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보은경 설법 ①
  • 보은경 설법 7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은경 설법 7


[보은경 설법 7]
뎌 나랏 無量 億千 菩薩이 앏뒤헤 주001)
앏뒤헤:
앞뒤에. 앒+뒿+에. ‘뒿’은 ‘ㅎ’ 종성체언.
圍遶  面에 믈러 주002)
믈러:
물러. 므르-[退]+어. ‘/르’ 불규칙활용 중 이른바 ‘ㄹㄹ’형. ‘ㄹㅇ’형에는 ‘다-[異], 그르-[解], 게으르-[懶怠]’ 등이 있고, ‘ㄹㄹ’형에는 ‘-[速], 모-, 므르-[退], 브르-[呼]’ 등이 있다.
住야 겨샤 合掌야 如來

월인석보 20:17ㄱ

주003)
:
-께. ㅅ(관형격조사. 높임 표시)+그/(명사)+의(부사격조사). 이 ‘-’가 ‘-께’로 변화함. /ㆁ/의 성격이 문제인데, 기원적으로는 명사 ‘’이 존재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向  목소리로 샤 世尊하 엇던 因緣로 이 光明이 이셔 靑黃赤白이 빗나 가비디 주004)
가비디:
견주지. 비유하지. 가비-[比喩]+디.
몯리로소니 주005)
몯리로소니:
못할 것이니. 몯(부사)+-+리+돗+오+니. ‘-돗-’은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포함하고 있는 ‘-리-’ 뒤에서 ‘-롯-’으로 교체됨. ‘-도소-’ 전체를 하나의 어미로 보기도 함.
西方로셔 와 이 大衆을 비취니 이 光明 맛나니 미 便安니고 주006)
니고:
합니까. ‘--’은 ‘--’의 이형태로서 의문종결어미 ‘-고, -가’ 앞에 나타남.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다.
願 주007)
:
바는. 것은. (의존명사)+ㄴ(보조사).
世尊이 우리 疑

월인석보 20:17ㄴ

心을 그츠쇼셔 주008)
그츠쇼셔:
끊으소서. 긏-[切, 斷]+으쇼셔.
부톄 니샤 善男子하 仔細히 드러 이대 주009)
이대:
잘.
라 주010)
라:
생각하라. 사랑하라[思, 愛].
내 너 爲야 야 닐오리라 주011)
닐오리라:
이르리라. 니-+오/우+리+라.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선어말어미.
西方로 이셔 버로미 주012)
버로미:
벌어짐이. 떨어짐이. 막힘이. 버-+오/우+ㅁ+이.
無量 百千 諸佛 世界예 世界 이쇼 일후미 娑婆ㅣ니 그 부톄 겨샤 일후미

월인석보 20:18ㄱ

迦牟尼如來
應供 正遍知 明行足 善逝 世間解 無上士 調御丈夫 天人師 佛世尊이시니 오 大衆 爲야 大方便大(佛)報恩經을 닐오려 시니【報恩은 恩惠 가 씨라 주013)
씨라:
것이다. (의존명사)+이+라. ‘’는 관형사형어미 ‘-ㅭ’ 뒤에서 경음화.

월인석보 20:18ㄴ

一切 衆生 饒益 주014)
요익:
사람을 이롭게 함.
게 코져 시논 젼며 一切 衆生 邪曲 주015)
사곡:
요사스럽고 마음이 바르지 못함.
 疑心 毒사 고져 주016)
ᅘᅧ고져:
빼고자. 빼내고자. ᅘᅧ-[拔]. ‘/혀-’는 어간에 직접 붙어 합성동사를 이루는 성질이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어간은 ‘-’가 아니라 ‘’로 잡음.
시논 젼며 처 發意 菩薩 菩提예 구더 므르디 아니 주017)
케:
-하게, 하고자.
코져 시논 젼며 一切 聲聞 辟支佛이 一乘

월인석보 20:19ㄱ

주018)
일승도:
단 하나의 실천법.
究竟 주019)
구경:
궁극의 경지.
케 시논 젼며 大菩薩히 菩提 리 일워 佛恩을 갑게 시논 젼며 一切 衆生이 重 恩惠 念케 코져 시논 젼며 衆生이 受苦 바래 건나게 코져 시논 젼며 衆生이 父母

월인석보 20:19ㄴ

 孝養케 코져 시논 젼니 이 因緣로 이 光明을 펴시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보은경 설법 7]
저 나라의 무량 억천 보살이 앞뒤에 위요하여 한 면에 물러나 머물러 계시어 합장하여 여래께 향하여 한 목소리로 여쭈되, “세존이시여, 어떤 인연으로 이 광명이 있어, 청, 황, 적, 백색이 빛나 견주지 못하리니, 서방에서 와서 이 대중을 비추니, 이 광명 만나니 어찌하여 마음이 편안합니까? 원하는 바는 세존이 우리의 의심을 끊게 하소서.” 부처님이 이르시기를, “선남자들아, 자세히 들어 잘 생각하라. 내가 너희를 위하여 가리어서 이르리라. 서방으로 여기에서 떨어짐이 무량 백천 제불 세계에 〈한〉 세계가 있는데, 이름이 사바이니, 그 곳에 부처님이 계시되 이름이 석가모니여래, 응공, 정변지, 명행족, 선서, 세간해, 무상사, 조어장부, 천인사, 불세존이시니, 오늘 대중 위하여 대방편대보은경을 이르려 하시니【‘보은’은 은혜를 갚는 것이다.】 일체 중생을 이롭게 하고자 하시는 까닭이며, 일체 중생의 사곡한 의심의 독화살을 빼내고자 하시는 까닭이며, 처음 발의한 보살을 보리에 굳게 하여 물러나지 아니하게 하고자 하시는 까닭이며, 일체 성문 벽지불이 일승도에 구경하게 하시는 까닭이며, 대보살들이 보리를 빨리 이루어 불은을 갚게 하시려는 까닭이며, 일체 중생이 중한 은혜를 생각하게 하고자 하시는 까닭이며, 중생이 수고의 바다를 건너게 하고자 하시는 까닭이며, 중생이 부모를 효양하게 하고자 하시는 까닭이니, 이 인연으로 이 광명을 펴시니라.”고 하셨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앏뒤헤:앞뒤에. 앒+뒿+에. ‘뒿’은 ‘ㅎ’ 종성체언.
주002)
믈러:물러. 므르-[退]+어. ‘/르’ 불규칙활용 중 이른바 ‘ㄹㄹ’형. ‘ㄹㅇ’형에는 ‘다-[異], 그르-[解], 게으르-[懶怠]’ 등이 있고, ‘ㄹㄹ’형에는 ‘-[速], 모-, 므르-[退], 브르-[呼]’ 등이 있다.
주003)
:-께. ㅅ(관형격조사. 높임 표시)+그/(명사)+의(부사격조사). 이 ‘-’가 ‘-께’로 변화함. /ㆁ/의 성격이 문제인데, 기원적으로는 명사 ‘’이 존재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주004)
가비디:견주지. 비유하지. 가비-[比喩]+디.
주005)
몯리로소니:못할 것이니. 몯(부사)+-+리+돗+오+니. ‘-돗-’은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포함하고 있는 ‘-리-’ 뒤에서 ‘-롯-’으로 교체됨. ‘-도소-’ 전체를 하나의 어미로 보기도 함.
주006)
니고:합니까. ‘--’은 ‘--’의 이형태로서 의문종결어미 ‘-고, -가’ 앞에 나타남.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다.
주007)
:바는. 것은. (의존명사)+ㄴ(보조사).
주008)
그츠쇼셔:끊으소서. 긏-[切, 斷]+으쇼셔.
주009)
이대:잘.
주010)
라:생각하라. 사랑하라[思, 愛].
주011)
닐오리라:이르리라. 니-+오/우+리+라.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선어말어미.
주012)
버로미:벌어짐이. 떨어짐이. 막힘이. 버-+오/우+ㅁ+이.
주013)
씨라:것이다. (의존명사)+이+라. ‘’는 관형사형어미 ‘-ㅭ’ 뒤에서 경음화.
주014)
요익:사람을 이롭게 함.
주015)
사곡:요사스럽고 마음이 바르지 못함.
주016)
ᅘᅧ고져:빼고자. 빼내고자. ᅘᅧ-[拔]. ‘/혀-’는 어간에 직접 붙어 합성동사를 이루는 성질이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어간은 ‘-’가 아니라 ‘’로 잡음.
주017)
케:-하게, 하고자.
주018)
일승도:단 하나의 실천법.
주019)
구경:궁극의 경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