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65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6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65]
그 아 아기  나 銀돈 一千과 수쇼 一百과 고 주001)
고:
(얼마의) 값이 나가고. ‘다’로도 쓰임. 대개 체언, ‘체언+이’ 뒤에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체언+과/와’ 뒤에 나타남. 바로 뒤에 나오는 ‘니다’는 ‘체언+이’ 뒤에 나타남. 이 때의 ‘-이’를 일반적으로 비교부사격조사로 간주한다.
누의 金돈 二千과 암쇼 二百이 니다 王이 니샤 엇뎨 겨지비 주002)
겨지비:
계집이야. 겨집+이(주격조사)+(강세 보조사). [의무], [당연],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 체언, 조사, 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더으뇨 주003)
더으뇨:
더하냐? 더으-[加]+니+고/오. 기원적으로 ‘-니-’의 구성 요소인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이 약화한 ‘-니오’에서 /ㅇ/이 탈락한 것.
그 아기  大闕ㅅ 각시히 王 아 주004)
아:
친척. 친족.
아니며 가니도 주005)
가니도:
낮은 이도. -[低]+/은+이+도.
이시며 도 이쇼 王 주006)
ㄱ:
-의. ‘-ㄱ’은 관형격조사. 이를 흔히 사잇소리를 표기한 것으로 보는데, 구(句)에서는 사잇소리 현상을 인정하기 어렵다.
데 幸히 너기시논 사미 尊코 貴킈 외야 보옛 오로 비고 주007)
비고:
꾸미고. 단장하고. 비-[扮]+고. 종래의 사전에서는 ‘빗다’를 기본형으로 보았으나, 그것은 잘못임. ‘-고’는 매개모음을 갖고 있지 않은 어미이므로, ‘빗/-’에 ‘-고’가 통합한다면, ‘빗고’가 될 것이다.
온가짓 차바 주008)
차바:
음식. 반찬. 차반+.
먹거든 王이 다  아님 두샤 주009)
두샤:
두시되. 두-[置]+시+오/우+.
深山애 내티시고 날마다 각시 더브러 즐기시고 아님 그리 주010)
그리:
그리운. 그-[慕]+/은.
디 간 주011)
간:
잠깐. 한자어 ‘暫間’인데, 두 글자 사이에 사잇소리를 나타내는 ‘ㅅ’이 들어감.
도 업스시니 이럴 겨지

월인석보 20:88ㄱ

비 貴 주012)
:
(귀한) 줄로.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이 뒤에 나오는 ‘알-’은 [知]를 뜻한다기보다 [여기다]에 가까운 뜻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을 ‘줄로’로 옮긴다.
아노다 주013)
아노다:
압니다. 여깁니다. 알-++오/우++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65]
그 아들 아기 여쭈되, “나는 은돈 1천과 수소 1백 〈마리〉에 값하고, 누이는 금돈 2천과 암소 2백 〈마리〉에 값합니다.” 왕이 이르시되, “어찌 여자가 더하냐?” 그 아기가 여쭈되, “대궐의 각시들이 왕께 친척〈도〉 아니면서 낮은 이도 있으며 종도 있으되, 왕의 뜻에 곱게 여기시는 사람이 높고 귀하게 되어 보배의 옷으로 꾸미고 온갖 음식을 먹거든, 왕이 다만 한 아드님 두시되, 깊은 산에 내치시고 날마다 각시와 더불어 즐기시고 아드님 그리운 뜻이 조금도 없으시니, 이러므로 여자가 귀한 줄로 압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고:(얼마의) 값이 나가고. ‘다’로도 쓰임. 대개 체언, ‘체언+이’ 뒤에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체언+과/와’ 뒤에 나타남. 바로 뒤에 나오는 ‘니다’는 ‘체언+이’ 뒤에 나타남. 이 때의 ‘-이’를 일반적으로 비교부사격조사로 간주한다.
주002)
겨지비:계집이야. 겨집+이(주격조사)+(강세 보조사). [의무], [당연],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 체언, 조사, 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주003)
더으뇨:더하냐? 더으-[加]+니+고/오. 기원적으로 ‘-니-’의 구성 요소인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이 약화한 ‘-니오’에서 /ㅇ/이 탈락한 것.
주004)
아:친척. 친족.
주005)
가니도:낮은 이도. -[低]+/은+이+도.
주006)
ㄱ:-의. ‘-ㄱ’은 관형격조사. 이를 흔히 사잇소리를 표기한 것으로 보는데, 구(句)에서는 사잇소리 현상을 인정하기 어렵다.
주007)
비고:꾸미고. 단장하고. 비-[扮]+고. 종래의 사전에서는 ‘빗다’를 기본형으로 보았으나, 그것은 잘못임. ‘-고’는 매개모음을 갖고 있지 않은 어미이므로, ‘빗/-’에 ‘-고’가 통합한다면, ‘빗고’가 될 것이다.
주008)
차바:음식. 반찬. 차반+.
주009)
두샤:두시되. 두-[置]+시+오/우+.
주010)
그리:그리운. 그-[慕]+/은.
주011)
간:잠깐. 한자어 ‘暫間’인데, 두 글자 사이에 사잇소리를 나타내는 ‘ㅅ’이 들어감.
주012)
:(귀한) 줄로.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이 뒤에 나오는 ‘알-’은 [知]를 뜻한다기보다 [여기다]에 가까운 뜻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을 ‘줄로’로 옮긴다.
주013)
아노다:압니다. 여깁니다. 알-++오/우++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