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23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23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23]
  婆羅門 맛나니
빌어늘 太子ㅣ 즉재 술위
가 예 주001)
예:
마디에. [節]+에/애/예.
  婆羅門
나니 아모 거시나 도라 주002)
도라:
달라. ‘도라’는 현대 경상도 방언에서 쓰인다. 동작의 객체가 화자인 명령문에서 어간 ‘주-’가 ‘도-’로 교체된 것. 이런 현상을 보충법이라 하고, 넓은 의미의 불규칙활용(어간 교체)에 포함시킨다.
야
탱子ㅣ 닐오 내 그딋
시 업가니와 주003)
업가니와:
없거니와. ‘-가-’는 ‘-거-’의 이형태.
내 財物
婆羅門이 닐오
업거든 오 바사 주004)
바사:
벗어. 밧-[脫]+아/어.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23]
또 한 바라문을 만나니 … 구걸하거늘, 태자가 즉시 수레 … 가는 마디에 또 한 바라문 … 나니, 아무것이나 달라 하여 태자가 이르되, 내가 그대의 … 이야 없거니와, 내 재물 … 바라문이 이르되, … 없으면 옷을 벗어 …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예:마디에. [節]+에/애/예.
주002)
도라:달라. ‘도라’는 현대 경상도 방언에서 쓰인다. 동작의 객체가 화자인 명령문에서 어간 ‘주-’가 ‘도-’로 교체된 것. 이런 현상을 보충법이라 하고, 넓은 의미의 불규칙활용(어간 교체)에 포함시킨다.
주003)
업가니와:없거니와. ‘-가-’는 ‘-거-’의 이형태.
주004)
바사:벗어. 밧-[脫]+아/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