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월인천강지곡 기349~기405(57곡)
  • 월인천강지곡 기405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405


其 四百五
象이 주001)
:
쓸. 사용할. -[用]+오/우+ㅭ(관형사형어미).
주002)
:
데가. (의존명사)+∅(주격조사).
업서 怨讐 주003)
원수:
해를 입어 원한이 맺힌 대상.
ㅣ 절로 오니 그 낤 말이 주004)
긔:
그것이. 그[其]+ㅣ(주격조사).
아니 녇가니 주005)
녇가니:
얕으니. 녇-[淺]+니/으니. ‘아니 녇가니’는 수사의문문.
布施 아니 마샤 주006)
마샤:
그만두시어. ‘말-[止]’은 현대국어에서는 보조동사로만 쓰이나, 중세국어에서는 본동사로도 씌었음. ‘말다’의 사동형 ‘말리다’는 현대국어에서도 본동사로 쓰인다.
正覺 주007)
정각:
부처님의 깨달음. 바른 깨달음.
 일우시니 그 낤 말이 내내 리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사백오
코끼리가 쓸 데 없어 원수가 저절로 오니, (백상을 달라던) 그 날의 말이 그것이 얕지 않은가?
보시를 그만두지 아니하시어 정각을 이루시니, 그 날의 말이 내내 우스우리.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쓸. 사용할. -[用]+오/우+ㅭ(관형사형어미).
주002)
:데가. (의존명사)+∅(주격조사).
주003)
원수:해를 입어 원한이 맺힌 대상.
주004)
긔:그것이. 그[其]+ㅣ(주격조사).
주005)
녇가니:얕으니. 녇-[淺]+니/으니. ‘아니 녇가니’는 수사의문문.
주006)
마샤:그만두시어. ‘말-[止]’은 현대국어에서는 보조동사로만 쓰이나, 중세국어에서는 본동사로도 씌었음. ‘말다’의 사동형 ‘말리다’는 현대국어에서도 본동사로 쓰인다.
주007)
정각:부처님의 깨달음. 바른 깨달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