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월인천강지곡 기349~기405(57곡)
  • 월인천강지곡 기369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369


其 三百六十九
모딘 女人이 제 舍翁 주001)
사옹:
남편.
보차

월인석보 20:46ㄴ

주002)
보차아:
보채어. 보차-[惱].
太子ㅅ긔 주003)
ㅅ긔:
-께. ‘-’로 적히기도 함. ㅅ(관형격조사)+그(명사)+ㆁ(개입음)+의(부사격조사). 이 ‘-’가 ‘-께’로 변화함. /ㆁ/의 성격이 문제인데, 기원적으로는 명사 ‘’이 존재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ㅅ’은 관형격조사인데, 무정체언과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는 ‘ㅅ’이, 높임의 자질을 갖지 않은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인다.
가라 더니
탐탁 주004)
탐탁:
줏대없는(확실하지 않으나 문맥으로 보아 잠정적으로 이렇게 풀이해 둠).
波羅門이 제 가 주005)
가:
아내를. 갓[妻]+/을.
계와 太子ㅅ긔 나 오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삼백육십구
모진 여인이 제 남편을 보채어, 태자께 가라 하더니.
줏대없는(?) 바라문이 제 아내를 못 이겨, 태자께 나아오더니.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옹:남편.
주002)
보차아:보채어. 보차-[惱].
주003)
ㅅ긔:-께. ‘-’로 적히기도 함. ㅅ(관형격조사)+그(명사)+ㆁ(개입음)+의(부사격조사). 이 ‘-’가 ‘-께’로 변화함. /ㆁ/의 성격이 문제인데, 기원적으로는 명사 ‘’이 존재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ㅅ’은 관형격조사인데, 무정체언과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는 ‘ㅅ’이, 높임의 자질을 갖지 않은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인다.
주004)
탐탁:줏대없는(확실하지 않으나 문맥으로 보아 잠정적으로 이렇게 풀이해 둠).
주005)
가:아내를. 갓[妻]+/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