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5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5
  • 안락행품 제14
  • 2. 수행방법을 해석하다 [1] 몸의 안락행 ② 보살의 첫째 친근할 곳 7
메뉴닫기 메뉴열기

2. 수행방법을 해석하다 [1] 몸의 안락행 ② 보살의 첫째 친근할 곳 7



〔본문〕  聲聞 주001)
성문:
석존의 음성을 들은 불제자. 곧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깨달은 성자를 가리킴.
求 比丘 주002)
비구:
출가하여 구족계 받은 남자 승려.
比丘尼 주003)
비구니: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은 여자 승려.
優婆塞 주004)
우바새:
출가하지 않고 부처의 제자가 된 남자. 거사. 청신사.

법화경언해 권5:15ㄴ

優婆夷 주005)
우바이:
출가하지 않고 부처의 제자가 된 여자. 청신녀.
 親近히 말며  묻디 말며 다가 房中이어나 다가 두루 니 주006)
니:
다니는.
히어나 주007)
히어나:
땅이거나.
다가 講堂 中이어나  주008)
:
함께. 한데.
住티 마롤띠니 주009)
마롤띠니:
말 것이니. 말지니. 말-[止]+++ㅣ+니.
시혹 時예 오나 맛 주010)
맛:
마땅함을. 맛-[宜]+.
조차 說法고 求호미 업슬 띠니라 주011)
업슬 띠니라:
없을 것이니라. 없을 지니라. 없-[無]+++ㅣ+니라.

〔본문〕 또 성문을 구하는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를 친근히 말며, 또 묻지 말며, 만약 방중이거나, 만약 두루 다니는 땅이거나, 만약 강당 중이거나 함께 머무르지 말지니, 혹 때에 오거든 마땅함을 좇아 설법하고 구함이 없을 것이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小乘 주012)
소승:
자기의 인격을 완성함으로써 해탈을 얻고자 하는 것이 목적인 후기 불교 2대 유파의 하나.
은 法에 녹디 주013)
녹디:
녹지. 녹-[融]+디.
몯야 톰 주014)
톰:
다툼. 토-[諍]+옴.
議論 주015)
해:
많이.
니와다 安樂行 마 親近히 말며  묻디 마샬띠니 주016)
마샬띠니:
말 것이니. 마실 것이니.
업시우미 주017)
업시우미:
업신여김이. 업시-[慢].
아니라 媟狎 삼가실 미라 【媟은 하 주018)
하:
베풀어. -[媟]+아.
업시울씨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소승은 법에 녹지 못하여 다툼, 의논을 많이 일으키어 안락행을 막으므로 친근히 말며, 또 묻지 말 것이니, 업신여김이 아니라 설압을 삼가실 따름이다【설은 베풀어 업신여기는 것이다.】 .
Ⓒ 역자 | 김무봉 / 2002년 12월 5일

주석
주001)
성문:석존의 음성을 들은 불제자. 곧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깨달은 성자를 가리킴.
주002)
비구:출가하여 구족계 받은 남자 승려.
주003)
비구니: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은 여자 승려.
주004)
우바새:출가하지 않고 부처의 제자가 된 남자. 거사. 청신사.
주005)
우바이:출가하지 않고 부처의 제자가 된 여자. 청신녀.
주006)
니:다니는.
주007)
히어나:땅이거나.
주008)
:함께. 한데.
주009)
마롤띠니:말 것이니. 말지니. 말-[止]+++ㅣ+니.
주010)
맛:마땅함을. 맛-[宜]+.
주011)
업슬 띠니라:없을 것이니라. 없을 지니라. 없-[無]+++ㅣ+니라.
주012)
소승:자기의 인격을 완성함으로써 해탈을 얻고자 하는 것이 목적인 후기 불교 2대 유파의 하나.
주013)
녹디:녹지. 녹-[融]+디.
주014)
톰:다툼. 토-[諍]+옴.
주015)
해:많이.
주016)
마샬띠니:말 것이니. 마실 것이니.
주017)
업시우미:업신여김이. 업시-[慢].
주018)
하:베풀어. -[媟]+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