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67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67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67]
王이 두 孫子 아시고 두루 니시

월인석보 20:88ㄴ

주001)
니시며:
만지시며. ‘니-’와 ‘지-’가 모두 같은 뜻[摩]으로 쓰였음.
무르샤 네 아비 뫼해 이셔 므스글 머그며 므스글 닙더뇨 주002)
닙더뇨:
입더냐. 닙-[被]+더+니+고/오(의문종결어미).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포함하고 있는 ‘-니-’ 뒤에서 /ㄱ/이 약화된 ‘-니오’가 ‘ㅇ’ 탈락을 경험한 것이다.
두 아기 對答호 나못 여름과 주003)
여름과:
열매와. 여름[實]+과. [夏]를 뜻하는 말은 ‘녀름’이었음.
콰 주004)
콰:
나물과. [菜]+과. ‘’은 소위 ‘ㅎ ’종성체언.
먹고 褐로 옷 야 닙고【褐 터러그로 주005)
터러그로:
터럭으로. 털로. 터럭[毛]+로/으로.
주006)
:
짠. -[織]+오/우+ㄴ.
굴근 뵈니 주007)
뵈니:
베니. 뵈[布]+∅(서술격조사)+니.
삼 주008)
삼:
삼노끈으로 성글게 짠 옷.
 거시니 常人이 닙니라 주009)
닙니라:
입는 것이다.
온 가짓 새와 서르 주010)
서르:
서로.
즐기고  시름 미 업더다 주011)
업더다:
없더이다. 없었습니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67]
왕이 두 손자를 안으시고 두루 만지시며 물으시되, “네 아비가 산에 있어서 무엇을 먹으며 무엇을 입더냐?” 두 아기 대답하기를, “나무의 열매와 나물을 먹고 갈로 옷을 하여 입고【‘갈’은 터럭으로 짠 굵은 베니, 삼장 같은 것이니, 상사람이 입는 것이다.】 온 가지 새와 서로 즐기고 또 시름하는 마음이 없더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시며:만지시며. ‘니-’와 ‘지-’가 모두 같은 뜻[摩]으로 쓰였음.
주002)
닙더뇨:입더냐. 닙-[被]+더+니+고/오(의문종결어미).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포함하고 있는 ‘-니-’ 뒤에서 /ㄱ/이 약화된 ‘-니오’가 ‘ㅇ’ 탈락을 경험한 것이다.
주003)
여름과:열매와. 여름[實]+과. [夏]를 뜻하는 말은 ‘녀름’이었음.
주004)
콰:나물과. [菜]+과. ‘’은 소위 ‘ㅎ ’종성체언.
주005)
터러그로:터럭으로. 털로. 터럭[毛]+로/으로.
주006)
:짠. -[織]+오/우+ㄴ.
주007)
뵈니:베니. 뵈[布]+∅(서술격조사)+니.
주008)
삼:삼노끈으로 성글게 짠 옷.
주009)
닙니라:입는 것이다.
주010)
서르:서로.
주011)
업더다:없더이다. 없었습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