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
부톄 주001)
부톄:
부처님께서. 부텨+ㅣ(주격). 주격조사와 결합하여 성조의 변화가 일어남. 부텨(평평)→부:톄(평상).
舍衛國 주002)
사위국:
옛날 중인도 교살라국의 서울.
衹洹 주003)
기원:
기원정사. 석존과 그 제자들이 머무르던 사원.
겨샤 주004)
겨샤:
계시어. 겨시-+아/어.
無數 四衆 주005)
사중:
4부중. 부처님의 제자로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의 네 무리.
 주006)
:
함께. +(의존명사)+∅(처소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휘 뒤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잇더

월인석보 20:61ㄴ

시니
주007)
잇더시니:
있으시더니. 잇-+더+시+니. ‘-더-’는 ‘-시-’에 선행함.
부톄 우시니 주008)
우시니:
웃으시니. -[笑].
이베 주009)
이베:
입에서.
五色 光明이 나거시 주010)
나거시:
나시거늘. ‘-거-’는 과거시제·완료·확정법을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임. ‘-거-’는 ‘-시-’에 선행함. ‘-/늘’은 ‘-거/아/어/야’ 없이 단독으로 나타나는 일이 없으므로 ‘-거…/늘’을 불연속형태소로 처리하기도 함.
阿難이 座애셔 주011)
애셔:
-에서. ‘-애셔’는 기원적으로 ‘애(부사격조사)+시-[有]+어’의 발달형. ‘시-’는 ‘이시-’의 이형태.
니러 옷 고티고 주012)
고티고:
고치고. 고티-[改]+고.
叉手야 러 주013)
러:
꿇어. -[跪]+어.
 주014)
:
여쭈되. 사뢰되. -[白]+오/우+.
주015)
내:
제가. 중세국어에는 ‘나’에 대응되는 겸칭의 ‘저’가 없었음. 나+ㅣ(주격)→·내(거성).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스므나  뫼 주016)
뫼:
모시어. 모시고. 뫼-[陪]+(주체겸양 선어말어미)+아/어.
뇨 주017)
뇨:
다니되. 니-+오/우+. 니- 〉 니- 〉 니- 〉 다니-.
오티 우실 쩌글 주018)
우실 쩌글:
웃으실(웃으시는) 적을. -+으시+ㅭ+적+을. 관형사형 어미 ‘-ㅭ’은 미래 시제와 무관하게 쓰이기도 한다. 이를 절대시제라 한다.
보다니 주019)
보더니:
보았더니. 보-+(주체겸양 선어말어미)+아/어+잇+더+니. ‘-아/어#잇-’은 문법화하여 ‘-앳/엣-, -앗/엇-, -았/었-’으로 변화함.
부톄 過去 未來 現在옛 부텨를 念시니가 주020)
시니가:
-하십니까? -+시+니++가. ‘--’은 ‘--’의 이형태로서 의문종결어미 ‘-고, -가’ 앞에 나타남.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다.
다 주021)
다:
마땅히.
디 겨시니 듣고져 노다 주022)
노다:
합니다. -++오/우++다. ‘-오/우-’는 1인칭 주어문에 쓰임.
부톄 니샤 디나건 주023)
디나건:
지난. 디나-[過]+거(확정법)+ㄴ. ‘-거-’는 과거시제·완료·확정법을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임.
無數 阿僧衹劫 주024)
아승기겁:
욕계의 음욕을 여의어서 항상 깨끗하고 조용한 하늘 세상.)의 하루로서, 인간 세계의 4억 3천 2백만 년.
時節에 檀波羅蜜 주025)
단바라밀:
6바라밀의 하나. 보시를 완전한 것으로 하는 것. ‘단(檀)’은 ‘단나(檀那)’의 준말로, ‘보시(布施)’라 번역. ‘바라밀’은 ‘도피안(到彼岸)’이라 번역함. 생사의 바다를 건너 열반의 언덕에 이르는 행법. 보시는 열반에 이르는 행법의 하나이므로 ‘단바라밀’이라 한다.
던 이 念 미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
부처님사위국 기원〈정사〉에 계시어, 무수한 4부 대중과 함께 있으시더니, 부처님이 웃으시니, 입에서 5색 광명이 나시거늘, 아난이 자리에서 일어나 옷 고치고 차수하여 〈무릎〉 꿇어 여쭈되, “제가 스무나믄 해를 모시고 다니되, 오늘같이 웃으시는 적을 뵈옵지 못하였더니, 부처님이 과거, 미래, 현재의 부처를 생각하십니까? 〈거기에는〉 마땅히 뜻이 있으시니 듣잡고자 합니다.” 부처님이 이르시되, “지난 무수한 아승기겁 시절에 단바라밀하던 일을 생각할 따름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부톄:부처님께서. 부텨+ㅣ(주격). 주격조사와 결합하여 성조의 변화가 일어남. 부텨(평평)→부:톄(평상).
주002)
사위국:옛날 중인도 교살라국의 서울.
주003)
기원:기원정사. 석존과 그 제자들이 머무르던 사원.
주004)
겨샤:계시어. 겨시-+아/어.
주005)
사중:4부중. 부처님의 제자로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의 네 무리.
주006)
:함께. +(의존명사)+∅(처소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휘 뒤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007)
잇더시니:있으시더니. 잇-+더+시+니. ‘-더-’는 ‘-시-’에 선행함.
주008)
우시니:웃으시니. -[笑].
주009)
이베:입에서.
주010)
나거시:나시거늘. ‘-거-’는 과거시제·완료·확정법을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임. ‘-거-’는 ‘-시-’에 선행함. ‘-/늘’은 ‘-거/아/어/야’ 없이 단독으로 나타나는 일이 없으므로 ‘-거…/늘’을 불연속형태소로 처리하기도 함.
주011)
애셔:-에서. ‘-애셔’는 기원적으로 ‘애(부사격조사)+시-[有]+어’의 발달형. ‘시-’는 ‘이시-’의 이형태.
주012)
고티고:고치고. 고티-[改]+고.
주013)
러:꿇어. -[跪]+어.
주014)
:여쭈되. 사뢰되. -[白]+오/우+.
주015)
내:제가. 중세국어에는 ‘나’에 대응되는 겸칭의 ‘저’가 없었음. 나+ㅣ(주격)→·내(거성).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주016)
뫼:모시어. 모시고. 뫼-[陪]+(주체겸양 선어말어미)+아/어.
주017)
뇨:다니되. 니-+오/우+. 니- 〉 니- 〉 니- 〉 다니-.
주018)
우실 쩌글:웃으실(웃으시는) 적을. -+으시+ㅭ+적+을. 관형사형 어미 ‘-ㅭ’은 미래 시제와 무관하게 쓰이기도 한다. 이를 절대시제라 한다.
주019)
보더니:보았더니. 보-+(주체겸양 선어말어미)+아/어+잇+더+니. ‘-아/어#잇-’은 문법화하여 ‘-앳/엣-, -앗/엇-, -았/었-’으로 변화함.
주020)
시니가:-하십니까? -+시+니++가. ‘--’은 ‘--’의 이형태로서 의문종결어미 ‘-고, -가’ 앞에 나타남.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다.
주021)
다:마땅히.
주022)
노다:합니다. -++오/우++다. ‘-오/우-’는 1인칭 주어문에 쓰임.
주023)
디나건:지난. 디나-[過]+거(확정법)+ㄴ. ‘-거-’는 과거시제·완료·확정법을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임.
주024)
아승기겁:욕계의 음욕을 여의어서 항상 깨끗하고 조용한 하늘 세상.)의 하루로서, 인간 세계의 4억 3천 2백만 년.
주025)
단바라밀:6바라밀의 하나. 보시를 완전한 것으로 하는 것. ‘단(檀)’은 ‘단나(檀那)’의 준말로, ‘보시(布施)’라 번역. ‘바라밀’은 ‘도피안(到彼岸)’이라 번역함. 생사의 바다를 건너 열반의 언덕에 이르는 행법. 보시는 열반에 이르는 행법의 하나이므로 ‘단바라밀’이라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