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대가섭의 전생
  • 대가섭의 전생
메뉴닫기 메뉴열기

대가섭의 전생


[대가섭의 전생]
【破顔  버릴 주001)
버릴:
벌어지게 하는. 버리-+ㅭ(관형사형어미).
씨오 주002)
씨오:
것이고.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되어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됨. 이 때의 ‘ㅇ’은 자음. ‘’는 관형사형어미 ‘ㅭ’ 뒤에서 경음화하여 ‘’로 표기됨.
微笑 간 주003)
간:
잠깐. 한자어 ‘暫間’인데, 두 글자 사이에 사잇소리를 나타내는 ‘ㅅ’이 들어감.
우 주004)
우:
웃을. 웃는. -+을.
씨라 주005)
씨라:
것이다. (의존명사)+이+라. ‘’는 관형사형어미 ‘-ㅭ’ 뒤에서 경음화.
金色頭陁大迦葉이라 摩訶迦葉 주006)
마하가섭:
대가섭. 부처님 10대 제자 중 두타 제1의 제자.
주007)
녜:
녜+∅(처소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휘 뒤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金바지 외옛더니 주008)
외옛더니:
되었더니. 되어 있더니. 외-+어+잇+더+니. ‘-어/아/여/야#잇-’이 문법화하여 하나의 어미로 굳어진 ‘-엣/앳/옛/얫-’은 과거시제 또는 완료상을 나타낸다. 현대국어 ‘-었/았/였-’은 이의 발달형이다.
毗婆尸佛 주009)
비바시불:
과거 7불의 첫 번째 부처님.

월인석보 20:2ㄴ

涅槃신 後에 四衆이 塔 이르더니 주010)
이르더니:
이루더니. 일-[成]+으(사동접미사)+(주체겸양 선어말어미)+더+니.
塔中엣 像  주011)
:
낯의. [面]+(특수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金色이 주012)
헌:
헌. 상한. 헐-[毁, 破]ㄴ. /ㄴ/ 앞에서 /ㄹ/ 탈락.
주013)
:
데가. +∅(주격조사).
겨시거 주014)
겨시거:
있으시거늘. 겨시-+거. ‘-거’의 ‘-거-’는 원래 확정법 선어말어미. 과거시제·완료·확정법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는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임. ‘겨시-’는 자동사이므로 ‘-거-’가 쓰인 것이다.
주015)
:
때에. [時]+의.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임.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艱難 주016)
간난:
어려움. 가난.
 리 金 구슬 가져 金바게 주017)
금바게(金-):
금세공장이에게. 금(金)+바지[工匠]+게(부사격조사). ‘-게’는 기원적으로 ‘(관형격조사)+그/+에(부삭겨조사)’의 구조. ‘바지+’가 ‘바’로 나타나는 것은 /ㅣ/로 끝나는 체언에 관형격조사 ‘-/의’가 통합하면 체언 말음 /ㅣ/는 탈락하는 일반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아비+→아. 어미+의→어믜.
부텻  미고라 주018)
미고라:
꾸며 달라. 미-+(주체겸양 선어말어미)+고라. ‘-고라’는 [청원]의 의미를 띤 명령종결형식.
請고 因야 둘히 주019)
둘히:
둘이. 둟[二]+이. ‘둟’은 ‘ㅎ’ 종성체언.
發願호 願 주020)
:
바는. 것은. (의존명사)+ㄴ(보조사).
우리 둘히 姻 업슨 夫妻 외아지다 주021)
외아지다:
되고 싶습니다. 외-+아+지(소망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청자존대 선어말어미)+다. ‘-아-’의 문법적 성격을 밝히기 어려우나, ‘-지-’가 어간에 직접 통합하는 일이 있으므로 보조동사가 아닌 선어말어미이므로, ‘-아-’도 어말어미가 아니라 선어말어미일 것이다.
니【姻은 겨지비 中人 주022)
중인:
혼인을 중매하는 이.
브터 주023)
브터:
붙어. 의지하여.
親 씨라】
이 因緣로 九十一劫을 모미 다 金色이러니 後에 梵天 주024)
범천:
색계의 초선천.
냇다가 주025)
냇다가:
났다가. 나-[出]+아++잇-+다가. ‘-어/아/여/야#잇-’이 문법화하여 하나의 어미로 굳어진 ‘-엣/앳/옛/얫-’은 과거시제 또는 완료상을 나타낸다. 현대국어 ‘-었/았/였-’은 이의 발달형이다. ‘나-[出]’와 ‘-[進]’이 ‘-아’와 결합하면, 각각 ‘나-[出]+아→나 ; -[進]+아→나’로 구별된다.
하 주026)
하:
하늘의. ‘-ㅅ’은 관형격조사. 무정체언과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는 ‘ㅅ’이, 높임의 자질을 갖지 않은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인다.
목숨 고 주027)
고:
마치고. -[終]. ‘→’은 8종성표기법.
摩竭陁國 주028)
마갈타국:
중인도에 있던 옛 왕국.
婆羅門 주029)
바라문:
승려계급.
지븨 나

월인석보 20:3ㄱ

니 일후미 迦葉波ㅣ라 부톄 녜 衆中에 일라 주030)
일라:
칭송하여. 일-+아. ‘ㄷ’ 불규칙동사.
讚嘆샤 第一이라 시더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대가섭의 전생]
【‘파안’은 얼굴 벌어지게 하는 것이고, ‘미소’는 잠깐 웃는 것이다. ○ 금색두타대가섭이다. 마하가섭이 옛날에 금세공장이 되어 있었더니 비바시불이 열반하신 후에 4중이 탑을 이루었더니, 탑 중에 불상의 얼굴의 금색이 헌 곳이 있으시거늘, 그때에 한 가난한 〈집〉 딸이 금 구슬을 가지고 금세공장에게 가서 부처님의 얼굴을 꾸며 달라고 청하고 인하여 둘이 발원하되 “원하는 바는 우리 둘이 ‘인’ 없는 부부가 되고 싶습니다.”고 하니【‘인’은 여자가 중매인을 의지하여 가까이 되는(결혼하는) 것이다.】, 이 인연으로 91겁을 몸이 다 금빛이더니, 후에 범천에 났다가 하늘의 목숨 마치고 마갈타국 바라문의 집에 태어나니, 이름이 가섭파이다. 부처님께서 늘 대중 중에 칭송하여 찬탄하시되 〈두타행〉 제1이라고 하시었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버릴:벌어지게 하는. 버리-+ㅭ(관형사형어미).
주002)
씨오:것이고.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되어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됨. 이 때의 ‘ㅇ’은 자음. ‘’는 관형사형어미 ‘ㅭ’ 뒤에서 경음화하여 ‘’로 표기됨.
주003)
간:잠깐. 한자어 ‘暫間’인데, 두 글자 사이에 사잇소리를 나타내는 ‘ㅅ’이 들어감.
주004)
우:웃을. 웃는. -+을.
주005)
씨라:것이다. (의존명사)+이+라. ‘’는 관형사형어미 ‘-ㅭ’ 뒤에서 경음화.
주006)
마하가섭:대가섭. 부처님 10대 제자 중 두타 제1의 제자.
주007)
녜:녜+∅(처소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휘 뒤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008)
외옛더니:되었더니. 되어 있더니. 외-+어+잇+더+니. ‘-어/아/여/야#잇-’이 문법화하여 하나의 어미로 굳어진 ‘-엣/앳/옛/얫-’은 과거시제 또는 완료상을 나타낸다. 현대국어 ‘-었/았/였-’은 이의 발달형이다.
주009)
비바시불:과거 7불의 첫 번째 부처님.
주010)
이르더니:이루더니. 일-[成]+으(사동접미사)+(주체겸양 선어말어미)+더+니.
주011)
:낯의. [面]+(특수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012)
헌:헌. 상한. 헐-[毁, 破]ㄴ. /ㄴ/ 앞에서 /ㄹ/ 탈락.
주013)
:데가. +∅(주격조사).
주014)
겨시거:있으시거늘. 겨시-+거. ‘-거’의 ‘-거-’는 원래 확정법 선어말어미. 과거시제·완료·확정법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는 자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임. ‘겨시-’는 자동사이므로 ‘-거-’가 쓰인 것이다.
주015)
:때에. [時]+의.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임.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주016)
간난:어려움. 가난.
주017)
금바게(金-):금세공장이에게. 금(金)+바지[工匠]+게(부사격조사). ‘-게’는 기원적으로 ‘(관형격조사)+그/+에(부삭겨조사)’의 구조. ‘바지+’가 ‘바’로 나타나는 것은 /ㅣ/로 끝나는 체언에 관형격조사 ‘-/의’가 통합하면 체언 말음 /ㅣ/는 탈락하는 일반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아비+→아. 어미+의→어믜.
주018)
미고라:꾸며 달라. 미-+(주체겸양 선어말어미)+고라. ‘-고라’는 [청원]의 의미를 띤 명령종결형식.
주019)
둘히:둘이. 둟[二]+이. ‘둟’은 ‘ㅎ’ 종성체언.
주020)
:바는. 것은. (의존명사)+ㄴ(보조사).
주021)
외아지다:되고 싶습니다. 외-+아+지(소망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청자존대 선어말어미)+다. ‘-아-’의 문법적 성격을 밝히기 어려우나, ‘-지-’가 어간에 직접 통합하는 일이 있으므로 보조동사가 아닌 선어말어미이므로, ‘-아-’도 어말어미가 아니라 선어말어미일 것이다.
주022)
중인:혼인을 중매하는 이.
주023)
브터:붙어. 의지하여.
주024)
범천:색계의 초선천.
주025)
냇다가:났다가. 나-[出]+아++잇-+다가. ‘-어/아/여/야#잇-’이 문법화하여 하나의 어미로 굳어진 ‘-엣/앳/옛/얫-’은 과거시제 또는 완료상을 나타낸다. 현대국어 ‘-었/았/였-’은 이의 발달형이다. ‘나-[出]’와 ‘-[進]’이 ‘-아’와 결합하면, 각각 ‘나-[出]+아→나 ; -[進]+아→나’로 구별된다.
주026)
하:하늘의. ‘-ㅅ’은 관형격조사. 무정체언과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는 ‘ㅅ’이, 높임의 자질을 갖지 않은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인다.
주027)
고:마치고. -[終]. ‘→’은 8종성표기법.
주028)
마갈타국:중인도에 있던 옛 왕국.
주029)
바라문:승려계급.
주030)
일라:칭송하여. 일-+아. ‘ㄷ’ 불규칙동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