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사리불의 멸도
  • 사리불의 멸도 11
메뉴닫기 메뉴열기

사리불의 멸도 11


[사리불의 멸도 11]
波羅門이 닐오 내 녀나 주001)
녀나:
그 밖의. 다른.
거슬 디 아니야 이제 큰 祭 호리라 노니 王 머리 비지다 주002)
비지다:
빌고 싶습니다. 빌-[乞]++아+지(소망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다.
王이 듣고 너교 내 비르숨 주003)
비르숨:
비롯함. 비릇-[始]+오/우+ㅁ.
업슨 적브터 죽사리 야 온 後로 간대로 주004)
간대로:
함부로. 되는 대로.
이 모 배야 주005)
배야:
망치어. 없애어. 배-[亡].
法 爲티 아니야 쇽졀업시 죽사리 야 내 精神 고다니 주006)
고다니:
괴롭게 하더니. 고-[勞]+더+오/우+니. ‘-더-’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선어말어미 ‘-오/우-’와 결합하여 ‘-다-’로 교체됨.
이제 이 모

월인석보 20:35ㄱ

미 菩提 求호 爲야 衆生애 밋게 주007)
밋게:
미치게. 및-[及]. ‘및→밋’은 8종성표기법.
盟誓호니 이제 아니 주면 내 本來ㅅ 매 그르츠리로다 주008)
그르츠리로다:
그르치리로다. 그릋-[違]+으리+도/로+다. ‘-도-’는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포함하고 있는 ‘-리-’ 뒤에서 ‘-로-’로 교체됨.
이 모로 布施 아니면 어드리 주009)
어드리:
어떻게. 어찌.
阿耨多羅三藐三菩提 일우료 야 닐오  됴다 주010)
됴다:
좋소. 둏-++다. 야쎠체.
져근덛 주011)
져근덛:
잠깐.
기드리라 나라 夫人 太子 맛디고 닐웨 디나면 나리라 주012)
나리라:
나아가리라. 나-[進].
고 宮中에 드러가 夫人려 닐오 天下애 恩惠와 과 주013)
과:
사랑과는. 사랑은. -[愛]+오/우+ㅁ+과+.
다 모로매 여희오 주014)
여희오:
여의고. 여희-[離]+고(대등적 연결어미). 연결어미 ‘-고’의 /ㄱ/이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하여 ‘ㅇ’으로 적힘.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동화지 않는다. ‘, 애, 에, 외’ 등이 단모음화하는 것은 근대국어 말기 이후이다.
사미 살면 주구미 잇고 이리 일면 야듀미 주015)
야듀미:
해어짐이. 무너짐이. 야디-[壞, 破]. 이 밖에 ‘여리다, 여디다, 여디다, 야디다’ 등의 모습으로 쓰인다. ‘-야’는 보조적 연결어미이고 ‘디-’는 보조동사임이 분명하나, 어근 ‘-’ 또는 ‘-’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디여’(월인석보 1:9)에서는 ‘디-’가 어근으로 보인다.
잇고 자거시 주016)
자거시:
문맥으로 보아 ‘만물, 여러 가지 생물’을 뜻하는 듯함.
보 냇다가  이우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사리불의 멸도 11]
바라문이 이르기를, “내가 다른 것을 쓰지 아니하고, 이제 큰 제사를 지내려고 하니, 왕으로부터 〈그〉 머리를 빌고 싶습니다.” 왕이 듣고 여기기를, ‘내가 비롯함 없는 때부터(시작도 모르는 먼 옛날부터) 생사를 〈되풀이〉하여 온 후로, 함부로 이 몸을 망쳐 법을 위하지 아니하여 속절없이 생사를 되풀이하여 내 정신을 괴롭게 하였더니, 이제 이 몸이 보리 구함을 위하여 중생에 미치게 맹세하였으니, 지금 주지 아니하면 내 본래의 마음에 그르치리로다. 이 몸으로 보시를 아니하면 어찌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루리오?’ 하고 이르되, “매우 좋소. 잠깐 동안 기다리라. 나라를 부인과 태자에게 맡기고 이레 지나면 나아가리라.” 하고 궁중에 들어가 부인들더러 이르되, “천하에 은애와 사랑과는 다 모름지기 여의고, 사람이 살면 죽음이 있고, 일이 이루어지면 무너짐이 있고, 만물이 봄에 났다가 가을에 시드느니라.”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녀나:그 밖의. 다른.
주002)
비지다:빌고 싶습니다. 빌-[乞]++아+지(소망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다.
주003)
비르숨:비롯함. 비릇-[始]+오/우+ㅁ.
주004)
간대로:함부로. 되는 대로.
주005)
배야:망치어. 없애어. 배-[亡].
주006)
고다니:괴롭게 하더니. 고-[勞]+더+오/우+니. ‘-더-’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선어말어미 ‘-오/우-’와 결합하여 ‘-다-’로 교체됨.
주007)
밋게:미치게. 및-[及]. ‘및→밋’은 8종성표기법.
주008)
그르츠리로다:그르치리로다. 그릋-[違]+으리+도/로+다. ‘-도-’는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포함하고 있는 ‘-리-’ 뒤에서 ‘-로-’로 교체됨.
주009)
어드리:어떻게. 어찌.
주010)
됴다:좋소. 둏-++다. 야쎠체.
주011)
져근덛:잠깐.
주012)
나리라:나아가리라. 나-[進].
주013)
과:사랑과는. 사랑은. -[愛]+오/우+ㅁ+과+.
주014)
여희오:여의고. 여희-[離]+고(대등적 연결어미). 연결어미 ‘-고’의 /ㄱ/이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하여 ‘ㅇ’으로 적힘.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동화지 않는다. ‘, 애, 에, 외’ 등이 단모음화하는 것은 근대국어 말기 이후이다.
주015)
야듀미:해어짐이. 무너짐이. 야디-[壞, 破]. 이 밖에 ‘여리다, 여디다, 여디다, 야디다’ 등의 모습으로 쓰인다. ‘-야’는 보조적 연결어미이고 ‘디-’는 보조동사임이 분명하나, 어근 ‘-’ 또는 ‘-’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디여’(월인석보 1:9)에서는 ‘디-’가 어근으로 보인다.
주016)
자거시:문맥으로 보아 ‘만물, 여러 가지 생물’을 뜻하는 듯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