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9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9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9]
여듧 道士ㅣ 닐오 우리 드로니 주001)
드로니:
들으니. 듣/들-+오/우+니.
太子ㅣ 布施 즐기샤 求논 거슨  들 거스디 아니 시다 니 太子ㅅ 일후미 八方애 다 펴디시며 우흐로 주002)
우흐로:
위로 웋[上].
하해 주003)
하해:
하늘에. 하[天]+애/에.
고 주004)
고:
통하고. 사무치고. -[透]+고. ‘ㅊ→ㅅ’은 8종성표기법.
아래로 黃泉 주005)
황천:
저승.

월인석보 20:65ㄱ

니르러 주006)
니르러:
이르러. 니를-[至]+어/아. 현대국어의 불규칙활용형 ‘이르러’는 중세국어 ‘니를-+어→니르러’의 화석형이다.
布施시논 功德이 그지업서 주007)
그지업서:
한이 없어. ‘그지’는 ‘긎[限]+이(주격조사)’. ‘그지없-’은 합성형용사로 굳어진 것.
여 주008)
여:
데며. +여(접속조사).
갓가 주009)
갓가:
가까운. 갓-[近]+/은.
여 놀애 주010)
놀애:
노래. 이 어휘는 이처럼 분철된다.
블러 기리니 주011)
기리니:
기리옵나니. 기리-[讚].
太子ㅣ 眞實로  들 거스디 아니커시 주012)
아니커시:
아니하시거든. 아니+-+거+시+. //가 탈락하고 /ㅎ/과 /ㄱ/이 결합하여 /ㅋ/으로 실현. ‘-’이 단독으로 나타나는 일이 없으므로 불연속형태소 ‘-거…’을 인정하기도 함.
太子 蓮華 上애 니 白象 비노다 주013)
비노다:
빕니다. 빌-[乞, 祈]+++오/우++다. 치음 앞에서 /ㄹ/ 탈락.
太子ㅣ 象 잇 오야 주014)
오야:
외양간에. 오+애/에.
려가  象 가져가라 대 여듧 道士ㅣ 닐오 우리 蓮華 上애 니 일후미 須檀延이라  白象 주015)
을:
을(목적격조사)+(강조). [의무], [당연],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 체언, 조사, 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을 얻고져 노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9]
여덟 도사가 이르기를, “우리는 들으니, 태자가 보시를 즐기시어 구하는 것은 남의 뜻을 거스르지 아니하신다 하나니, 태자의 이름이 8방에 다 퍼지시며 위로 하늘에 사무치고 아래로 황천에 이르러, 보시하시는 공덕이 그지없어, 먼 데며 가까운 데며 노래를 불러 기리옵나니, 태자가 진실로 남의 뜻을 거스르지 아니하시거든 태자께 연화 위에 다니는 백상을 비옵니다.” 태자가 코끼리가 있는 외양간에 데려가 한 코끼리를 가져가라 하니까, 여덟 도사가 이르기를, “우리는 연화 위를 다니는 이름이 수단연이라 하는 백상을 꼭 얻고자 합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드로니:들으니. 듣/들-+오/우+니.
주002)
우흐로:위로 웋[上].
주003)
하해:하늘에. 하[天]+애/에.
주004)
고:통하고. 사무치고. -[透]+고. ‘ㅊ→ㅅ’은 8종성표기법.
주005)
황천:저승.
주006)
니르러:이르러. 니를-[至]+어/아. 현대국어의 불규칙활용형 ‘이르러’는 중세국어 ‘니를-+어→니르러’의 화석형이다.
주007)
그지업서:한이 없어. ‘그지’는 ‘긎[限]+이(주격조사)’. ‘그지없-’은 합성형용사로 굳어진 것.
주008)
여:데며. +여(접속조사).
주009)
갓가:가까운. 갓-[近]+/은.
주010)
놀애:노래. 이 어휘는 이처럼 분철된다.
주011)
기리니:기리옵나니. 기리-[讚].
주012)
아니커시:아니하시거든. 아니+-+거+시+. //가 탈락하고 /ㅎ/과 /ㄱ/이 결합하여 /ㅋ/으로 실현. ‘-’이 단독으로 나타나는 일이 없으므로 불연속형태소 ‘-거…’을 인정하기도 함.
주013)
비노다:빕니다. 빌-[乞, 祈]+++오/우++다. 치음 앞에서 /ㄹ/ 탈락.
주014)
오야:외양간에. 오+애/에.
주015)
을:을(목적격조사)+(강조). [의무], [당연],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 체언, 조사, 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