제:스스로가.
주009)
케:자의(恣意)로 하게. 마음대로 하게.
주010)
코져:하고자. ‘고져’의 축약.
주011)
옷 소배:옷 속에. 솝[裏].
주012)
요니:매니. -+오+니.
주013)
몯고:못하고. 몯-+고.
주014)
苦이:괴로이.
주015)
제:스스로의.
주016)
사로:사는 것을. 살-[活]+옴/움+.
주017)
어루:가히[可].
주018)
무역(貿易)홀 띠니:貿易할 것이니. 무역(貿易)-+오+////+ㅣ+니.
주019)
다이:뜻대로.
주020)
가비고:비유하고. 가비-++고.
주021)
구지저:꾸짖어. 구짖-[叱].
주022)
져고:적음을.
주023)
구지즈샤:꾸짖으시어.
주024)
나샤:나아오게 하심을. 나-+시+옴/움+.
주025)
종성:중생의 본성.
주026)
치샤:가리키시어. 치-+시+아/어.
주027)
어울워:어울게 하여. ‘어울우-’는 ‘어울다[合]’의 하임말.
주028)
나토미:나타냄이. 나토-[顯].
주029)
得 :얻을 것을. 得-+  +ㄹ.
주030)
가비니라:비유하는 것이다. 가비-+니+라.
주031)
쳔:재물.
주032)
옮길 씨:옮기는 것이.
주033)
밧골 씨:바꾸는 것이. 밧고-[易].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