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보은경 설법 ①
  • 보은경 설법 5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은경 설법 5


[보은경 설법 5]

월인석보 20:13ㄴ

阿難이 그 말 듣고 붓그려 주001)
붓그려:
부끄러워하여. 붓그리-[慚]+아/어.
도라와 부텨 주002)
:
-께. ㅅ(관형격조사. 높임 표시)+그/(명사)+의(부사격조사). 이 ‘-’가 ‘-께’로 변화함. /ㆁ/의 성격이 문제인데, 기원적으로는 명사 ‘’이 존재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머리 조고 合掌야  世尊 주003)
하:
-이시여. 높임의 호격조사.
佛法 中에 父母 孝養호미 잇니가 주004)
잇니가:
있습니까. 잇-++니++가. ‘--’은 청자존대선어말어미 ‘--’의 이형태로서, 의문종결어미 ‘-가, -고’ 앞에 나타남.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
부톄 니샤 주005)
뉘:
누가. 누+ㅣ(주격조사). ‘누구’는 ‘누+고(의문보조사)’가 어휘화한 것이다. 현대국어에서 ‘누/누구’가 다 쓰이는 것은 이에 말미암은 것이다. 한편 이렇게 어휘화한 ‘누구’에 ‘-인가’가 결합한 ‘누군가’ 역시 어휘화하여 여기에 조사가 결합한 ‘누군가가’가 쓰이고 있다.
너를 쳐 이 무루믈 주006)
무루믈:
물음을. 묻/물+오/우+ㅁ+을.
게 더뇨 주007)
더뇨:
하더냐. -+더+니+오/고(설명의문 종결어미). ‘-뇨’는 ‘니+고’에서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포함하고 있는 ‘-니-’ 때문에 ‘-고’의 /ㄱ/이 약화된 ‘-니오’가 /ㄱ/ 탈락을 거쳐 형성된 것이다.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다.
阿難이  乞食라 주008)
라:
-하러. ‘-라’는 [목적]이나 [의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길헤 주009)
길헤:
길에서. 긿+에. ‘긿’은 ‘ㅎ’종성체언. 현대국어라면 ‘-에서’를 쓸 자리에 ‘-에’만이 쓰였다.
六師 주010)
육사:
석존과 동시대 중인도에서 세력이 있던 6명의 사상가.
무를 주011)
무를:
무리를. 물[衆, 群]+을.

월인석보 20:14ㄱ

호니 주012)
호니:
-하니. -+오/우+니.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이른바 의도법 선어말어미.
薩遮尼乾이 辱 바티더다 주013)
바티더다:
바치었습니다. 바티-[奉]+더++다.
고 대 주014)
대:
사뢰니까. -+대.
薩遮尼乾 주015)
:
매임을. -이(피동접미사)+오/우+ㅁ+. ‘ㆀ’은 피동접미사의 결합에 의한 개구도의 협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여희다 주016)
여희다:
여의다. 여희-[離].
혼 마리니 주017)
제:
스스로. ‘제가’의 뜻으로 쓰이기도 함.
주으리 주018)
주으리:
주리는. 주으리-[飢].
外道ㅣ니 머리 고 옷 바사 주019)
바사:
벗어. 밧-[脫]+아/어.
니니라 주020)
니니라:
다니느니라. 니-++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보은경 설법 5]
아난이 그 말을 듣고 부끄러워하여 돌아와 부처님께 머리 조아리고 합장하여 이르기를, “세존이시여, 불법 중에 부모 효양함이 있습니까?” 부처님이 이르시되, “누가 너를 가르쳐서 이 물음을 하게 하더냐?” 아난이 사뢰되, “걸식하러 가서 길에서 6사의 무리를 상봉하니 살차니건이 욕을 〈부처님께〉 바치더이다.” 하고 사뢰니까살차니건은 ‘매임을 여의다’는 말이니, 스스로가 굶주리는 외도이니, 머리 뽑고 옷 벗고 다니느니라.】,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붓그려:부끄러워하여. 붓그리-[慚]+아/어.
주002)
:-께. ㅅ(관형격조사. 높임 표시)+그/(명사)+의(부사격조사). 이 ‘-’가 ‘-께’로 변화함. /ㆁ/의 성격이 문제인데, 기원적으로는 명사 ‘’이 존재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주003)
하:-이시여. 높임의 호격조사.
주004)
잇니가:있습니까. 잇-++니++가. ‘--’은 청자존대선어말어미 ‘--’의 이형태로서, 의문종결어미 ‘-가, -고’ 앞에 나타남.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
주005)
뉘:누가. 누+ㅣ(주격조사). ‘누구’는 ‘누+고(의문보조사)’가 어휘화한 것이다. 현대국어에서 ‘누/누구’가 다 쓰이는 것은 이에 말미암은 것이다. 한편 이렇게 어휘화한 ‘누구’에 ‘-인가’가 결합한 ‘누군가’ 역시 어휘화하여 여기에 조사가 결합한 ‘누군가가’가 쓰이고 있다.
주006)
무루믈:물음을. 묻/물+오/우+ㅁ+을.
주007)
더뇨:하더냐. -+더+니+오/고(설명의문 종결어미). ‘-뇨’는 ‘니+고’에서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포함하고 있는 ‘-니-’ 때문에 ‘-고’의 /ㄱ/이 약화된 ‘-니오’가 /ㄱ/ 탈락을 거쳐 형성된 것이다.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다.
주008)
라:-하러. ‘-라’는 [목적]이나 [의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09)
길헤:길에서. 긿+에. ‘긿’은 ‘ㅎ’종성체언. 현대국어라면 ‘-에서’를 쓸 자리에 ‘-에’만이 쓰였다.
주010)
육사:석존과 동시대 중인도에서 세력이 있던 6명의 사상가.
주011)
무를:무리를. 물[衆, 群]+을.
주012)
호니:-하니. -+오/우+니.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이른바 의도법 선어말어미.
주013)
바티더다:바치었습니다. 바티-[奉]+더++다.
주014)
대:사뢰니까. -+대.
주015)
:매임을. -이(피동접미사)+오/우+ㅁ+. ‘ㆀ’은 피동접미사의 결합에 의한 개구도의 협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주016)
여희다:여의다. 여희-[離].
주017)
제:스스로. ‘제가’의 뜻으로 쓰이기도 함.
주018)
주으리:주리는. 주으리-[飢].
주019)
바사:벗어. 밧-[脫]+아/어.
주020)
니니라:다니느니라. 니-++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