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본생담]
  •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8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8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8]
그 太子ㅣ 목수미 몯 다 그처셔 주001)
그처셔:
끊어져서. 긏-[止]+어셔. ‘-어셔’는 기원적으로 ‘어(연결어미)+시-[有]+아/어’의 구조. ‘시-’는 ‘이시-’의 이형태.
소리 내야 盟誓 호 願  前生앳 모딘 이리 일로브터 다 업고 주002)
업고:
없고. 없어지고.
오롯 주003)
오롯:
오늘부터. 오+로+ㅅ. ‘-ㅅ’은 관형격조사.
後에 외야 짓디 마로리다 주004)
마로리다:
말 것입니다. 말-[止]+오/우+리++다.
내 이제 이 모로 父母를

월인석보 20:114ㄱ

供養야 救니 주005)
니:
-하(오)니. -++오/우+니. ‘--’은 주체겸양 선어말어미.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함.
願  父母ㅣ 누어 주006)
누어:
누워. 어간이 ‘-’이므로 중세국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누’나 ‘누워’로 적힘.
便安시며  주007)
:
깨어. -[覺]+아/어. 현대 경상도 방언에서 ‘깨우다’를 뜻하는 ‘까배다’가 쓰이는데, 이 ‘까배다’가 ‘’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便安시며 구즌  아니 시며 하히 護持 주008)
호지:
지켜서 보유함.
시며 사미 며 주009)
며:
사랑하며. 생각하며. 사랑하오며. [思. 愛]+-+(주체겸양 선어말어미)+며/으며.
그위며 주010)
그위며:
관아이며. 그위[官衙]. 그위〉구위〉귀. ‘公’자를 ‘귀 공’이라 하는데, 이 때의 ‘귀’는 바로 ‘그위’에서 변한 말이다.
도기며 모딘  다 스러디고 일마다 吉祥 주011)
길상:
경사스러운 일이 일어날 조짐.
쇼셔 나 모맷 고기란 이 모 布

월인석보 20:114ㄴ

施야 다 브르긔 주012)
브르긔:
배부르게. 브르-[飽]+긔. ‘-긔’와 ‘-게’는 같은 기능으로 쓰임.
야 내 來世예 부톄 외에 주013)
외에:
되게. 외-+게/에. ‘ㅇ’은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부음 [j] 뒤의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표기한 것. ‘, 애, 에, 외’ 등이 단모음화하는 것은 근대국어 말기 이후이다.
고라 주014)
고라:
하기를 바라노라. 하여라. ‘-고라’는 [청원]의 의미를 띤 명령종결형식.
부톄 외야 주015)
외야:
되어야. 외-+아(어말어미)+(의무, 당연). [의무], [당연],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 체언, 조사, 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法食 주016)
법식:
율에 규정된 대로 법에 맞는 음식.
로 너의 주으리며 주017)
주으리며:
주리며. 주으리-[飢]+며/으며. ‘주으리며 목며 죽사릿 病을 더루리라’는 비문으로 보인다. ‘-며’를 접속조사로 볼 수도 있으나, ‘주으림, 목’에 ‘-오/우-’가 통합하지 않은 사실은 ‘주으림, 목’을 명사형으로 보기 어렵게 한다.
목며 죽사릿 주018)
죽사릿:
생사의. 죽사리[生死]+ㅅ(관형격조사). 관형격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유정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病을 더루리라 주019)
더루리라:
덜리라. 덜-[減]+오/우+리+라. ‘덜-’은 타동사.
더니 이 願 發 時節에 天地 六種 震動 주020)
육종진동:
세상에 상서로운 일이 있을 때에 대지가 진동하는 모양의 여섯 가지.
고 주021)
:
태양의. +ㅅ(관형격조사).
光이 업고 주022)
업고:
없고. 없어지고. ‘없-’이 ‘업-’으로 적힌 것은 8종성표기법.
새 쥐  주023)
:
짐승이. +이.
놀라 두루 헤니며 주024)
헤니며:
헤매어 다니며.

월인석보 20:115ㄱ

海예 믈리 뮈니 湏彌山 주025)
수미산:
묘고산(妙高山)으로 한역됨. 불교의 우주관에 의하면 세계의 중심에 높이 솟은 거대한 산. 그 둘레에 7산(山) 8해(海)가 있다.
소락 주026)
소락:
솟았다가 잠겼다가. ‘-락’은 [반복]을 나타내는 어미.
락 야 忉利天 주027)
도리천:
33천(三十三天). 수미산 정상에 있으며, 제석천(帝釋天)이 여기에 산다 함.
에 니르리 다  주028)
:
매우. 크게.
드러치더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8]
그때에 태자가 목숨이 다 끊어지지 못하여(목숨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소리를 내어 맹세를 하되, “원하건대 전생의 모진 일이 지금으로부터 다 없어지고, 오늘로부터 후에는 다시 〈모진 일을〉 짓지 않겠습니다. 내가 이제 이 몸으로 부모를 공양하여 구하오니, 원하는 바는 부모님이 누워서도 편안하시며 깨어서도 편안하시며, 궂은 꿈을 아니 꾸시며 하늘이 호지하시며, 사람들이 사랑하며, 관아며 도적이며 모진 꾀가 다 스러지고, 일마다 길하고 상서로우소서. 남은 몸의 고길랑 이 모기들에게 보시하여 다 배부르게 하여, 〈모기들아〉 내가 내세에 부처가 되게 하여라. 부처가 되어야 법식으로써 너희가 주리며 목마르며 〈하는〉 생사의 병을 덜게 하리라.” 하니까, 이 원을 발할 시절에 천지가 6종으로 진동하고 햇빛이 없어지고 새, 쥐 〈등〉 짐승들이 놀라 두루 헤매어 다니며 대해에 물결이 움직이니, 수미산이 솟으락 잠기락 하여 도리천에 이르기까지 다 매우 진동하더라.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처셔:끊어져서. 긏-[止]+어셔. ‘-어셔’는 기원적으로 ‘어(연결어미)+시-[有]+아/어’의 구조. ‘시-’는 ‘이시-’의 이형태.
주002)
업고:없고. 없어지고.
주003)
오롯:오늘부터. 오+로+ㅅ. ‘-ㅅ’은 관형격조사.
주004)
마로리다:말 것입니다. 말-[止]+오/우+리++다.
주005)
니:-하(오)니. -++오/우+니. ‘--’은 주체겸양 선어말어미.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함.
주006)
누어:누워. 어간이 ‘-’이므로 중세국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누’나 ‘누워’로 적힘.
주007)
:깨어. -[覺]+아/어. 현대 경상도 방언에서 ‘깨우다’를 뜻하는 ‘까배다’가 쓰이는데, 이 ‘까배다’가 ‘’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주008)
호지:지켜서 보유함.
주009)
며:사랑하며. 생각하며. 사랑하오며. [思. 愛]+-+(주체겸양 선어말어미)+며/으며.
주010)
그위며:관아이며. 그위[官衙]. 그위〉구위〉귀. ‘公’자를 ‘귀 공’이라 하는데, 이 때의 ‘귀’는 바로 ‘그위’에서 변한 말이다.
주011)
길상:경사스러운 일이 일어날 조짐.
주012)
브르긔:배부르게. 브르-[飽]+긔. ‘-긔’와 ‘-게’는 같은 기능으로 쓰임.
주013)
외에:되게. 외-+게/에. ‘ㅇ’은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부음 [j] 뒤의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표기한 것. ‘, 애, 에, 외’ 등이 단모음화하는 것은 근대국어 말기 이후이다.
주014)
고라:하기를 바라노라. 하여라. ‘-고라’는 [청원]의 의미를 띤 명령종결형식.
주015)
외야:되어야. 외-+아(어말어미)+(의무, 당연). [의무], [당연],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 체언, 조사, 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주016)
법식:율에 규정된 대로 법에 맞는 음식.
주017)
주으리며:주리며. 주으리-[飢]+며/으며. ‘주으리며 목며 죽사릿 病을 더루리라’는 비문으로 보인다. ‘-며’를 접속조사로 볼 수도 있으나, ‘주으림, 목’에 ‘-오/우-’가 통합하지 않은 사실은 ‘주으림, 목’을 명사형으로 보기 어렵게 한다.
주018)
죽사릿:생사의. 죽사리[生死]+ㅅ(관형격조사). 관형격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유정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19)
더루리라:덜리라. 덜-[減]+오/우+리+라. ‘덜-’은 타동사.
주020)
육종진동:세상에 상서로운 일이 있을 때에 대지가 진동하는 모양의 여섯 가지.
주021)
:태양의. +ㅅ(관형격조사).
주022)
업고:없고. 없어지고. ‘없-’이 ‘업-’으로 적힌 것은 8종성표기법.
주023)
:짐승이. +이.
주024)
헤니며:헤매어 다니며.
주025)
수미산:묘고산(妙高山)으로 한역됨. 불교의 우주관에 의하면 세계의 중심에 높이 솟은 거대한 산. 그 둘레에 7산(山) 8해(海)가 있다.
주026)
소락:솟았다가 잠겼다가. ‘-락’은 [반복]을 나타내는 어미.
주027)
도리천:33천(三十三天). 수미산 정상에 있으며, 제석천(帝釋天)이 여기에 산다 함.
주028)
:매우. 크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