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월인천강지곡 기349~기405(57곡)
  • 월인천강지곡 기372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372


월인석보 20:47ㄴ

其 三百七十二
두 아기 나갯거시 주001)
나갯거시:
나가 있으시거늘. 나-[出]+가-[去]+아+잇-[有]+거+시+. ‘-아/어/야/여#잇-’은 문법화하여 과거시제(완료상) 선어말어미 ‘-앳/엣/얫/옛-, -앗/엇/얏/엿-, -았/었/였-’으로 변화함. ‘-’은 항상 ‘-거/어/아-’와 결합하여 나타나므로 더 이상 분석하지 않고 불연속형태소 ‘-거/어/아…’을 인정하기도 한다.
太子ㅣ 블러 주002)
블러:
불러. 브르-[呼]+어. ‘/르’ 불규칙 활용 중 이른바 ‘ㄹㄹ’형. ‘ㄹㅇ’형에는 ‘다-[異], 그르-[解], 게으르-[懶怠]’ 등이 있고, ‘ㄹㄹ’형에는 ‘-[速], 모-, 므르-[退], 브르-[呼]’ 등이 있다.
니샤 布施 들  주003)
:
충분히. 여기서는 ‘간절히’란 뜻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알외시니 주004)
알외시니:
알리시니. 알-+외(사동접미사)+시+니.
두 아기 듣시고 주005)
듣시고:
듣자오시고. 들으시고.
아바 겨틔 주006)
겨틔:
곁에. 곁+의.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인 특수처소부사격조사인데, 이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드라 셜 주007)
셜:
설운. -+/은.
들  시니 주008)
시니:
여쭈시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삼백칠십이
두 아기가 나가 계시거늘 태자가 불러 이르시어 보시의 뜻을 간절히 알리시니.
두 아기가 들으시고 아버님 곁에 들어 설운 뜻을 간절히 여쭈시니.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나갯거시:나가 있으시거늘. 나-[出]+가-[去]+아+잇-[有]+거+시+. ‘-아/어/야/여#잇-’은 문법화하여 과거시제(완료상) 선어말어미 ‘-앳/엣/얫/옛-, -앗/엇/얏/엿-, -았/었/였-’으로 변화함. ‘-’은 항상 ‘-거/어/아-’와 결합하여 나타나므로 더 이상 분석하지 않고 불연속형태소 ‘-거/어/아…’을 인정하기도 한다.
주002)
블러:불러. 브르-[呼]+어. ‘/르’ 불규칙 활용 중 이른바 ‘ㄹㄹ’형. ‘ㄹㅇ’형에는 ‘다-[異], 그르-[解], 게으르-[懶怠]’ 등이 있고, ‘ㄹㄹ’형에는 ‘-[速], 모-, 므르-[退], 브르-[呼]’ 등이 있다.
주003)
:충분히. 여기서는 ‘간절히’란 뜻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주004)
알외시니:알리시니. 알-+외(사동접미사)+시+니.
주005)
듣시고:듣자오시고. 들으시고.
주006)
겨틔:곁에. 곁+의.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인 특수처소부사격조사인데, 이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주007)
셜:설운. -+/은.
주008)
시니:여쭈시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