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보은경 설법 ②(여래의 난행·고행에 대한 석존의 설법)
  • 보은경 설법 15-2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은경 설법 15-2


[보은경 설법 15-2]
〔역자 주〕(* 29장ㄱ 2행의 ‘…臥具 醫藥과 一切를 주어’에 이어질 것임) 브즈러니 주001)
브즈러니:
부지런히. 현대국어의 ‘부지런’은 언제나 접사와 결합하여 나타나는 불규칙적 어근이지만, 중세국어에서는 ‘브즈런’이 조사와 결합하여 나타나기도 하므로 명사이다. ‘브즈러늘 뵈야시’(법화 6:125).
닷가 주002)
닷가:
닦아. -[修]+아/어.
精進며 戒施 주003)
계시:
계율을 지키고 보시(布施)함.

월인석보 20:94ㄱ

多聞과【多聞 드론 주004)
드론:
들은. 듣/들-+오/우+ㄴ.
만 주005)
만:
많은. 많-+/. 이 때의 ‘-/’은 시제와 무관하게 쓰였다(절대시제). 일반적으로 ‘ㆆ’은 후행하는 의존명사의 어두음이 경음으로 나타날 때에는 표기되지 않음.
씨라 주006)
씨라:
것이다. (의존명사)+ㅣ+라. ‘’가 관형사형어미 ‘ㅭ’ 뒤에서 경음화함. ‘-다’는 서술격조사 또는 ‘-오-, -더-, -니-, -리-’ 등의 선어말어미 뒤에서 ‘-라’로 교체됨.
禪定 智慧와 一切 萬行이 조매 주007)
초매:
갖춤에. 초-[備]+(오/우)+ㅁ+애/에.
니르러 주008)
니르러:
이르러. 니를-[至]+아/어. 현대국어의 불규칙활용형 ‘이르러’는 중세국어 ‘니를-+어→니르러’의 화석형이다.
쉬디 아니야 미 게을옴 주009)
게을옴:
게으름. 게으르-+오/우+ㅁ. ‘/르’ 불규칙 활용 중 이른바 ‘ㄹㅇ’형. ‘ㄹㅇ’형에는 ‘다-[異], 그르-[解]’ 등이 있고, ‘ㄹㄹ’형에는 ‘-[速], 모-, 므르-[退], 브르-[呼]’ 등이 있다.
업서 父母 孝養호 爲야 知恩報恩【知恩報恩은 恩惠 아라 恩惠 가 주010)
가:
갚을. 갚는.
씨라
주011)
제:
스스로가.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阿耨多羅三藐三菩提 주012)
아뇩다라삼먁삼보리:
부처님의 최상 절대의 완전한 지혜.

월인석보 20:94ㄴ

 리 일웻니 주013)
일웻니:
이루었으니. 일우-+아/어+잇++니. ‘-어/아(연결어미)#잇-[有] 〉 -엣/앳- 〉 -엇앗- 〉 었/았’으로 변화함. ‘-었/았-’이 [완료지속]을 나타내는 것은 ‘잇-’의 영향이다.
이 因로 一切 衆生이 能히 如來 本願이 게 주014)
게:
(가득) 차게. -[滿]+게. ‘-게’는 ‘-긔’와 같이 쓰임.
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보은경 설법 15-2]
부지런히 닦아 정진하며 계시 다문과【‘다문’은 들은 것이 많은 것이다.】 선정 지혜와 일체 만행이 갖추어짐에 이르러 쉬지 아니하여 마음이 게으름 없어 부모 효양함을 위하여 지은보은하므로【‘지은보은’은 은혜를 알고 은혜를 갚는 것이다.】 이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빨리 이루었으니, 이 ‘인’으로 일체 중생이 능히 여래를 본원이 차게〔滿〕 하니,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브즈러니:부지런히. 현대국어의 ‘부지런’은 언제나 접사와 결합하여 나타나는 불규칙적 어근이지만, 중세국어에서는 ‘브즈런’이 조사와 결합하여 나타나기도 하므로 명사이다. ‘브즈러늘 뵈야시’(법화 6:125).
주002)
닷가:닦아. -[修]+아/어.
주003)
계시:계율을 지키고 보시(布施)함.
주004)
드론:들은. 듣/들-+오/우+ㄴ.
주005)
만:많은. 많-+/. 이 때의 ‘-/’은 시제와 무관하게 쓰였다(절대시제). 일반적으로 ‘ㆆ’은 후행하는 의존명사의 어두음이 경음으로 나타날 때에는 표기되지 않음.
주006)
씨라:것이다. (의존명사)+ㅣ+라. ‘’가 관형사형어미 ‘ㅭ’ 뒤에서 경음화함. ‘-다’는 서술격조사 또는 ‘-오-, -더-, -니-, -리-’ 등의 선어말어미 뒤에서 ‘-라’로 교체됨.
주007)
초매:갖춤에. 초-[備]+(오/우)+ㅁ+애/에.
주008)
니르러:이르러. 니를-[至]+아/어. 현대국어의 불규칙활용형 ‘이르러’는 중세국어 ‘니를-+어→니르러’의 화석형이다.
주009)
게을옴:게으름. 게으르-+오/우+ㅁ. ‘/르’ 불규칙 활용 중 이른바 ‘ㄹㅇ’형. ‘ㄹㅇ’형에는 ‘다-[異], 그르-[解]’ 등이 있고, ‘ㄹㄹ’형에는 ‘-[速], 모-, 므르-[退], 브르-[呼]’ 등이 있다.
주010)
가:갚을. 갚는.
주011)
제:스스로가.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 :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 :제(주격), 제(관형격).
주012)
아뇩다라삼먁삼보리:부처님의 최상 절대의 완전한 지혜.
주013)
일웻니:이루었으니. 일우-+아/어+잇++니. ‘-어/아(연결어미)#잇-[有] 〉 -엣/앳- 〉 -엇앗- 〉 었/았’으로 변화함. ‘-었/았-’이 [완료지속]을 나타내는 것은 ‘잇-’의 영향이다.
주014)
게:(가득) 차게. -[滿]+게. ‘-게’는 ‘-긔’와 같이 쓰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