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월인천강지곡 기349~기405(57곡)
  • 월인천강지곡 기378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378


월인석보 20:50ㄱ

其 三百七十八
아기내 주001)
아기내:
아기네. ‘-내’는 높임의 뜻을 지니는데, 복수 표시의 기능도 가졌던 것으로 보임.
나 니거시 주002)
나니거시:
나다니시거늘. 나-[出]+아+니-[去, 行]+거+시+. ‘나-[出]’와 ‘-[進]’이 ‘-아’와 결합하면, 각각 ‘나-[出]+아→나 ; -[進]+아→나’로 구별된다.
히 주003)
히:
짐승들이.
슬허 해 주004)
해:
땅에. [地]+애.
디야 블러 주005)
블러:
불러. 브르-[呼, 唱].
우니
아기내 거슬어시 波羅門이 티더니 하 울워라 주006)
울워라:
우러러. 울월-[仰]+아/어. 일반적으로 ‘울워러’로 표기됨.
블러 우르시니 주007)
우르시니:
우시니. 울-[泣]+으시+니. 현대국어에서는 /ㄹ/로 끝나는 어간이 매개모음을 가진 어미와 결합할 때, /ㄹ/이 탈락하고 매개모음이 나타나지 않으나, 중세국어에서는 이와 다른 모습을 보인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삼백칠십팔
아기네가 나가서 가시거늘, 짐승들이 슬퍼하여 땅에 거꾸러져 불러(소리 내어) 우니.
아기네가 거스르시거늘, 바라문이 치니까, 하늘을 우러러 불러(소리 내어) 우시니.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아기내:아기네. ‘-내’는 높임의 뜻을 지니는데, 복수 표시의 기능도 가졌던 것으로 보임.
주002)
나니거시:나다니시거늘. 나-[出]+아+니-[去, 行]+거+시+. ‘나-[出]’와 ‘-[進]’이 ‘-아’와 결합하면, 각각 ‘나-[出]+아→나 ; -[進]+아→나’로 구별된다.
주003)
히:짐승들이.
주004)
해:땅에. [地]+애.
주005)
블러:불러. 브르-[呼, 唱].
주006)
울워라:우러러. 울월-[仰]+아/어. 일반적으로 ‘울워러’로 표기됨.
주007)
우르시니:우시니. 울-[泣]+으시+니. 현대국어에서는 /ㄹ/로 끝나는 어간이 매개모음을 가진 어미와 결합할 때, /ㄹ/이 탈락하고 매개모음이 나타나지 않으나, 중세국어에서는 이와 다른 모습을 보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