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보은경 설법 ①
  • 보은경 설법 4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은경 설법 4


[보은경 설법 4]
그 阿難부텻 주001)
부텻:
부처의. 부텨+ㅅ. ‘-ㅅ’은 관형격조사인데, 무정체언과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는 ‘ㅅ’이, 높임의 자질을 갖지 않은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인다.
威神 받 주002)
받:
받자와. 받-+(주체겸양 선어말어미)+아/어.
아

월인석보 20:12ㄴ

주003)
아:
아침에. 아+.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임.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王舍城에 드러 次第로 乞食더니 주004)
더니:
하였는데. 중세국어의 ‘-더니’는 현대국어의 ‘-더니’ 및 ‘-ㄴ데’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 현대국어의 ‘-더니’는 종속절의 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동일할 때에 사용되는데, 중세국어에서는 두 주어가 다를 때에도 쓰인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 艱難 婆羅門 아리 父母 孝養야 늘근 어미 업고  次第로 비녀 주005)
비녀:
빌고 다녀. 빌-[乞]+니-[行]+아/어.
됴 주006)
됴:
좋은. 둏-[好]+/은.
차반 주007)
차반:
음식.
어더든 주008)
어더든:
얻거든. 얻-+어든. ‘-어든’은 ‘-거든’으로도 나타나는데, ‘-거/어-’와 ‘-든’으로 분석될 수 있다. 과거시제·완료·확정법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로 ‘-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임..
어미 이받고 주009)
이받고:
이바지하고. 잔치하고. 이받-[宴]+고.
사오나 주010)
사오나:
사나운. 나쁜. 사오-[劣]. 현대국어 ‘사납다’와 의미가 부분적으로 다름.
차반 어더든 주011)
제:
스스로가. ‘제’(상성)은 주격형. ‘제’(평성)은 관형격형.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먹거 주012)
먹거:
먹거늘. 먹-+거. ‘-거’의 ‘-거-’는 과거 시제 또는 확정법을 나타낸다. 확정법의 선어말어미는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 뒤에서는 ‘-거-’가, 타동사 뒤에서는 ‘-어/아-’가 쓰인다. ‘-’은 항상 ‘-거-’와 결합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거’을 더 이상 분석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阿難이 보고 깃거 주013)
깃거:
기뻐하여. -[喜]+어. 현대국어 ‘기꺼이’는 ‘-+(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로 이루어진 파생어이다.
偈로 讚歎

월인석보 20:13ㄱ

더니  梵志 六師의 무리러니 주014)
무리러니:
무리이더니. 물[衆, 群]+이+더/러+니. ‘-더-’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러-’로 교체됨.
阿難 주015)
아난이(阿難-):
인명 뒤의 ‘-이’는 조음접미사로 본다.
려 닐오 네 스 瞿曇 주016)
구담:
석존의 이름.
이 큰 功德이 잇노라 주017)
잇노라:
있다고. 잇-++오/우+라.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함. 여기서는 내적 화자(독백문의 화자)와 호응한다.
건마 주018)
건마:
하건마는.
갓 일훔 니디 주019)
니디:
뿐이지. +이+디. ‘-디’는 선행하는 종속절을 강하게 긍정함. 후행하는 주절은 부정문으로 나타남.
實엔 모딘 사미라 주020)
난:
(태어)난. 나-[出]+ㄴ.
닐웨예 주021)
닐웨예:
이레에. 닐웨+예. 현대국어라면 의존명사 ‘지’에 후행하나, 여기서는 관형사형 뒤에 바로 쓰였다.
어미 命終고 城 나마 주022)
나마:
넘어. 남-[越]+아.
나니거늘 주023)
나니거늘:
나가거늘. 나-[出]+아(연결어미)+니-[行, 去]+거늘. ‘나-[出]’와 ‘-[進]’이 ‘-아’와 결합하면, 각각 ‘나-[出]+아→나 ; -[進]+아→나’로 구별된다.
父王이 셜 주024)
셜:
서러워. 괴로워. -+아/어.
해 주025)
해:
땅에. [地]+애. ‘’은 ‘ㅎ’종성체언.
그우니 주026)
그우니:
구르니. 그울-[轉]+니. /ㄴ/ 앞에서 /ㄹ/ 탈락.
不孝 주027)
앳:
의. 애(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부사격조사가 쓰인 원인을 알기 어렵다.
사미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보은경 설법 4]
그때에 아난부처님의 위광을 받아서 아침에 왕사성에 들어가 차례로 걸식하였는데, 한 가난한 바라문의 아들이 부모를 효양하여 늙은 어미를 업고 차례로 빌고 다니며 좋은 음식을 얻으면 어미에게 드리고 나쁜 음식을 얻으면 스스로가 먹거늘, 아난이 보고 기뻐하여 게로 찬탄했다. 한 범지가 6사의 무리이더니, 아난이더러 이르기를, “네 스승 구담이 큰 공덕이 있노라고 하건마는 한갓 이름뿐이지 실은 악한 사람이다. 태어난 지 이레에 어미가 명종하고 성을 넘어서 나가 다니거늘, 부왕이 서러워 땅에 구르니 불효의 사람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부텻:부처의. 부텨+ㅅ. ‘-ㅅ’은 관형격조사인데, 무정체언과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는 ‘ㅅ’이, 높임의 자질을 갖지 않은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인다.
주002)
받:받자와. 받-+(주체겸양 선어말어미)+아/어.
주003)
아:아침에. 아+.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임.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주004)
더니:하였는데. 중세국어의 ‘-더니’는 현대국어의 ‘-더니’ 및 ‘-ㄴ데’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 현대국어의 ‘-더니’는 종속절의 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동일할 때에 사용되는데, 중세국어에서는 두 주어가 다를 때에도 쓰인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주005)
비녀:빌고 다녀. 빌-[乞]+니-[行]+아/어.
주006)
됴:좋은. 둏-[好]+/은.
주007)
차반:음식.
주008)
어더든:얻거든. 얻-+어든. ‘-어든’은 ‘-거든’으로도 나타나는데, ‘-거/어-’와 ‘-든’으로 분석될 수 있다. 과거시제·완료·확정법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로 ‘-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임..
주009)
이받고:이바지하고. 잔치하고. 이받-[宴]+고.
주010)
사오나:사나운. 나쁜. 사오-[劣]. 현대국어 ‘사납다’와 의미가 부분적으로 다름.
주011)
제:스스로가. ‘제’(상성)은 주격형. ‘제’(평성)은 관형격형.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주012)
먹거:먹거늘. 먹-+거. ‘-거’의 ‘-거-’는 과거 시제 또는 확정법을 나타낸다. 확정법의 선어말어미는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 뒤에서는 ‘-거-’가, 타동사 뒤에서는 ‘-어/아-’가 쓰인다. ‘-’은 항상 ‘-거-’와 결합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거’을 더 이상 분석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013)
깃거:기뻐하여. -[喜]+어. 현대국어 ‘기꺼이’는 ‘-+(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로 이루어진 파생어이다.
주014)
무리러니:무리이더니. 물[衆, 群]+이+더/러+니. ‘-더-’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러-’로 교체됨.
주015)
아난이(阿難-):인명 뒤의 ‘-이’는 조음접미사로 본다.
주016)
구담:석존의 이름.
주017)
잇노라:있다고. 잇-++오/우+라.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함. 여기서는 내적 화자(독백문의 화자)와 호응한다.
주018)
건마:하건마는.
주019)
니디:뿐이지. +이+디. ‘-디’는 선행하는 종속절을 강하게 긍정함. 후행하는 주절은 부정문으로 나타남.
주020)
난:(태어)난. 나-[出]+ㄴ.
주021)
닐웨예:이레에. 닐웨+예. 현대국어라면 의존명사 ‘지’에 후행하나, 여기서는 관형사형 뒤에 바로 쓰였다.
주022)
나마:넘어. 남-[越]+아.
주023)
나니거늘:나가거늘. 나-[出]+아(연결어미)+니-[行, 去]+거늘. ‘나-[出]’와 ‘-[進]’이 ‘-아’와 결합하면, 각각 ‘나-[出]+아→나 ; -[進]+아→나’로 구별된다.
주024)
셜:서러워. 괴로워. -+아/어.
주025)
해:땅에. [地]+애. ‘’은 ‘ㅎ’종성체언.
주026)
그우니:구르니. 그울-[轉]+니. /ㄴ/ 앞에서 /ㄹ/ 탈락.
주027)
앳:의. 애(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부사격조사가 쓰인 원인을 알기 어렵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