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5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5
  • 안락행품 제14
  • 2. 수행방법을 해석하다 [1] 몸의 안락행 ② 보살의 첫째 친근할 곳 8
메뉴닫기 메뉴열기

2. 수행방법을 해석하다 [1] 몸의 안락행 ② 보살의 첫째 친근할 곳 8



〔본문〕

법화경언해 권5:16ㄱ

文殊師利여  菩薩 摩訶薩이 겨지븨 주001)
겨지븨:
계집의.
모매 주002)
모매:
몸에.

법화경언해 권5:16ㄴ

能히 欲想 주003)
욕상:
욕심의 생각. 삼악상(三惡想)의 하나로 재물이나 여색을 생각하는 등의 사상.
주004)
상:
사물의 밖으로 드러난 모습.
 取야 說法 말며  즐겨 보디 말며 다가 다 지븨 주005)
지븨:
집에. 집-[家]+의(위치자리토).
드러도 小女 處女 寡女 콰로 【寡 남진 업슬 씨라】  말 말며

〔본문〕 문수사리여 또 보살 마하살이 계집의 몸에 능히 욕상 날 상을 취하여 설법하지 말며, 또 즐겨 보지 말며, 만약 다른 집에 들어도 소녀, 처녀, 과녀 들로【과는 남편이 없는 것이다.】 함께 말하지 말며,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說法은 반기 情想 주006)
정상:
정서와 상념. 감정과 생각.
니줄띠며 주007)
니줄띠며:
잊을 것이며. 닞-[忘]+++ㅣ+며.
말 브튜믄 주008)
브튜믄:
붙임은. 브티-[接]+움+은.
반기 嫌疑 避홀띠니 【嫌은 매 便安티 몯 씨라】 小女 處女 손 主人의 오미 주009)
오미:
가룸이. -[敵]+옴+이.
아니라 긔야 주010)
긔야:
기롱하여. 희롱하여.
허루믜 주011)
허루믜:
헒의. 헐-[毁]+움+의.
그티라 주012)
그티라:
끝이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설법은 반드시 정상을 잊을 것이며, 말씀 붙임은 반드시 혐의를 피할 것이니【혐은 마음에 편안하지 못한 것이다.】, 소녀, 처녀는 손과 주인의 가룸이 아니라, 기롱 주013)
기롱:
남을 업신여겨 실없는 말로 놀림.
하여 헒의 끝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2년 12월 5일

주석
주001)
겨지븨:계집의.
주002)
모매:몸에.
주003)
욕상:욕심의 생각. 삼악상(三惡想)의 하나로 재물이나 여색을 생각하는 등의 사상.
주004)
상:사물의 밖으로 드러난 모습.
주005)
지븨:집에. 집-[家]+의(위치자리토).
주006)
정상:정서와 상념. 감정과 생각.
주007)
니줄띠며:잊을 것이며. 닞-[忘]+++ㅣ+며.
주008)
브튜믄:붙임은. 브티-[接]+움+은.
주009)
오미:가룸이. -[敵]+옴+이.
주010)
긔야:기롱하여. 희롱하여.
주011)
허루믜:헒의. 헐-[毁]+움+의.
주012)
그티라:끝이다.
주013)
기롱:남을 업신여겨 실없는 말로 놀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