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6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6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6]
妃子ㅣ 닐
飮食과 보라 주001)
보라:
부드러운. 보-[軟].
太子와 주002)
닫:
따로.
이쇼리고 주003)
이쇼리고:
있겠습니까? 이시-+오/우+리++고. ‘--’은 ‘--’의 이형태로서 의문종결어미 ‘-고, -가’ 앞에 나타남.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다.
서르 주004)
서르:
서로.
여희디 주005)
여희디:
여의지. 여희-[離]+디.
몯호리니 주006)
몯호리니:
못하리니. 몯-+오/우+리+니.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이른바 의도법 선어말어미.
모로
子 좃 가리다 주007)
가리다:
가겠습니다.
나 다
子 믿고 주008)
믿고:
믿고. 믿-[信]+(겸양 선어말어미)+고. ‘--’은 여기서 주체(=화자)를 겸양하는 기능을 지닌다.
사니노니 주009)
사니노니:
살아가니. 살-+니-++오/우+니.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이른바 의도법 선어말어미.
나라해 주010)
나라해:
나라에. 나랗[國]+애. ‘나랗’은 ‘ㅎ’ 종성체언. 현대국어에서도 ‘나라가’ 대신 ‘나라이’가 노년층에서 쓰이는데, 이것은 어말 자음 ‘ㅎ’의 흔적이다. 즉 ‘나랗+이→나라히〉나라이’.
겨 주011)
겨:
계실. 겨시-+ㅭ.
주012)
제:
때에.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휘 뒤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믈읫 사 布
거시든 내 네 좃 주013)
좃:
따라. 좆-[從]+(주체겸양 선어말어미)+아/어.
탱子ㅣ 머리 니거시
미와 빌어든 주014)
빌어든:
빌거든. 빌-[乞]+거든/어든. ‘ㅇ’은 /ㄹ/ 뒤에서 /ㄱ/이 약화된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동화되지 않는다.
므스기 주015)
므스기:
무엇이. 므슥[何](의문대명사)+이.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6]
태자비가 이르 … 음식과 부드러운 휘장 … 태자와 따로 있으리이까? 끝 … 내 서로 헤어지지 못하리니, 모름지기 … 자를 따라 가리이다. 나는 다 … 자를 믿고 사노니, 태 … 나라에 계실 때에 여러 사람에게 보 … 셨으니, 내가 늘 좇아서 하 … 태자가 멀리 가시 … 미가 빌면(걸식하면) 무엇이 …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보라:부드러운. 보-[軟].
주002)
닫:따로.
주003)
이쇼리고:있겠습니까? 이시-+오/우+리++고. ‘--’은 ‘--’의 이형태로서 의문종결어미 ‘-고, -가’ 앞에 나타남.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다.
주004)
서르:서로.
주005)
여희디:여의지. 여희-[離]+디.
주006)
몯호리니:못하리니. 몯-+오/우+리+니.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이른바 의도법 선어말어미.
주007)
가리다:가겠습니다.
주008)
믿고:믿고. 믿-[信]+(겸양 선어말어미)+고. ‘--’은 여기서 주체(=화자)를 겸양하는 기능을 지닌다.
주009)
사니노니:살아가니. 살-+니-++오/우+니.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이른바 의도법 선어말어미.
주010)
나라해:나라에. 나랗[國]+애. ‘나랗’은 ‘ㅎ’ 종성체언. 현대국어에서도 ‘나라가’ 대신 ‘나라이’가 노년층에서 쓰이는데, 이것은 어말 자음 ‘ㅎ’의 흔적이다. 즉 ‘나랗+이→나라히〉나라이’.
주011)
겨:계실. 겨시-+ㅭ.
주012)
제:때에.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휘 뒤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013)
좃:따라. 좆-[從]+(주체겸양 선어말어미)+아/어.
주014)
빌어든:빌거든. 빌-[乞]+거든/어든. ‘ㅇ’은 /ㄹ/ 뒤에서 /ㄱ/이 약화된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동화되지 않는다.
주015)
므스기:무엇이. 므슥[何](의문대명사)+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