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월인천강지곡 기349~기405(57곡)
  • 월인천강지곡 기367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367


其 三百六十七
여윈 주001)
여윈:
여윈. 마른. 여위-[瘦, 渴].
모새 이 흐르며 이운 주002)
이운:
시든. 이울-[枯]+ㄴ/은.
남 주003)
남:
나무에는. 나모/+(특수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임.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고지 주004)
고지:
꽃이. 곶[花].
프더니 주005)
프더니:
피더니. 프-[開].
모딘 이 프귈 머그며 고 주006)
고:
고운. -[麗]+. 〈참고〉 ‘곱-[曲]’의 관형사형은 ‘고’.
새 됴 주007)
됴:
좋은. 둏-[好].
우룸 주008)
우룸:
울음. 울-[泣].
우더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삼백육십칠
마른 못에 샘이 흐르며, 시든 나무엔 새 꽃이 피더니.
모진 짐승이 푸성귀를 먹으며, 고운 새는 좋은 울음 울더니.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여윈:여윈. 마른. 여위-[瘦, 渴].
주002)
이운:시든. 이울-[枯]+ㄴ/은.
주003)
남:나무에는. 나모/+(특수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임.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주004)
고지:꽃이. 곶[花].
주005)
프더니:피더니. 프-[開].
주006)
고:고운. -[麗]+. 〈참고〉 ‘곱-[曲]’의 관형사형은 ‘고’.
주007)
됴:좋은. 둏-[好].
주008)
우룸:울음. 울-[泣].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