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본생담]
  •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4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4]
그저긔 王이 宮中

월인석보 20:106ㄱ

에 드러 샤 주001)
샤:
생각하시되.
내 이제 이웃 나라해 가리니 두 길히로 주002)
길히로:
길이로되. 길인데.
 길흔 닐웨면 주003)
닐웨면:
이레면. 닐웨[七日]+∅(서술격조사)+면.
가고  길흔 열나리면 주004)
열나리면:
열나흘이면. 열나[十四日].
가리라 샤 닐웻 주005)
닐웻:
이레의. 닐웨[七日]+ㅅ(관형격조사).
粮食 시고 주006)
시고:
싸시고. -[包]+시+고.
옷 주007)
옷:
평복. ‘’은 한자어(‘常’)임.
니브시고 城 밧긔 가다가 도라 드르샤 湏闍提 太子 무루페 고 주008)
고:
얹고. 엱-+고. ‘엱→’은 8종성표기법.
믈굼 주009)
믈굼:
물끄러미.
아 겨시다가 가기 주010)
가기:
갑자기.
놀라 주011)
놀라:
놀랍게. 놀라-[驚]+ㅸ(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 ‘-이’는 어미의 성격도 갖고 있음.
니러

월인석보 20:106ㄴ

셔다가  도로 곰 실 夫人이 나드러 주012)
나드러:
나아가. -[進]+아+들-[入]+어. ‘나-[出]’와 ‘-[進]’이 ‘-아’와 결합하면, 각각 ‘나-[出]+아→나 ; -[進]+아→나’로 구별된다.
묻샤 주013)
묻샤:
묻자오시되. 물으시되.
大王이 오 두리 주014)
두리:
두려운. 두-[畏]. 두리-[畏]+ㅸ(형용사파생접미사)+/은(관형사형어미).
 시니 엇던 因緣으로 나라 일 주015)
일:
잃는.
며 恩愛 주016)
은애:
어버이와 자식 사이나 부부간의 애정.
여희 주017)
여희:
여의는.
며 怨家ㅣ 다왇 주018)
다왇:
닥치는. 다그치는. 다왇-++ㄴ.
더시니 願  니르쇼셔 王이 니샤 내 이 그듸 주019)
그듸:
그대. ‘그듸/그디’가 같이 쓰었음. ‘그듸’는 현대국어 ‘자네, 당신’ 정도에 해당하는 높임의 인칭대명사로 야쎠체에 쓰임. 구어체에도 쓰인다는 점에서 현대국어 ‘그대’와는 다르다. ‘그+듸[處所]’로 구성된 말.
모리라 夫 〔역자 주〕(107ㄱ~110ㄴ은 낙장…)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4]
그때에 왕이 궁중에 들어 생각하시되, ‘내가 이웃 나라에 가리니, 두 길이로되, 한 길은 이레면 가고, 한 길은 열나흘이면 가리라.’ 하시고 이레 양식을 싸시고, 평복 입으시고 성 밖에 가다가 돌아 들으시어, 수사제 태자를 무릎에 얹고 물끄러미(눈을 떼지 않고) 보시다가 갑자기 놀랍게 일어서다가 또 도로 앉고 하시므로 부인이 나아가 여쭈시되, “대왕이 오늘 두려운 모양 같으시니, 어떤 인연으로 나라를 잃는 듯하며, 은애를 여의는 듯하며, 원가가 닥치는 듯하시니, 원컨대 일러주소서.” 왕이 이르시되, “내 일을 그대 모르리라.” 부 〔역자 주〕(107ㄱ~110ㄴ은 낙장…)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샤:생각하시되.
주002)
길히로:길이로되. 길인데.
주003)
닐웨면:이레면. 닐웨[七日]+∅(서술격조사)+면.
주004)
열나리면:열나흘이면. 열나[十四日].
주005)
닐웻:이레의. 닐웨[七日]+ㅅ(관형격조사).
주006)
시고:싸시고. -[包]+시+고.
주007)
옷:평복. ‘’은 한자어(‘常’)임.
주008)
고:얹고. 엱-+고. ‘엱→’은 8종성표기법.
주009)
믈굼:물끄러미.
주010)
가기:갑자기.
주011)
놀라:놀랍게. 놀라-[驚]+ㅸ(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 ‘-이’는 어미의 성격도 갖고 있음.
주012)
나드러:나아가. -[進]+아+들-[入]+어. ‘나-[出]’와 ‘-[進]’이 ‘-아’와 결합하면, 각각 ‘나-[出]+아→나 ; -[進]+아→나’로 구별된다.
주013)
묻샤:묻자오시되. 물으시되.
주014)
두리:두려운. 두-[畏]. 두리-[畏]+ㅸ(형용사파생접미사)+/은(관형사형어미).
주015)
일:잃는.
주016)
은애:어버이와 자식 사이나 부부간의 애정.
주017)
여희:여의는.
주018)
다왇:닥치는. 다그치는. 다왇-++ㄴ.
주019)
그듸:그대. ‘그듸/그디’가 같이 쓰었음. ‘그듸’는 현대국어 ‘자네, 당신’ 정도에 해당하는 높임의 인칭대명사로 야쎠체에 쓰임. 구어체에도 쓰인다는 점에서 현대국어 ‘그대’와는 다르다. ‘그+듸[處所]’로 구성된 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