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6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6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6]
太子ㅣ  大王ㅅ 두겨신 주001)
두겨신:
두고 계신. 두-+겨-+신. 합성동사. ‘두-’가 보조용언을 취할 때에는 보조적 연결어미 ‘-어, -고’가 나타나지 않는다. ‘-엣-’은 ‘--, -ㅅ-’으로 교체된다. (예) : ‘가지로 識心을 가져 몸 안해 뒷노니(능엄경언해 1:47)’. (예) : ‘先生의 둣논 道理(두시언해 초간본 15:37)’.
보 어더 네 城門 밧과 주002)
밧과:
밖과. [外]. +과.
져잿 주003)
져잿:
저자의. 시장의. 져재[市場]+ㅅ.
가온 주004)
가온:
가운데. 가〉가온.
노하 두고 布施

월인석보 20:63ㄴ

야 求리 잇거든  주005)
:
남의. [他]+/의.
들 주006)
들:
뜻을. [意].
거스디 마오져 주007)
마오져:
말고자. 그만두고자. 말-[止]+고져. ‘ㅇ’은 /ㄹ/ 뒤에서 /ㄱ/이 약화된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순행동화되지 않는다. ‘마-’는 ‘말-’의 이형태.
노다 王이 니샤  주008)
:
마음껏. +ㅅ(관형격조사)+(명사). ‘’으로도 표기됨. ‘/’이 보조사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라 주009)
라:
써라. -[用]+(으)라. ‘-어라’는 직접화법에, ‘-(으)라’는 간접화법에 쓰이는 것으로 보임.
太子ㅣ 사 브려 보 술위로 주010)
술위로:
수레로.
시러 내야 네 城門 밧과 져잿 가온 주011)
가온:
가운데에.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휘 뒤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두고 사 가지고져  야로 布施니 十方애셔 太子ㅅ 功德 몯 드르니 주012)
몯 드르니:
듣지 못한 사람이. 몯+듣/들-+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중세국어에서는 이처럼 부정 부사를 이용한 단형 부정이 현대국어보다 더 널리 쓰였다.
업더니 먼 주013)
:
데의. 곳의. 관형격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명사 뒤에는 ‘-ㅅ’이, 평칭의 유정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사미 百里로셔 주014)
로셔:
-로부터. 현대국어에서도 ‘-로’가 [출발점]을 뜻하는 경우가 많이 있음.
오며 千里로셔 오며 萬里 밧긔셔도 오더니 밥 먹고져 리란 주015)
리란:
하는 일랑은. -+ㄹ+이+란(보조사).
이바며 주016)
이바며:
이바지하며. 음식을 대접하며.
옷 얻고져 리란 옷 주며 金銀 珍寶 얻고져 리란  주어 주017)
제:
스스로의. ‘제’(평성)은 관형격, ‘제’(상성)은 주격으로 씌었음.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들 거스디 아니더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6]
태자가 여쭈되, “대왕께서 두고 계신 보배를 얻어 네 성문 밖과 저자의 가운데 놓아두고 보시하여 구하는 이가 있거든 남의 뜻을 거스르지 말고자(보시하고자) 합니다.” 왕이 이르시되, “마음껏 써라.” 태자가 사람을 부려 보배를 수레로 실어내어 네 성문 밖과 저자의 가운데 두고 사람이 가지고자 하는 모양대로 보시하니, 시방에서 태자의 공덕을 못 들은 사람이 없더니, 먼 뎃 사람이 백 리 〈밖〉에서 오며, 천 리 〈밖〉에서도 오며, 만 리 밖에서도 오더니, 밥 먹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음식을 대접하며, 옷을 얻고자 하는 사람일랑은 옷을 주며, 금은 진보를 얻고자 하는 사람일랑은 마음껏 주어 그들의 뜻을 거스르지 아니했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두겨신:두고 계신. 두-+겨-+신. 합성동사. ‘두-’가 보조용언을 취할 때에는 보조적 연결어미 ‘-어, -고’가 나타나지 않는다. ‘-엣-’은 ‘--, -ㅅ-’으로 교체된다. (예) : ‘가지로 識心을 가져 몸 안해 뒷노니(능엄경언해 1:47)’. (예) : ‘先生의 둣논 道理(두시언해 초간본 15:37)’.
주002)
밧과:밖과. [外]. +과.
주003)
져잿:저자의. 시장의. 져재[市場]+ㅅ.
주004)
가온:가운데. 가〉가온.
주005)
:남의. [他]+/의.
주006)
들:뜻을. [意].
주007)
마오져:말고자. 그만두고자. 말-[止]+고져. ‘ㅇ’은 /ㄹ/ 뒤에서 /ㄱ/이 약화된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순행동화되지 않는다. ‘마-’는 ‘말-’의 이형태.
주008)
:마음껏. +ㅅ(관형격조사)+(명사). ‘’으로도 표기됨. ‘/’이 보조사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주009)
라:써라. -[用]+(으)라. ‘-어라’는 직접화법에, ‘-(으)라’는 간접화법에 쓰이는 것으로 보임.
주010)
술위로:수레로.
주011)
가온:가운데에.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휘 뒤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012)
몯 드르니:듣지 못한 사람이. 몯+듣/들-+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중세국어에서는 이처럼 부정 부사를 이용한 단형 부정이 현대국어보다 더 널리 쓰였다.
주013)
:데의. 곳의. 관형격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명사 뒤에는 ‘-ㅅ’이, 평칭의 유정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14)
로셔:-로부터. 현대국어에서도 ‘-로’가 [출발점]을 뜻하는 경우가 많이 있음.
주015)
리란:하는 일랑은. -+ㄹ+이+란(보조사).
주016)
이바며:이바지하며. 음식을 대접하며.
주017)
제:스스로의. ‘제’(평성)은 관형격, ‘제’(상성)은 주격으로 씌었음.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