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4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4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4]

월인석보 20:74ㄱ

뒷더니 주001)
뒷더니:
두었더니. 두-[置]+잇//ㅅ-(완료상 표지)+더+니. ‘두-’가 보조용언을 취할 때에는 보조적 연결어미 ‘-어, -고’가 나타나지 않고, ‘-엣-’은 ‘--, -ㅅ-’으로 교체된다. (예) : ‘가지로 識心을 가져 몸 안해 뒷노니(능엄경언해 1:47)’. (예) : ‘先生의 둣논 道理(두시언해 초간본 15:37)’.
太子
어듸 주002)
어듸:
어디에야. 어듸(대명사)+(강세 보조사). [의무], [당연],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 체언, 조사, 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果實 됴코
직니고
阿州陁
이 山中 다 有福
아모 도 됴니라 주003)
됴니라:
좋으니라. 둏-[好]+니/으니+다/라. ‘-니/으니-’는 동사 어간에 직접 통합될 때에는 과거를, 형용사나 서술격조사에 직접 통할될 때에는 현재를 나타낸다.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더-’가 ‘-러-’로 ‘-도-’가 ‘-로-’로, ‘-오/우-’가 ‘-로-’로, ‘-다’가 ‘-라’로 교체된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4]
… 을 두었더니, 태자 … 어디라야 과일이 좋고 … 직합니까? 아주타 … 이 산중은 다 유복 … 아무데라도 좋으니라.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뒷더니:두었더니. 두-[置]+잇//ㅅ-(완료상 표지)+더+니. ‘두-’가 보조용언을 취할 때에는 보조적 연결어미 ‘-어, -고’가 나타나지 않고, ‘-엣-’은 ‘--, -ㅅ-’으로 교체된다. (예) : ‘가지로 識心을 가져 몸 안해 뒷노니(능엄경언해 1:47)’. (예) : ‘先生의 둣논 道理(두시언해 초간본 15:37)’.
주002)
어듸:어디에야. 어듸(대명사)+(강세 보조사). [의무], [당연],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 체언, 조사, 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주003)
됴니라:좋으니라. 둏-[好]+니/으니+다/라. ‘-니/으니-’는 동사 어간에 직접 통합될 때에는 과거를, 형용사나 서술격조사에 직접 통할될 때에는 현재를 나타낸다.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더-’가 ‘-러-’로 ‘-도-’가 ‘-로-’로, ‘-오/우-’가 ‘-로-’로, ‘-다’가 ‘-라’로 교체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