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보은경 설법 ①
  • 보은경 설법 6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은경 설법 6


[보은경 설법 6]
그저긔 世尊우시고 주001)
우시고:
미소하시고. 우-[微笑].
이브로셔 주002)
이브로셔:
입으로부터. ‘-셔’는 기원적으로 ‘시-+어’의 구조. ‘시-’는 ‘이시-[有]’의 이형태.
五色光 펴샤 東方 無量 百千萬億 佛土 디나 뎌 주003)
뎌:
그 곳에.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世界 이쇼 주004)
이쇼:
있으되. 있는데. 이시-+오/우+.

월인석보 20:14ㄴ

후미 日上勝이오 주005)
이오:
-이고. ‘오’의 ‘ㅇ’은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표기한 것.
부텻 주006)
부텻:
부처의. 부텨+ㅅ. ‘-ㅅ’은 관형격조사인데, 무정체언과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는 ‘ㅅ’이, 높임의 자질을 갖지 않은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인다.
일후 喜王如來 應供 正遍知 明行足 善逝 世間解 無上士 調御丈夫 天人師 佛世尊 주007)
여래~:
부처님의 열 가지 칭호.
이시고 나랏 주008)
나랏:
나라의. 앞 항을 참조할 것.
일후믄 嚴盛이러니 그 히 平正고 琉璃 히

월인석보 20:15ㄱ

월인석보 20:15ㄴ

(…(15장 결장)…

월인석보 20:16ㄱ

마리니 비  저긔 주009)
저긔:
적에야. 적+의+.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인 특수처소부사격조사로 보이는데, 이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의무], [당연],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 체언, 조사, 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날 주010)
날:
나므로.
雨華ㅣ라도 주011)
ㅣ라도:
-이라고도. ㅣ(서술격조사)+다/라+도(보조사). ㅡ5
니라 주012)
니라:
하는 것이다. 하느니라.
주013)
믌:
물의. 믈[水]+ㅅ. ‘-ㅅ’에 대하여는 앞의 ‘부텻’ 항을 참조할 것. ‘믈’은 근대국어 시기에 ‘물’로 변화함(원순모음화).
가온 가지 다 주014)
다:
다른.
새히 주015)
새히:
새들이. 새++이. ‘’은 복수접미사로 간주되나, 이른바 ‘ㅎ 종성체언’에 포함되어 있는 사실은 ‘’이 중세국어에서는 명사였음을 시사한다.
微妙 소리 며 七寶船이  그 주016)
그:
그곳에.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잇거든 衆生히 自在히 노니며 주017)
노니며:
노닐며. 놀-[遊]+니+며. ‘-니-’는 동사 어간(‘니-[行]’)에서 [지속]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로 변화함.
그 나모 수픐 예 주018)
예:
사이에.
師子座 주019)
사자좌:
부처님이 앉는 자리.
노호 주020)
노호:
놓되. 놓았으되. 놓았는데.
노 주021)
노:
높이. ‘노’는 파생명사, ‘노피’는 파생부사로 씌었음. 이른바 척도형용사들의 파생에서 이런 대립이 나타난다. ‘기리 : 기릐, 기피 : 기픠, 너비 : 너븨’ 등.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이 있었다.
由旬 주022)
유순:
인도의 거리의 단위.
이오 주023)
이오:
-이고.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되어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됨.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연철되거나 모음동화되지 않는다.
 七寶로 미고  天衣로 그 우희 주024)
우희:
위에. 웋[上]+의. ‘-/의’는 관형격조사와 형태가 같은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월인석보 20:16ㄴ

주025)
:
벌. 번.
오 주026)
오:
깔고. -+고/오. ‘-고’의 ‘ㅇ’은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지 않는다.
하 寶香 퓌우며 주027)
퓌우며:
피우며. 퓌-[燃]+우(사동접미사)+며.
諸天 寶花ㅣ 그 해 주028)
차:
-[滿]+아.
옛거든 주029)
옛거든:
깔려 있거든. -+이(피동접미사)+어+잇+거든. ‘-어/아/여/야#잇-’이 문법화하여 하나의 어미로 굳어진 ‘-엣/앳/옛/얫-’은 과거시제 또는 완료상을 나타낸다. 현대국어 ‘-었/았/였-’은 이의 발달형이다.
喜王如來 그 우희 안샤 結跏趺坐 주030)
결가부좌:
발을 좌우의 허벅지에 꼬아 모아 앉는 법.
야 겨시거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보은경 설법 6]
그 때에 세존이 미소하시고 입에서 5색 광을 펴시고 동방 무량 백천만억 불국토를 지나 그 곳에 세계가 있는데, 이름이 일상승이고, 부처님 이름은 희왕여래, 응공, 정변지, 명행족, 선서, 세간해, 무상사, 조어장부, 천인사, 불세존이시고, 나라의 이름은 엄성이더니, 그 땅이 평정하고 유리 땅이 〔역자 주〕(…15장 결장…)【…말이니, 비 올 적에야 나므로 우화라고도 하느니라.】 그 물 가운데 종류가 다른 새들이 미묘한 소리를 하며, 7보선이 또 그 곳에 있거든 중생들이 자유로이 노닐며, 그 나무 숲 사이에 사자좌를 놓았는데, 높이가 한 유순이고 또 7보로 꾸미고 또 천의로 그 위에 두 벌을 깔고 하늘의 보향을 피우며, 제천의 보화가 그 땅에 가득 차게 깔렸거든 희왕여래가 그 위에 앉으시어 결가부좌하여 계시거늘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우시고:미소하시고. 우-[微笑].
주002)
이브로셔:입으로부터. ‘-셔’는 기원적으로 ‘시-+어’의 구조. ‘시-’는 ‘이시-[有]’의 이형태.
주003)
뎌:그 곳에.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주004)
이쇼:있으되. 있는데. 이시-+오/우+.
주005)
이오:-이고. ‘오’의 ‘ㅇ’은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표기한 것.
주006)
부텻:부처의. 부텨+ㅅ. ‘-ㅅ’은 관형격조사인데, 무정체언과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는 ‘ㅅ’이, 높임의 자질을 갖지 않은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인다.
주007)
여래~:부처님의 열 가지 칭호.
주008)
나랏:나라의. 앞 항을 참조할 것.
주009)
저긔:적에야. 적+의+.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인 특수처소부사격조사로 보이는데, 이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의무], [당연],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 체언, 조사, 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주010)
날:나므로.
주011)
ㅣ라도:-이라고도. ㅣ(서술격조사)+다/라+도(보조사). ㅡ5
주012)
니라:하는 것이다. 하느니라.
주013)
믌:물의. 믈[水]+ㅅ. ‘-ㅅ’에 대하여는 앞의 ‘부텻’ 항을 참조할 것. ‘믈’은 근대국어 시기에 ‘물’로 변화함(원순모음화).
주014)
다:다른.
주015)
새히:새들이. 새++이. ‘’은 복수접미사로 간주되나, 이른바 ‘ㅎ 종성체언’에 포함되어 있는 사실은 ‘’이 중세국어에서는 명사였음을 시사한다.
주016)
그:그곳에.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주017)
노니며:노닐며. 놀-[遊]+니+며. ‘-니-’는 동사 어간(‘니-[行]’)에서 [지속]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로 변화함.
주018)
예:사이에.
주019)
사자좌:부처님이 앉는 자리.
주020)
노호:놓되. 놓았으되. 놓았는데.
주021)
노:높이. ‘노’는 파생명사, ‘노피’는 파생부사로 씌었음. 이른바 척도형용사들의 파생에서 이런 대립이 나타난다. ‘기리 : 기릐, 기피 : 기픠, 너비 : 너븨’ 등.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이 있었다.
주022)
유순:인도의 거리의 단위.
주023)
이오:-이고.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되어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됨.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연철되거나 모음동화되지 않는다.
주024)
우희:위에. 웋[上]+의. ‘-/의’는 관형격조사와 형태가 같은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주025)
:벌. 번.
주026)
오:깔고. -+고/오. ‘-고’의 ‘ㅇ’은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지 않는다.
주027)
퓌우며:피우며. 퓌-[燃]+우(사동접미사)+며.
주028)
차:-[滿]+아.
주029)
옛거든:깔려 있거든. -+이(피동접미사)+어+잇+거든. ‘-어/아/여/야#잇-’이 문법화하여 하나의 어미로 굳어진 ‘-엣/앳/옛/얫-’은 과거시제 또는 완료상을 나타낸다. 현대국어 ‘-었/았/였-’은 이의 발달형이다.
주030)
결가부좌:발을 좌우의 허벅지에 꼬아 모아 앉는 법.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