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70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70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70]
太子ㅣ 妃子와 도라오더니 怨讐ㅅ 나라해셔 듣고 使者 브려 그 白象애 金銀 기르마 주001)
기르마:
길마. [鞍].
지코 주002)
지코:
얹고. 짛-+고. cf. 다시 기르마 지  調習야 (초 두시 5:1).
金 바리예 銀  담고 銀 바리예 金  다마 길헤 마조 와 太子 도로 드리며 닐오 아래 迷惑혼 젼로 이 象 비 주003)
비:
빌어. 얻어 가. 빌-[乞]+(주체겸양 선어말어미)+아/어.
우리 다로 주004)
다로:
탓으로. 닷[尤]+로.
太子ㅣ 먼  가시게 호니 이제 오시다 듣고 깃 주005)
깃:
기뻐하여. -[喜]++아/어.
도로 드리고 金銀  조쳐 주006)
조쳐:
아울러. 겸하여. -까지. 조치-[兼]+아/어.
올이노니 주007)
올이노니:
올리노니[奉]. 오-+이(사동접미사)+(주체겸양 선어말어미)++오/우+니.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함.
願  바시고 罪 쇼셔 주008)
쇼셔:
용서하소서. -[恕]+쇼셔.
太子ㅣ 對答호 가비건댄 주009)
가비건대:
비유하건대.
사미 온가짓 됴 차반 라 各別

월인석보 20:90ㄱ

올여든 주010)
올여든:
올리거든. 오-+이(사동접미사)++거든/어든. /ㄱ/ 약화.
그 사미 먹고 吐면 어딋던 주011)
어딋던:
어찌.
다시 먹고옷 주012)
먹고옷:
먹고자. ‘-고옷’에는 선어말어미 ‘-고-’와 [원망]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지-’와 유관한 형태 ‘-ㅈ-’이 들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옷’은 34ㄴ에도 나타난다. 다른 문헌에서는 ‘-곳디’(= -고자 하지)가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오’가 개재한 것이 흥미롭다. 정확한 구조는 미상(未詳). 〈해제〉를 참고할 것.
료 이제 내 布施도 가비건댄 吐ㅣ 니 주013)
니:
같으니. 이 ‘니’는 ‘-이/ㅣ/∅’ 뒤에 쓰였는데, 이 ‘-이’는 흔히 비교부사격조사로 간주됨. 이 ‘-이’를 주격조사로 보고, 이중주어문으로 간주하기도 함.
현마 주014)
현마:
설마. 차마.
도로 아니 바도리니 리 도로 주015)
타:
타고 가. -[乘]+아/어.
가 네 王 라 먼  使者 브리실쎠 라 使者ㅣ 象 고 도로 가 니른대 이 다로 敵國 怨家ㅣ 고텨 慈仁케 외야 國王이며 한 사미 다 無上平等度意 주016)
무상평등도의:
무상정등각. 최상의 올바르고 완전한 깨달음.
 發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70]
태자가 태자비와 〈더불어〉 돌아오더니, 원수의 나라에서 듣고 사자를 부려 그 〈빌어 갔던〉 백상에 금은 길마 얹고 금 바리에 은 쌀 담고, 은 바리에 금 쌀을 담아, 길에 마주 나와서 태자께 도로 드리며 이르되, “예전에는 미혹한 까닭으로 이 코끼리를 빌어서 〈가져 간〉 우리 탓으로 태자를 먼 데 가시게 했었으니, 이제 돌아오신다 듣잡고 기뻐하와 도로 드리옵고 금은 쌀을 아울러 올리옵나니 원하건대 받으시고 죄를 용서하소서.” 태자가 대답하되, “〈그 일을〉 견주건대 사람이 온갖 좋은 음식을 만들어 따로 올리거든 그 사람이 먹고 토하면 어찌 〈그것을〉 다시 먹고자 하겠는가? 이제 내 보시도 비유하건대 토함과 같으니 차마 도로 받지 않으리니, 빨리 도로 타고 가서 네 왕께 여쭈어라. 먼 데 사자를 부리셨도다 하라.” 사자가 코끼리를 타고 도로 가서 이르니까, 이 덕택으로 적국 원가가 고쳐 자인하게 되고 국왕이며 많은 사람들이 다 무상평등도의를 발했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기르마:길마. [鞍].
주002)
지코:얹고. 짛-+고. cf. 다시 기르마 지  調習야 (초 두시 5:1).
주003)
비:빌어. 얻어 가. 빌-[乞]+(주체겸양 선어말어미)+아/어.
주004)
다로:탓으로. 닷[尤]+로.
주005)
깃:기뻐하여. -[喜]++아/어.
주006)
조쳐:아울러. 겸하여. -까지. 조치-[兼]+아/어.
주007)
올이노니:올리노니[奉]. 오-+이(사동접미사)+(주체겸양 선어말어미)++오/우+니.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함.
주008)
쇼셔:용서하소서. -[恕]+쇼셔.
주009)
가비건대:비유하건대.
주010)
올여든:올리거든. 오-+이(사동접미사)++거든/어든. /ㄱ/ 약화.
주011)
어딋던:어찌.
주012)
먹고옷:먹고자. ‘-고옷’에는 선어말어미 ‘-고-’와 [원망]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지-’와 유관한 형태 ‘-ㅈ-’이 들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옷’은 34ㄴ에도 나타난다. 다른 문헌에서는 ‘-곳디’(= -고자 하지)가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오’가 개재한 것이 흥미롭다. 정확한 구조는 미상(未詳). 〈해제〉를 참고할 것.
주013)
니:같으니. 이 ‘니’는 ‘-이/ㅣ/∅’ 뒤에 쓰였는데, 이 ‘-이’는 흔히 비교부사격조사로 간주됨. 이 ‘-이’를 주격조사로 보고, 이중주어문으로 간주하기도 함.
주014)
현마:설마. 차마.
주015)
타:타고 가. -[乘]+아/어.
주016)
무상평등도의:무상정등각. 최상의 올바르고 완전한 깨달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