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1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1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1]
太子ㅣ 닐오
싱 맛드러  주001)
:
남의. [他]+/의(관형격).
들 거스
노니 아뫼어나 주002)
아뫼어나:
아무이거나. 아모[某]+ㅣ+거나/어나. ‘-거-’는 과거시제·완료·확정법을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임. ‘-어-’는 ‘-거-’가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이 약화한 것. 이 때의 ‘ㅇ’은 유성성문마찰음 [ɦ](자음)을 표기한 것으로서, 원칙적으로 연철되거나 모음동화되지 않는다.
사미 내 손
식을 비러도 내 아니 주믈 주003)
주믈:
줌을. ·주(어간. 거성)+오/우+ㅁ→:줌(상성).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외현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바뀐다.
몯
듸 다가 내 말옷 주004)
말옷:
말을. 말+곳/옷. ‘-곳/옷’은 강조의 보조사.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됨. 이 때의 ‘ㅇ’은 자음이다.
아니 從
  흐리우리니 주005)
흐리우리니:
흐리게 하리니. 흐리-+우(사동접미사)+리+니.
구틔여 주006)
구틔여:
구태여.
도 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1]
태자가 이르기를, … 시를 즐겨하여 남의 뜻을 거스르 … 노니, 아무나 사람이 내 손 … 식을 구걸하여도 내 아니 주지를 못하 … 대 만일 내 말을 아니 좇으 … 한 마음을 흐리게 하리니, 구태여 … 도 하리라.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남의. [他]+/의(관형격).
주002)
아뫼어나:아무이거나. 아모[某]+ㅣ+거나/어나. ‘-거-’는 과거시제·완료·확정법을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임. ‘-어-’는 ‘-거-’가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이 약화한 것. 이 때의 ‘ㅇ’은 유성성문마찰음 [ɦ](자음)을 표기한 것으로서, 원칙적으로 연철되거나 모음동화되지 않는다.
주003)
주믈:줌을. ·주(어간. 거성)+오/우+ㅁ→:줌(상성).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외현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바뀐다.
주004)
말옷:말을. 말+곳/옷. ‘-곳/옷’은 강조의 보조사.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됨. 이 때의 ‘ㅇ’은 자음이다.
주005)
흐리우리니:흐리게 하리니. 흐리-+우(사동접미사)+리+니.
주006)
구틔여:구태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