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8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8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8]
여듧 道士ㅣ 막다히 주001)
막다히:
지팡이. 막다히〉막다이〉막대. ‘, 애, 에, 외’ 등이 단모음으로 변화한 것은 근대국어 말기 이후.
딥고 주002)
딥고:
짚고. 8종성표기법. ‘딮-〉짚-’의 구개음화는 17세기 무렵에 발생함.
뫼토 주003)
뫼토:
산도. 묗[山]+도. ‘묗’은 ‘ㅎ ’종성체언.
나며 주004)
나며:
넘으며. 남-[越, 餘]+며/으며.
내토 주005)
내토:
냇물도. 냏[川]+도. ‘냏’은 ‘ㅎ ’종성체언.
걷나 주006)
걷나:
건너. 건나-[渡].
葉波國에 가 太子ㅅ 宮門애 다라 막다히

월인석보 20:64ㄴ

주007)
딥곰:
짚고. 딮-+고+ㅁ. ‘-ㅁ’은 강세의 보조사.
 발 들옴 주008)
들옴:
들고. 들-+고+ㅁ(강세 보조사). ‘ㅇ’은 /ㄹ/ 뒤에서 /ㄱ/이 약화된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지 않는다.
솃더니 주009)
솃더니:
서 있더니. 섰더니. 셔-[立]+아/어+잇-+더+니.
門 자 주010)
문 자:
문을 지키는. 잡-[持, 操]+/은.
사미 드러 주011)
들어:
들-[入]+아/어.
닐오 밧긔 주012)
밧긔:
밖에. +의. ‘-/의’는 관형격조사와 형태가 같은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여듧 道士ㅣ 와 닐오 부러 주013)
부러:
일부러.
머리셔 주014)
머리셔:
멀리서. 멀-+이(부사파생접미사 또는 부사형어미)+셔(출발점을 나타내는 부사격조사). 부사 ‘머리’가 명사적 용법으로 쓰인 것.
오니 비 주015)
비:
빌. 빌-[祈]+(주체겸양 선어말어미)+옳/욿.
거시 이셰라 주016)
이셰라:
있어라. 있도다. 이시-+어/아(연결어미)+ㅣ(서술격조사)+라. 서술격조사가 용언의 연결형에 쓰인 것. ‘-애/에-’를 감탄의 선어말어미로 기술하기도 함.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더-’가 ‘-러-’로 ‘-도-’가 ‘-로-’로, ‘-오/우-’가 ‘-로-’로, ‘-다’가 ‘-라’로 교체된다.
다 太子ㅣ 듣고  깃거 주017)
깃거:
기뻐하여. -[喜](동사어간)+어. 현대국어 ‘기꺼이’는 ‘-+(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로 이루어진 파생어이다.
즉자히 주018)
즉자히:
즉시. 곧. 이 책에서 ‘즉재’로 나타나기도 한다(65ㄴ).
주019)
나:
나가서. 나-[出]+아. ‘나-[出]’와 ‘-[進]’이 ‘-아’와 결합하면, 각각 ‘나-[出]+아→나 ; -[進]+아→나’로 구별된다.
迎逢야 子息이 아비 본 시 주020)
시:
-듯이. ‘(-)’은 어간 뒤에도 쓰이고 ‘-ㄴ, -ᄚ’ 뒤에도 쓰인다. 관례에 따라 전자는 어미, 후자는 명사로 처리해 둔다. ‘(-)시’의 ‘-이’가 어미인지 접사인지 하는 문제도 결정하기 어렵다. ‘어간++이’에서는 어미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간+ㄴ(ᄚ)+(명사)+이’에서는 어미로 보기도 어렵고 접사로 보기도 어렵다.
禮數 주021)
예수:
예배. 절하는 것.
고 무로 주022)
무로:
묻되. 묻/물-+오/우+.
어드러셔 주023)
어드러셔:
어디에서.
오시니고 주024)
오시니고:
오셨습니까. ‘--’은 ‘--’의 이형태로서 의문종결어미 ‘-고, -가’ 앞에 나타남.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다.
길히 주025)
길히:
길이. 긿[道]+이(주격조사).
아니 주026)
아니:
아니. 부정 부사. 중세국어에서는 보조용언을 이용한 ‘-디 아니-’ 형식의 부정문 외에 이처럼 부정 부사 ‘아니’를 이용한 짧은 부정문이 현대국어에 비해 널리 쓰였다.
더니가 주027)
더니가:
피곤하시던가요. -[疲]. ‘--’은 ‘--’의 이형태로서 의문종결어미 ‘-고, -가’ 앞에 나타남.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다.
므스글 주028)
므스글:
무엇을. 므슥[何]+을.
얻고져 야  발로 셔 겨시니 주029)
겨시니:
계신가요. 겨시-[在]+니. ‘-니’는 반말체 종결형식으로 알려져 있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8]
여덟 도사가 지팡이 짚고 산도 넘으며, 내도 건너 섭파국에 가서 태자의 궁문에 다다라 지팡이를 짚으며 한 발을 들고 서 있더니, 문 지키는 사람이 들어가서 이르기를, “밖에 여덟 도사가 와서 이르기를, ‘〈우리는〉 부러 멀리서 왔으니, 빌 것이 있다’고 하나이다.” 태자가 듣고 매우 기뻐하여 곧 나가 맞아 자식이 아비 본 듯이 예배하고 묻기를 “어디에서 오셨습니까? 길이 피곤하지 않았습니까? 무엇을 얻고자 하여 한 발로 서 계시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막다히:지팡이. 막다히〉막다이〉막대. ‘, 애, 에, 외’ 등이 단모음으로 변화한 것은 근대국어 말기 이후.
주002)
딥고:짚고. 8종성표기법. ‘딮-〉짚-’의 구개음화는 17세기 무렵에 발생함.
주003)
뫼토:산도. 묗[山]+도. ‘묗’은 ‘ㅎ ’종성체언.
주004)
나며:넘으며. 남-[越, 餘]+며/으며.
주005)
내토:냇물도. 냏[川]+도. ‘냏’은 ‘ㅎ ’종성체언.
주006)
걷나:건너. 건나-[渡].
주007)
딥곰:짚고. 딮-+고+ㅁ. ‘-ㅁ’은 강세의 보조사.
주008)
들옴:들고. 들-+고+ㅁ(강세 보조사). ‘ㅇ’은 /ㄹ/ 뒤에서 /ㄱ/이 약화된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지 않는다.
주009)
솃더니:서 있더니. 섰더니. 셔-[立]+아/어+잇-+더+니.
주010)
문 자:문을 지키는. 잡-[持, 操]+/은.
주011)
들어:들-[入]+아/어.
주012)
밧긔:밖에. +의. ‘-/의’는 관형격조사와 형태가 같은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주013)
부러:일부러.
주014)
머리셔:멀리서. 멀-+이(부사파생접미사 또는 부사형어미)+셔(출발점을 나타내는 부사격조사). 부사 ‘머리’가 명사적 용법으로 쓰인 것.
주015)
비:빌. 빌-[祈]+(주체겸양 선어말어미)+옳/욿.
주016)
이셰라:있어라. 있도다. 이시-+어/아(연결어미)+ㅣ(서술격조사)+라. 서술격조사가 용언의 연결형에 쓰인 것. ‘-애/에-’를 감탄의 선어말어미로 기술하기도 함.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더-’가 ‘-러-’로 ‘-도-’가 ‘-로-’로, ‘-오/우-’가 ‘-로-’로, ‘-다’가 ‘-라’로 교체된다.
주017)
깃거:기뻐하여. -[喜](동사어간)+어. 현대국어 ‘기꺼이’는 ‘-+(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로 이루어진 파생어이다.
주018)
즉자히:즉시. 곧. 이 책에서 ‘즉재’로 나타나기도 한다(65ㄴ).
주019)
나:나가서. 나-[出]+아. ‘나-[出]’와 ‘-[進]’이 ‘-아’와 결합하면, 각각 ‘나-[出]+아→나 ; -[進]+아→나’로 구별된다.
주020)
시:-듯이. ‘(-)’은 어간 뒤에도 쓰이고 ‘-ㄴ, -ᄚ’ 뒤에도 쓰인다. 관례에 따라 전자는 어미, 후자는 명사로 처리해 둔다. ‘(-)시’의 ‘-이’가 어미인지 접사인지 하는 문제도 결정하기 어렵다. ‘어간++이’에서는 어미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간+ㄴ(ᄚ)+(명사)+이’에서는 어미로 보기도 어렵고 접사로 보기도 어렵다.
주021)
예수:예배. 절하는 것.
주022)
무로:묻되. 묻/물-+오/우+.
주023)
어드러셔:어디에서.
주024)
오시니고:오셨습니까. ‘--’은 ‘--’의 이형태로서 의문종결어미 ‘-고, -가’ 앞에 나타남.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다.
주025)
길히:길이. 긿[道]+이(주격조사).
주026)
아니:아니. 부정 부사. 중세국어에서는 보조용언을 이용한 ‘-디 아니-’ 형식의 부정문 외에 이처럼 부정 부사 ‘아니’를 이용한 짧은 부정문이 현대국어에 비해 널리 쓰였다.
주027)
더니가:피곤하시던가요. -[疲]. ‘--’은 ‘--’의 이형태로서 의문종결어미 ‘-고, -가’ 앞에 나타남.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다.
주028)
므스글:무엇을. 므슥[何]+을.
주029)
겨시니:계신가요. 겨시-[在]+니. ‘-니’는 반말체 종결형식으로 알려져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