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사리불의 멸도
  • 사리불의 멸도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사리불의 멸도 2


[사리불의 멸도 2]
舍利弗이 大衆 中에 偈로 닐오 내 부텻 相 보 주001)
보:
뵈옵건대.
紫金山 주002)
자금산:
자마황금산. 자색을 띤 황금산.
이 시니 相 됴신 주003)
됴신:
좋으신. 둏-[好]+시/으시+ㄴ.
주004)
한:
많은. 하-[多]+ㄴ.
德이 滅시고 오직 일분 겨시리로소니 주005)
겨시리로소니:
계실 것이니. 겨시-+리+돗+오+니. ‘-돗-’은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포함하고 있는 ‘-리-’ 뒤에서 ‘-롯-’으로 교체됨. ‘-도소-’ 전체를 하나의 어미로 보기도 함.
모로매 주006)
모로매:
모름지기.
精進 주007)
정진:
마음을 북돋아 도에 나아가는 것.
 브즈러니 야 三界예 나 리라 한 됴 業을 야 주008)
야:
가리어. 분별하여. -[擇].
보니 涅槃이 주009)
:
가장. 부사.
便安니라 고 큰 神力을 내야 모미 虛空애 올아 變化

월인석보 20:31ㄱ

즈믄 주010)
즈믄:
천. 즈믄[千].
寶象 지니 모미  서르 얼거 어울오 주011)
어울오:
합해지고. 어울-[合]+고(대등적 연결어미).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되어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됨.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지 않는다.
즈믄 머리 밧로 주012)
밧로:
밖으로. [外]+으로.
向니 象마다 다 닐굽 어미오 주013)
어미오:
어금니이고. 엄[牙]+이+고/오(대등적 연결어미).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되어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됨.
엄 우마다 닐굽 모시오 못마다 닐굽 蓮花ㅣ오 花臺 우희 닐굽 化佛 주014)
화불:
임시 모습을 취하여 나타난 부처님.
이시고 化佛마다 다 뫼 주015)
뫼:
모신. 뫼-[陪]+(주체겸양 선어말어미)+.
舍利弗이 잇고 舍利弗마다 큰 光明을 펴아 十方 無量 恒沙 世界 너비 주016)
너비:
널리. 넙-+이(부사파생접미사). ‘넙-+의(명사파생접미사)’로 구성된 ‘너븨’는 파생명사. 이른바 척도형용사들의 파생에서 이런 대립이 나타난다. ‘기리 : 기릐, 기피 : 기픠, 노피 : 노’ 등.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이 있었다.
비취여 因緣 잇니 주017)
잇니:
있는 이를. 잇-++ㄴ+이(의존명사)+.
머리 브르니 因緣 잇니 다 몯거늘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사리불의 멸도 2]
사리불이 대중 중에서 게로 이르되, “내가 부처님의 상을 뵈니까 자금산과 같으시니, 상 좋으신 많은 덕이 멸하시고 오직 이름만 계시리니, 모름지기 정진을 부지런히 하여 3계에 나야 하리라. 많은 좋은 업을 가리어 보니, 열반이 가장 편안하니라.” 하고 큰 신통력을 내어 몸이 허공에 올라 변화로 천의 보상[보배로 된 코끼리]을 지으니, 몸이 함께 서로 얽혀 합해지고 천의 머리는 밖으로 향하니, 그 코끼리마다 다 일곱 어금니이고 어금니 위마다 일곱 못이고, 못마다 일곱 연꽃이고, 화대 위에 일곱 화불이시고 화불마다 다 모신 사리불이 있고 사리불마다 큰 광명을 펴서 시방의 무량 항사 세계를 널리 비추어 인연 있는 이를 멀리 부르니, 인연 있는 이가 다 모이거늘,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보:뵈옵건대.
주002)
자금산:자마황금산. 자색을 띤 황금산.
주003)
됴신:좋으신. 둏-[好]+시/으시+ㄴ.
주004)
한:많은. 하-[多]+ㄴ.
주005)
겨시리로소니:계실 것이니. 겨시-+리+돗+오+니. ‘-돗-’은 기원적으로 서술격조사를 포함하고 있는 ‘-리-’ 뒤에서 ‘-롯-’으로 교체됨. ‘-도소-’ 전체를 하나의 어미로 보기도 함.
주006)
모로매:모름지기.
주007)
정진:마음을 북돋아 도에 나아가는 것.
주008)
야:가리어. 분별하여. -[擇].
주009)
:가장. 부사.
주010)
즈믄:천. 즈믄[千].
주011)
어울오:합해지고. 어울-[合]+고(대등적 연결어미).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되어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됨.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지 않는다.
주012)
밧로:밖으로. [外]+으로.
주013)
어미오:어금니이고. 엄[牙]+이+고/오(대등적 연결어미).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되어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됨.
주014)
화불:임시 모습을 취하여 나타난 부처님.
주015)
뫼:모신. 뫼-[陪]+(주체겸양 선어말어미)+.
주016)
너비:널리. 넙-+이(부사파생접미사). ‘넙-+의(명사파생접미사)’로 구성된 ‘너븨’는 파생명사. 이른바 척도형용사들의 파생에서 이런 대립이 나타난다. ‘기리 : 기릐, 기피 : 기픠, 노피 : 노’ 등.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이 있었다.
주017)
잇니:있는 이를. 잇-++ㄴ+이(의존명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