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월인천강지곡 기347~기348(2곡)
  • 월인천강지곡 기347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347


其 三百四十七
如來 涅槃 주001)
싫:
-하실. -+시+ㅭ(관형사형어미).
주002)
:
것을. 줄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舍利弗아고 주003)
아고:
아옵고. 알-[知]+(주체겸양 선어말어미)+고. 치음 /ㅿ/ 앞에서 /ㄹ/ 탈락.
虛空 中에 라 주004)
라:
살라. -[燒]+아.
주그니
舍利弗滅度 주005)
멸도:
열반. 깨달음.
 大

월인석보 20:29ㄴ

衆이 슬커늘 주006)
슬커늘:
슬퍼하거늘. 슳-[悲]+거늘. 과거시제·완료·확정법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로 ‘-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임. ‘슳-’은 자동사이므로 ‘-거-’가 쓰임. ‘-늘’은 항상 ‘-거/어/아-’와 결합하여 나타나므로 더 이상 분석하지 않고 불연속형태소 ‘-거/어/아…늘’을 인정하기도 한다.
慈悲力 주007)
자비력:
불, 보살이 중생을 측은히 여기고 동정하는 마음.
일워 주008)
일워:
이루어. 일-[成]+우(사동접미사)+어. /ㄹ/ 종성과 사동접미사 ‘-우-’가 연철되지 않는 사실은 이 ‘-우-’가 ‘-구-’의 발달형임을 시사한다. 이 때의 ‘ㅇ’은 유성성문마찰음 [ɦ]이다.
뵈시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삼백사십칠
여래께서 열반하실 줄을 사리불이 아옵고 허공 중에 〈몸을〉 살라 〈먼저〉 죽으니.
사리불의 멸도를 대중이 슬퍼하거늘 〈여래께서〉 자비력으로 〈사리불의 몸을〉 이루어 보이시니.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싫:-하실. -+시+ㅭ(관형사형어미).
주002)
:것을. 줄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03)
아고:아옵고. 알-[知]+(주체겸양 선어말어미)+고. 치음 /ㅿ/ 앞에서 /ㄹ/ 탈락.
주004)
라:살라. -[燒]+아.
주005)
멸도:열반. 깨달음.
주006)
슬커늘:슬퍼하거늘. 슳-[悲]+거늘. 과거시제·완료·확정법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로 ‘-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임. ‘슳-’은 자동사이므로 ‘-거-’가 쓰임. ‘-늘’은 항상 ‘-거/어/아-’와 결합하여 나타나므로 더 이상 분석하지 않고 불연속형태소 ‘-거/어/아…늘’을 인정하기도 한다.
주007)
자비력:불, 보살이 중생을 측은히 여기고 동정하는 마음.
주008)
일워:이루어. 일-[成]+우(사동접미사)+어. /ㄹ/ 종성과 사동접미사 ‘-우-’가 연철되지 않는 사실은 이 ‘-우-’가 ‘-구-’의 발달형임을 시사한다. 이 때의 ‘ㅇ’은 유성성문마찰음 [ɦ]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