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21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21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21]
 婆羅
몬이 와 술위 메 주001)
메:
메운. 메-[駕]+이(사동접미사)+오/우+ㄴ. ‘ㆀ’은 사동접미사의 개입에 따른 개구도의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 비러늘 太

월인석보 20:70ㄴ

ㅣ 즉재 글어 주002)
글어:
끌러. 그르-[解]+어. ‘르/르’ 불규칙 용언 중 이른바 ‘ㄹㅇ’형. ‘ㄹㅇ’형에는 ‘다-[異], 그르-[解], 게으르-[懶怠]’ 등이 있고, ‘ㄹㄹ’형에는 ‘-[速], 모-, 므르-[退], 브르-[呼]’ 등이 있다.
내야 주003)
내야:
내어. 나-[出]+ㅣ(사동접미사)+어/아. ‘-야’는 모음동화 또는 반자음 [j] 개입에 의한 모음충돌회피.
주고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21]
한 바라 … 문이 와 수레를 멘 말을 달라고 하거늘 태 …… 자가 즉시 끌러 내어 주고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메:메운. 메-[駕]+이(사동접미사)+오/우+ㄴ. ‘ㆀ’은 사동접미사의 개입에 따른 개구도의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주002)
글어:끌러. 그르-[解]+어. ‘르/르’ 불규칙 용언 중 이른바 ‘ㄹㅇ’형. ‘ㄹㅇ’형에는 ‘다-[異], 그르-[解], 게으르-[懶怠]’ 등이 있고, ‘ㄹㄹ’형에는 ‘-[速], 모-, 므르-[退], 브르-[呼]’ 등이 있다.
주003)
내야:내어. 나-[出]+ㅣ(사동접미사)+어/아. ‘-야’는 모음동화 또는 반자음 [j] 개입에 의한 모음충돌회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