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4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4
  • 견보탑품 제11
  • 1. 다보불탑의 출현 [1] 다보불탑의 장엄 2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다보불탑의 출현 [1] 다보불탑의 장엄 2


寶塔의 殊勝은 乃果行依報ㅣ시고 諸莊嚴具 彰果行德用也시니라 種種莊校 卽萬德之像이시고 五千欄楯은 卽摠持之力이시고 龕室千萬은 應慈悲無量也ㅣ시고 幢幡無數 應摧邪表正也ㅣ시고 垂寶瓔珞은 卽衆善下化ㅣ시고 寶鈴萬億은 卽法音廣振이시고 四面出香은 表神通이 四達샤 如意周遍시고 七寶幡盖ㅣ 高至天宮은 表衆德의 尊勝也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9월 2일

〔본문〕

법화경언해 권4:109ㄴ

寶塔의 殊勝은 果行 주001)
과행:
‘과’는 원인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모든 법. 부처의 과는 불과, 묘과 또는 무상과라 함. ‘행’은 일체의 유위법(有爲法). 연(緣)을 따라서 모여 일어나고 만들어진다는 뜻.
依報 주002)
의보:
인간의 심신이 의지할 대상. 국토·가옥·의복·식물 등.
ㅣ시고 여러 가짓 莊嚴엣 거슨 果行 德用 주003)
덕용:
사용하여 이익이 됨.
나토시니라 주004)
나토시니라:
나타내신 것이다.
種種 뮤믄 주005)
뮤믄:
꾸밈은.
곧 萬德像이시고 五千 欄楯은 곧 摠持 주006)
총지:
다라니의 번역. 한없는 뜻을 포함하여 잃어지지 않게 하는 것. 또는 선법을 가져 잃지 않고 악법을 가져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

법화경언해 권4:110ㄱ

ㅅ히미시고 龕室 千萬은 慈悲 無量을 應시고 幢幡 無數 邪曲 것고 正 나토샤 應시고 보 瓔珞 드리우믄 곧 한 善으로 化 리오샤미오 주007)
리오샤미오:
내리게 하심이고.
寶鈴 주008)
보령:
진보(珍寶)의 풍령(風鈴).
萬億은 곧 法音의 너비 振動샤미오 四面에 香 나 주009)
나:
남은. 나는 것은.
神通이 四方애 샤 주010)
샤:
통하시어. -[徹].
다이 주011)
다이:
뜯대로.
周遍호 表시고 七寶 幡蓋 주012)
번개:
‘번’은 당번. 부처나 보살의 위덕을 표시하는 장식 도구. ‘개’는 일산(日傘). 나중에 변하여 불좌 또는 높은 좌대를 덮는 장식품이 됨.
ㅣ 노 天宮에 다로 衆德의 尊勝을 表시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9월 2일

〔본문〕 보탑의 뛰어남은 과행 의보이시고 여러 가지의 장식품들은 과행 덕용을 나타내신 것이다. 갖가지 꾸밈은 곧 수많은 덕을 갖추신 모습이시고 5천 난순은 곧 총지의 힘이시고 감실 천만은 자비가 한없으심을 응하시고(=표하신 것이고) 당번의 무수함은 사곡함을 꺾고 올바름을 나타내심을 응하신 것이고 보배 영락 드리움은 곧 많은 선으로 교화를 내리심이고 보령 만억은 곧 법음이 널리 진동하심이고 4면에서 향이 피어남은 신통이 4방에 사무치시어 뜻대로 두루 미침을 나타내신 것이고 칠보 번개가 높이가 천궁에 다다름은 여러 가지 덕이 높고 거룩한 것을 나타내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2년 9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과행:‘과’는 원인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모든 법. 부처의 과는 불과, 묘과 또는 무상과라 함. ‘행’은 일체의 유위법(有爲法). 연(緣)을 따라서 모여 일어나고 만들어진다는 뜻.
주002)
의보:인간의 심신이 의지할 대상. 국토·가옥·의복·식물 등.
주003)
덕용:사용하여 이익이 됨.
주004)
나토시니라:나타내신 것이다.
주005)
뮤믄:꾸밈은.
주006)
총지:다라니의 번역. 한없는 뜻을 포함하여 잃어지지 않게 하는 것. 또는 선법을 가져 잃지 않고 악법을 가져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
주007)
리오샤미오:내리게 하심이고.
주008)
보령:진보(珍寶)의 풍령(風鈴).
주009)
나:남은. 나는 것은.
주010)
샤:통하시어. -[徹].
주011)
다이:뜯대로.
주012)
번개:‘번’은 당번. 부처나 보살의 위덕을 표시하는 장식 도구. ‘개’는 일산(日傘). 나중에 변하여 불좌 또는 높은 좌대를 덮는 장식품이 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