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5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5]
道人
닐오 이 山中 淸淨
히니 그듸 엇뎨 주001)
엇뎨:
어찌.
妻子 려
理 호고져 주002)
호고져:
배우고자. 호-[學]+고+지+어.
다 주003)
다:
하느냐? -++ㄴ다. 중세국어의 ‘-ㄴ다, - 다’는 2인칭 주어문의 의문종결형식.
太子
對答 아니얫거 주004)
아니얫거:
아니하였거늘. 아니-+야/아/어+잇-+거+.
道人ㅅ손 주005)
ㅅ손:
-에게. 기원적으로 ‘ㅅ’은 관형격조사였을 것으로 보인다.
무로 주006)
무로:
묻되. 묻/물-+오/우+.
이 주007)
이:
여기에.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환 주008)
환:
배운. 호-+아/어(확정법 선어말어미)+ㄴ. 확정법 선어말어미는 자동사, 형용사, 서술격조사에는 ‘-거-’가, 타동사에는 ‘-아/어-’가 쓰였다.
주009)
디:
지가. (의존명사)+ㅣ(주격조사).
주010)
몃:
몇. ‘몇→몃’은 8종성표기법.
고 주011)
고:
해입니까. +∅(서술격조사)+(청자존대 선어말어미)+고(의문종결어미). ‘-고’는 설명의문의 종결어미(보조사)인데, 의문과 관련된 어사(語辭)가 있을 때 쓰인다. ‘-가’는 판정의문의 종결어미(보조사)인데, 이 때에는 가부(可否)의 판정을 요구한다.
오 四五百 어다 주012)
어다:
해였다. [年]+∅(서술격조사)+거/어+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5]
도인 … 이르기를, 이 산중은 청정 … 이니, 그대 어찌 처자 데리고 … 도리를 배우고자 하느냐? 태자 … 대답을 아니하거늘, 태자비 … 도인에게 묻기를, 여기에 … 리를 배운 지가 몇 해째입니까? 도 … 되, 4·5백 해가 지났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엇뎨:어찌.
주002)
호고져:배우고자. 호-[學]+고+지+어.
주003)
다:하느냐? -++ㄴ다. 중세국어의 ‘-ㄴ다, - 다’는 2인칭 주어문의 의문종결형식.
주004)
아니얫거:아니하였거늘. 아니-+야/아/어+잇-+거+.
주005)
ㅅ손:-에게. 기원적으로 ‘ㅅ’은 관형격조사였을 것으로 보인다.
주006)
무로:묻되. 묻/물-+오/우+.
주007)
이:여기에.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주008)
환:배운. 호-+아/어(확정법 선어말어미)+ㄴ. 확정법 선어말어미는 자동사, 형용사, 서술격조사에는 ‘-거-’가, 타동사에는 ‘-아/어-’가 쓰였다.
주009)
디:지가. (의존명사)+ㅣ(주격조사).
주010)
몃:몇. ‘몇→몃’은 8종성표기법.
주011)
고:해입니까. +∅(서술격조사)+(청자존대 선어말어미)+고(의문종결어미). ‘-고’는 설명의문의 종결어미(보조사)인데, 의문과 관련된 어사(語辭)가 있을 때 쓰인다. ‘-가’는 판정의문의 종결어미(보조사)인데, 이 때에는 가부(可否)의 판정을 요구한다.
주012)
어다:해였다. [年]+∅(서술격조사)+거/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