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5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권5
  • 종지용출품 제15
  • [4] 부처님의 답
메뉴닫기 메뉴열기

[4] 부처님의 답



〔본문〕

법화경언해 권5:93ㄱ

그 世尊이 菩薩 大衆 中에 이 말 샤 주001)
샤:
하시되. -[作]+시+오.
이 티 주002)
이 티:
이와 같이.
이 티 諸善男子아 如來ㅣ 安樂야 病 져그며 惱 져그며 衆生토 주003)
-토:
-들도. -ㅎ+도.
수이 어루 化度 주004)
화도:
중생을 교화하여 구제함. 곧 교화 제도를 이름.
홀띠라 주005)
-홀띠라:
-할, 것이라. -+++ㅣ+라.
봄 업다 엇뎨어뇨 주006)
엇뎨어뇨:
어찌해서인가? 어째서냐? 엇뎨+∅+거+니+고. 음절부음 ‘ㅣ’나 서술격 ‘이’ 뒤에서 ‘ㄱ’탈락 혹은 약화표기.
이 衆生히 世世로 오매 주007)
오매:
옴에.
녜 주008)
내:
나의. 내(평성). 나[我]+ㅣ(매김자리토). ·내(거성)은 주격.
주009)
화:
사람을 가르쳐 고침. 곧 개역 또는 교화를 이른다.
 受며  過去 諸佛

법화경언해 권5:93ㄴ

ㅅ긔 주010)
-ㅅ긔:
-께.
恭敬 尊重와 여러 가짓 善根 주011)
선근:
꺠달음의 원인이 되는 공덕. 온갖 선의 근본. 곧 선본을 이름.
시믈 주012)
시믈:
심으므로. 시므-[種]+ㄹ.
이 衆生히 처 내 몸 보아 내 말 듣고 즉재 주013)
즉재:
즉시.
다 信受야 如來慧예 드니 주014)
드니:
드니. 들어가니. 들-[入]+니.
몬져 주015)
몬져:
먼저.
小乘 주016)
소승:
자기의 인격을 완성함으로써 해탈을 얻고자 하는 후기 불교의 한 유파.
닷가 주017)
닷가:
닦아. -[修]+아.
니겨 호닌 주018)
호닌:
배운 이는. 호+ㄴ+이+ㄴ.
더니 주019)
더니:
더니. 배제하니. 덜-[除]+니.
이  사도 내 오  이 經을 시러 드러 佛慧 주020)
불혜:
부처님의 지혜.
들에 노라 주021)
들에 노라:
들게 하노라. ‘ㄹ’ 다음에서 ‘ㄱ’탈락 혹은 약화표기.

〔본문〕 그때에 세존이 보살 대중 중에 이 말하시되, “이와 같이 이와 같이 제선남자여, 여래가 안락하여 병 적으며, 번뇌 적으며, 중생들도 쉽게 가히 화도할 것이라 가쁨이 없다. 어찌해서인가? 이 중생들이 세세로 옴에 늘 나의 교화를 받으며, 또 과거 제불께 공경하고 존중하사와 여러 가지의 선근을 심으므로 이 중생들이 처음 내 몸을 보아 내 말을 듣고 즉시 다 믿고 받아서 여래의 지혜에 드니 먼저 소승 닦아 익혀 배운 이는 배제하였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사람도 내가 오늘 또 이 경을 능히 들어 부처님의 지혜에 들게 하노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世世예 주022)
세세(世世)예:
대대에.
敎化 주023)
교화:
가르치거나 영향을 주거나 하여 법무를 성인이 되게 하거나 사람을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함. 곧 교도전화(敎導轉化)의 뜻.
受옴 니샤 주024)
니샤:
이르심은.
壽量 주025)
수량:
목숨의 정량(定量). 살고 있는 시대와 세계에 의해 장·단이 있음.
本門 주026)
본문:
〈법화경〉 28품 중 후반의 14품을 이름.
엣 化샤 正히 나토시고  過去에 善

법화경언해 권5:94ㄱ

심곰 주027)
심곰:
심음. -[種]+옴. 시므-~-[種].
니르샤 智勝會 中엣 化샤 조쳐 주028)
조쳐:
아울러. 겸하여. 조치-[兼]+어.
기시니 주029)
기시니:
밝히시니.
化緣 주030)
화연:
교화하는 인연.
이 기픈 젼로 처 주031)
처:
처음.
보와 처 듣오매 주032)
듣오매:
듣자오매. 들음에.
곧 다 信受오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세세에 교화 받음 이르심은 수량 본문에 화하심을 정히 나타내시고, 또 과거에 선 심음 이르심은 지승회 중에 화하심을 아울러 밝히시니, 화연이 깊은 까닭으로 처음 보고 처음 들음에 곧 다 신수하신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2년 12월 5일

주석
주001)
샤:하시되. -[作]+시+오.
주002)
이 티:이와 같이.
주003)
-토:-들도. -ㅎ+도.
주004)
화도:중생을 교화하여 구제함. 곧 교화 제도를 이름.
주005)
-홀띠라:-할, 것이라. -+++ㅣ+라.
주006)
엇뎨어뇨:어찌해서인가? 어째서냐? 엇뎨+∅+거+니+고. 음절부음 ‘ㅣ’나 서술격 ‘이’ 뒤에서 ‘ㄱ’탈락 혹은 약화표기.
주007)
오매:옴에.
주008)
내:나의. 내(평성). 나[我]+ㅣ(매김자리토). ·내(거성)은 주격.
주009)
화:사람을 가르쳐 고침. 곧 개역 또는 교화를 이른다.
주010)
-ㅅ긔:-께.
주011)
선근:꺠달음의 원인이 되는 공덕. 온갖 선의 근본. 곧 선본을 이름.
주012)
시믈:심으므로. 시므-[種]+ㄹ.
주013)
즉재:즉시.
주014)
드니:드니. 들어가니. 들-[入]+니.
주015)
몬져:먼저.
주016)
소승:자기의 인격을 완성함으로써 해탈을 얻고자 하는 후기 불교의 한 유파.
주017)
닷가:닦아. -[修]+아.
주018)
호닌:배운 이는. 호+ㄴ+이+ㄴ.
주019)
더니:더니. 배제하니. 덜-[除]+니.
주020)
불혜:부처님의 지혜.
주021)
들에 노라:들게 하노라. ‘ㄹ’ 다음에서 ‘ㄱ’탈락 혹은 약화표기.
주022)
세세(世世)예:대대에.
주023)
교화:가르치거나 영향을 주거나 하여 법무를 성인이 되게 하거나 사람을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함. 곧 교도전화(敎導轉化)의 뜻.
주024)
니샤:이르심은.
주025)
수량:목숨의 정량(定量). 살고 있는 시대와 세계에 의해 장·단이 있음.
주026)
본문:〈법화경〉 28품 중 후반의 14품을 이름.
주027)
심곰:심음. -[種]+옴. 시므-~-[種].
주028)
조쳐:아울러. 겸하여. 조치-[兼]+어.
주029)
기시니:밝히시니.
주030)
화연:교화하는 인연.
주031)
처:처음.
주032)
듣오매:듣자오매. 들음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