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사리불의 멸도
  • 사리불의 멸도 7
메뉴닫기 메뉴열기

사리불의 멸도 7


[사리불의 멸도 7]
阿難이  그 이리 엇뎨고 주001)
엇뎨고:
어찌된 것입니까? 엇뎨+∅(서술격조사)+(청자존대 선어말어미)+고(설명의문 종결어미).
부톄 니샤 디나건 阿僧祇劫 주002)
아승기겁:
무수한 겁.
時節에 나라히 이쇼 일후미

월인석보 20:33ㄱ

波羅㮈 주003)
바라내:
중인도 마갈타국의 서북쪽에 있는 나라.
러니 그 王 일후미 大光明이러라 주004)
이러라:
-이더라. 이(서술격조사)더/러+라.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더-’가 ‘-러-’로 ‘-도-’가 ‘-로-’로, ‘-오/우-’가 ‘-로-’로, ‘-다’가 ‘-라’로 교체된다. 한편 ‘-더-’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오 교체된다.
大光明王여 주005)
여:
예순.
小國이오 八百  거느롓더니 주006)
거느롓더니:
거느렸더니. 거느리-[率].+어+잇+더+니. ‘-어/아#잇-’은 문법화하여 현대국어에서 하나의 어미로 쓰임. -어/아#잇-〉-엣/앳-〉-엇/앗-〉-었/았-.
녜 慈心 주007)
자심:
불쌍히 여기는 마음.
 머거 一切 布施호  들 거스디 주008)
거스디:
거스르지. 거슬-[逆]+디. /ㄷ/ 앞에서 /ㄹ/ 탈락. ‘-디’는 ‘-디’의 발달형.
아니더니 마다 齋日이어든 주009)
이어든:
-이거든. 이(서술격조사)+거든. ‘-거든’의 ‘-거-’는 확정법 선어말어미. 확정법의 선어말어미는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 뒤에서는 ‘-거-’가, 타동사 뒤에서는 ‘-아/어-’가 쓰인다.
五百 큰 象애 보며 쳔랴며 주010)
쳔이며:
재물이며.
오시며 飮食이며 시러 져재 주011)
져재:
저자에. 져재[市場]+∅(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휘 뒤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 애, 에, 외’ 등은 근대국어 말기 이후에 단모음화함.
와 네 城門 밧긔 두고 一切 布施거든 敵國 怨家도  주012)
:
마음껏. 마음껏. ‘’으로도 표기됨. +ㅅ(관형격조사)+(명사). ‘/’이 보조사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가져가더니【敵國은 마 나라히오 주013)
나라히오:
니라이고. 나랗[國]+이+고/오. ‘나랗’은 ‘ㅎ’ 종성체언. 현대국어에서도 노년층에서는 ‘나라이, 하나이’가 쓰이는데, 이는 이 체언들이 ‘ㅎ 종성체언’이었던 사실에 말미암는다.
怨家 怨讐ㅅ 지비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사리불의 멸도 7]
아난이 여쭈되, “그 일이 어찌된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이르시되, “지난 아승기겁 시절에 나라가 있었는데, 그 이름이 바라내이더니, 그 왕 이름이 대광명이었다. 대광명왕이 예순의 작은 나라이고(와) 8백의 마을을 거느렸더니, 늘 자심을 먹고 일체를 보시하되 남의 뜻을 거스르지 아니하더니, 달마다 재일이면 5백의 큰 코끼리에 보배며 재물이며 옷이며 음식을 싣고 저자와 네 성문 밖에 두고서 일체를 보시하거든 적국의 원가도 마음껏 가져가더니【‘적국’은 마주한(=적대한) 나라이고, 원가는 원수의 집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엇뎨고:어찌된 것입니까? 엇뎨+∅(서술격조사)+(청자존대 선어말어미)+고(설명의문 종결어미).
주002)
아승기겁:무수한 겁.
주003)
바라내:중인도 마갈타국의 서북쪽에 있는 나라.
주004)
이러라:-이더라. 이(서술격조사)더/러+라.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더-’가 ‘-러-’로 ‘-도-’가 ‘-로-’로, ‘-오/우-’가 ‘-로-’로, ‘-다’가 ‘-라’로 교체된다. 한편 ‘-더-’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오 교체된다.
주005)
여:예순.
주006)
거느롓더니:거느렸더니. 거느리-[率].+어+잇+더+니. ‘-어/아#잇-’은 문법화하여 현대국어에서 하나의 어미로 쓰임. -어/아#잇-〉-엣/앳-〉-엇/앗-〉-었/았-.
주007)
자심:불쌍히 여기는 마음.
주008)
거스디:거스르지. 거슬-[逆]+디. /ㄷ/ 앞에서 /ㄹ/ 탈락. ‘-디’는 ‘-디’의 발달형.
주009)
이어든:-이거든. 이(서술격조사)+거든. ‘-거든’의 ‘-거-’는 확정법 선어말어미. 확정법의 선어말어미는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 뒤에서는 ‘-거-’가, 타동사 뒤에서는 ‘-아/어-’가 쓰인다.
주010)
쳔이며:재물이며.
주011)
져재:저자에. 져재[市場]+∅(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휘 뒤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 애, 에, 외’ 등은 근대국어 말기 이후에 단모음화함.
주012)
:마음껏. 마음껏. ‘’으로도 표기됨. +ㅅ(관형격조사)+(명사). ‘/’이 보조사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주013)
나라히오:니라이고. 나랗[國]+이+고/오. ‘나랗’은 ‘ㅎ’ 종성체언. 현대국어에서도 노년층에서는 ‘나라이, 하나이’가 쓰이는데, 이는 이 체언들이 ‘ㅎ 종성체언’이었던 사실에 말미암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