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사리불의 멸도
  • 사리불의 멸도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사리불의 멸도 3


[사리불의 멸도 3]
舍利弗이  큰 모 뵈니 虛空애 고 켓다가 주001)
켓다가:
커 있다가. 커졌다가. 크-+어+잇+다가. ‘-어/아/여/야#잇-’이 문법화하여 하나의 어미로 굳어진 ‘-엣/앳/옛/얫-’은 과거시제 또는 완료상을 나타낸다. 현대국어 ‘-었/았/였-’은 이의 발달형이다.
져근 모 뵈며 해 드로 믈티 야 나아도 미 주002)
미:
틈이. [隙]+이.
업고 드

월인석보 20:31ㄴ

러도 굼기 주003)
굼기:
구멍이. /구무[穴]. 이른바 ‘ㄱ’ 곡용명사.
업스며 몸 아래 블 내오 주004)
내오:
내고. 나-[出]+ㅣ(사동접미사)+고/오. 연결어미 ‘-고’의 /ㄱ/이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하여 ‘ㅇ’으로 적힘.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동화지 않는다. ‘, 애, 에, 외’ 등이 단모음화하는 것은 근대국어 말기 이후이다.
몸 우희 믈 내며 虛空애 소락 수므락 야 즈므니 외락 오니 외락 無數에 니르러 種種 神奇 變化 뵈오 虛空로셔 려 大衆 中에 너비 說法니 無量 百千 衆生이 阿耨多羅三藐三菩提 주005)
아뇩다라삼먁삼보리:
무상 정등각. 부처님의 최상 절대의 완전한 진리.
心 發며  無量 百千 衆生이 須阤洹道 주006)
수다원도:
깨달음의 경지. 4과의 첫째.
 得며 阿羅漢果 주007)
아라한과:
아라한의 경지.
애 니르며  無量 百千 사미 聲聞 주008)
성문:
부처님의 가르침의 소리를 듣고 수행하는 이.
辟支佛 주009)
벽지불:
스승 없이 혼자 깨달은 이.
 發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사리불의 멸도 3]
사리불이 또 큰 몸을 보이니, 허공에 가득하고 커졌다가 작은 몸을 보이며, 땅에 들되 물 같이 하여 나가도 틈이 없고 들어도 구멍이 없으며, 몸 아래서 불을 내고 몸 위에서 물을 내며, 허공에 솟았다가 숨었다가 하여 천이 되었다가 백이 되었다가 〈하여 그 수가〉 무수에 이르러 갖가지 신기한 변화를 보이고 허공에서 내려와 대중 중에 널리 설법하니, 무량 백천의 중생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며, 또 무량 백천의 중생이 수다환도를 얻으며 아라한과에 이르며 또 무량 백천의 사람이 성문 벽지불의 마음을 내니라.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켓다가:커 있다가. 커졌다가. 크-+어+잇+다가. ‘-어/아/여/야#잇-’이 문법화하여 하나의 어미로 굳어진 ‘-엣/앳/옛/얫-’은 과거시제 또는 완료상을 나타낸다. 현대국어 ‘-었/았/였-’은 이의 발달형이다.
주002)
미:틈이. [隙]+이.
주003)
굼기:구멍이. /구무[穴]. 이른바 ‘ㄱ’ 곡용명사.
주004)
내오:내고. 나-[出]+ㅣ(사동접미사)+고/오. 연결어미 ‘-고’의 /ㄱ/이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하여 ‘ㅇ’으로 적힘.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동화지 않는다. ‘, 애, 에, 외’ 등이 단모음화하는 것은 근대국어 말기 이후이다.
주005)
아뇩다라삼먁삼보리:무상 정등각. 부처님의 최상 절대의 완전한 진리.
주006)
수다원도:깨달음의 경지. 4과의 첫째.
주007)
아라한과:아라한의 경지.
주008)
성문:부처님의 가르침의 소리를 듣고 수행하는 이.
주009)
벽지불:스승 없이 혼자 깨달은 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