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5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5
  • 안락행품 제14
  • 2. 수행방법을 해석하다 [4] 게송으로 거듭 설하다 ① 입의 안락행의 행법 3
메뉴닫기 메뉴열기

2. 수행방법을 해석하다 [4] 게송으로 거듭 설하다 ① 입의 안락행의 행법 3



〔본문〕

법화경언해 권5:37ㄴ

淸淨 해 床座 주001)
상좌:
누을 때 쓰는 도구.
펴고 기르므로 주002)
기르므로:
기름으로. 기름[油]+으로.
모매 며 듣글 주003)
듣글:
티끌.
 주004)
:
때를.
싯고 주005)
싯고:
씻고.
새 조 옷 니버 주006)
니버:
입어. 닙-[著]+어.
안팟기 주007)
안팟기:
안팎이. 안-[內外]+이.
조커 주008)
조커:
깨끗해야. 좋-[淨]+거.
法座애 便安히 處야 무루믈 주009)
무루믈:
물음을. 묻-[問]+움+을.
조차 爲야 닐올띠니

〔본문〕 청정한 땅에 상좌 펴고 기름으로 몸에 바르며, 티끌과 때를 씻고 새 깨끗한 옷 입어 안팎이 다 깨끗하여야 법좌에 편안히 처하여 물음을 좇아 위하여 이를 것이니,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淨身 주010)
정신:
청정한 몸.
淨衣 주011)
정의:
기도할 때 입는 깨끗한 옷.
 조 을 주012)
을:
모양을.
즐겨 샤미 아니라 心淨 주013)
심정:
마음의 올바른 이해.
說法淨 주014)
설법정:
설법의 올바른 이해.

법화경언해 권5:38ㄱ

맛게 코졔시니 주015)
맛게 코졔시니:
맞게 하고자 이시니.
그럴 니샤 內外 다 조타 시니라 便安히 處샤 무룸 조샤 모 虛케 샤 物應샤미 부픠 주016)
부픠:
북의. 종의. 붚-[鍾]+의.
주017)
튬:
침. 티-[扣]+움.
기드리 주018)
기드리:
기다리듯.
실 씨라 西方이 香 기르므로 조 뮤믈 주019)
뮤믈:
꾸밈을. 미-[飾]+움+을.
삼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정신과 정의는 깨끗한 모양을 즐겨 하심이 아니라 심정과 설법정에 맞게 하고자 이시니, 그러므로 이르시되, 내외가 다 깨끗하다고 하신 것이다. 편안히 처하시어 물음을 좇으심은 몸을 허하게 하시어 물응하심이 북의 침을 기다리듯 하신 것이다. 서방이 향 기름으로 깨끗한 꾸밈을 삼는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2년 12월 5일

주석
주001)
상좌:누을 때 쓰는 도구.
주002)
기르므로:기름으로. 기름[油]+으로.
주003)
듣글:티끌.
주004)
:때를.
주005)
싯고:씻고.
주006)
니버:입어. 닙-[著]+어.
주007)
안팟기:안팎이. 안-[內外]+이.
주008)
조커:깨끗해야. 좋-[淨]+거.
주009)
무루믈:물음을. 묻-[問]+움+을.
주010)
정신:청정한 몸.
주011)
정의:기도할 때 입는 깨끗한 옷.
주012)
을:모양을.
주013)
심정:마음의 올바른 이해.
주014)
설법정:설법의 올바른 이해.
주015)
맛게 코졔시니:맞게 하고자 이시니.
주016)
부픠:북의. 종의. 붚-[鍾]+의.
주017)
튬:침. 티-[扣]+움.
주018)
기드리:기다리듯.
주019)
뮤믈:꾸밈을. 미-[飾]+움+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