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대가섭의 정법 전지 ②
  • 대가섭의 정법 전지 2
메뉴닫기 메뉴열기

대가섭의 정법 전지 2


[대가섭의 정법 전지 2]
世尊니샤 주001)
니샤:
이르시되. 이르시기를. 니-[謂]+시+오/우.
주002)
내:
나의. 나+ㅣ(관형격조사). ‘내’(거성)는 주격형이고, ‘내’(평성)는 관형격형.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淸淨法眼 주003)
청정법안:
법을 보는 깨끗한 눈.
涅槃妙心 實相無相 微妙正法 주004)
미묘정법:
미묘한 바른 가르침.
으로 네그 주005)
네그:
너에게. 너+ㅣ(관형격조사)+그/(의존명사)+에(부사격조사). ‘그/’은 [처소]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맛됴리니 주006)
맛됴리니:
맡기리니. -[任]+이(사동접미사)+오/우+리+니.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이른바 의도법 선어말어미.
네 護持라 阿難조쳐 주007)
조쳐:
-에게도. -에게까지. 보조사.
勅샤 버거 주008)
버거:
다음으로. 동사의 활용형 ‘버거(벅-+어)가 부사로 굳어진 것. 이 단어의 어근은 ‘버그-’가 아니라 ‘벅-’이다. ‘벅게코져’(圓覺 상1-2:75)를 참조할 것.
敎化 傳持 주009)
전지:
불법을 서로 전하고 지켜 가짐.
야

월인석보 20:3ㄴ

주010)
긋디:
끊어지지. 긏-[絶]+디(보조적 연결어미). ‘긏→긋’은 8종성표기법.
아니케 라 시고 偈 니샤 法本法無法 無法法亦法 今付無法時 法法何曾法 주011)
법본법무법 무법법역법 금부무법시 법법하증법:
법이란 본래 법 없음을 법으로 하나, 법 없음의 법 또한 법이다. 이제 법 없는 시절에 부치니, 법과 법이 어찌 일찍 법인 적이 있었는가?
이라 시고  迦葉이려 니샤 내 金縷 주012)
금루:
금실.
僧伽梨 오 네그 주013)
네그:
너에게. 너+게/의게. 기원적으로는 ‘너+ㅣ(관형격조사)+그()+에(부사격조사).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傳持야 맛뎌 補處 주014)
보처:
여기서는 미륵보살.
 옮겨

월인석보 20:4ㄱ

기라
주015)
심기라:
전하려. 심기-[授]+라. ‘-라’는 [의도]나 [목적]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노니 慈氏佛 주016)
자씨불:
미륵보살.
이 世間애  제 니르리 주017)
니르리:
이르도록. 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형어미). 현대국어의 불규칙활용형 ‘이르러’는 중세국어 ‘니를-+어→니르러’의 화석형이다.
서거 주018)
서거:
썩어. 석-[朽]+어.
야디디 주019)
야디디:
헐어지지. 해어지지. 야디-[壞, 破]. 이 밖에 ‘여리다, 여디다, 여디다, 야디다’ 등의 모습으로 쓰인다. ‘-야’는 보조적 연결어미이고 ‘디-’는 보조동사임이 분명하나, 어근 ‘-’ 또는 ‘-’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디여’(월인석보 1:9)에서는 ‘디-’가 어근으로 보인다.
아니케 라 迦葉이 偈 듣고 머리 조 주020)
조:
조아려. 좃-[稽]+(주체겸양 선어말어미)+아.
禮數고  됴실쎠 주021)
됴실쎠:
좋으시구나. 둏-[好]+시+ㄹ쎠(감탄 종결어미). ‘-ㄹ쎠’는 기원적으로 ‘ (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어(종결어미)’. 종결어미 ‘-어/아’는 소위 반말체이다. 그러므로 이 문장은 간접인용문 또는 독백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됴실쎠 주022)
내:
내가. 제가. 중세국어시대에는 ‘나’의 겸칭 ‘저’가 쓰이지 않았음. 나+ㅣ(주격)→·내(거성).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다 주023)
다:
-답게. -대로. (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 또는 부사형어미).
리다 주024)
리다:
하겠습니다. -+(주체겸양 선어말어미)+오/우+리++다.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이른바 의도법 선어말어미.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대가섭의 정법 전지 2]
세존께서 이르시기를, “내가 청정법안, 열반묘심, 실상무상, 미묘정법으로 네게 맡기리니, 네가 호지하여라.” 아난이에게도 명하시기를, “다음으로 교화를 전지하여 끊어지지 않게 하라.” 하시고 게를 이르시기를 “법본법무법 무법법역법 금부무법시 법법하증법이라.” 하시고, 또 가섭이더러 “내가 금으로 된 실로 만든 승가리 옷을 네게 전지하여 맡겨 보처께 옮겨 전하려 하니, 미륵불이 세간에 나실 제 이르기까지 썩어서 헐어지지 않게 하라.”고 하셨다. 가섭이 게를 듣잡고서 머리를 조아려 예배하옵고 아뢰기를 “좋으시구나, 좋으시구나, 제가, 명하신 대로 하겠습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샤:이르시되. 이르시기를. 니-[謂]+시+오/우.
주002)
내:나의. 나+ㅣ(관형격조사). ‘내’(거성)는 주격형이고, ‘내’(평성)는 관형격형.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주003)
청정법안:법을 보는 깨끗한 눈.
주004)
미묘정법:미묘한 바른 가르침.
주005)
네그:너에게. 너+ㅣ(관형격조사)+그/(의존명사)+에(부사격조사). ‘그/’은 [처소]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주006)
맛됴리니:맡기리니. -[任]+이(사동접미사)+오/우+리+니.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이른바 의도법 선어말어미.
주007)
조쳐:-에게도. -에게까지. 보조사.
주008)
버거:다음으로. 동사의 활용형 ‘버거(벅-+어)가 부사로 굳어진 것. 이 단어의 어근은 ‘버그-’가 아니라 ‘벅-’이다. ‘벅게코져’(圓覺 상1-2:75)를 참조할 것.
주009)
전지:불법을 서로 전하고 지켜 가짐.
주010)
긋디:끊어지지. 긏-[絶]+디(보조적 연결어미). ‘긏→긋’은 8종성표기법.
주011)
법본법무법 무법법역법 금부무법시 법법하증법:법이란 본래 법 없음을 법으로 하나, 법 없음의 법 또한 법이다. 이제 법 없는 시절에 부치니, 법과 법이 어찌 일찍 법인 적이 있었는가?
주012)
금루:금실.
주013)
네그:너에게. 너+게/의게. 기원적으로는 ‘너+ㅣ(관형격조사)+그()+에(부사격조사).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주014)
보처:여기서는 미륵보살.
주015)
심기라:전하려. 심기-[授]+라. ‘-라’는 [의도]나 [목적]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16)
자씨불:미륵보살.
주017)
니르리:이르도록. 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형어미). 현대국어의 불규칙활용형 ‘이르러’는 중세국어 ‘니를-+어→니르러’의 화석형이다.
주018)
서거:썩어. 석-[朽]+어.
주019)
야디디:헐어지지. 해어지지. 야디-[壞, 破]. 이 밖에 ‘여리다, 여디다, 여디다, 야디다’ 등의 모습으로 쓰인다. ‘-야’는 보조적 연결어미이고 ‘디-’는 보조동사임이 분명하나, 어근 ‘-’ 또는 ‘-’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디여’(월인석보 1:9)에서는 ‘디-’가 어근으로 보인다.
주020)
조:조아려. 좃-[稽]+(주체겸양 선어말어미)+아.
주021)
됴실쎠:좋으시구나. 둏-[好]+시+ㄹ쎠(감탄 종결어미). ‘-ㄹ쎠’는 기원적으로 ‘ (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어(종결어미)’. 종결어미 ‘-어/아’는 소위 반말체이다. 그러므로 이 문장은 간접인용문 또는 독백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주022)
내:내가. 제가. 중세국어시대에는 ‘나’의 겸칭 ‘저’가 쓰이지 않았음. 나+ㅣ(주격)→·내(거성).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주023)
다:-답게. -대로. (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 또는 부사형어미).
주024)
리다:하겠습니다. -+(주체겸양 선어말어미)+오/우+리++다.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이른바 의도법 선어말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