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2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2]
阿難묻대 주001)
묻대:
묻자오니까. 물으니까. 묻-+(주체겸양 선어말어미)+대.
부톄 니샤 디나건 몯내 주002)
몯내:
끝내 다하지 못-.
주003)
혤:
헤아릴. 혜-+ㄹ.
劫 時節에  큰 나랏 일후미 葉波ㅣ오 주004)
ㅣ오:
-이고. ‘이, ㅣ’ 아래 /ㄱ/ 약화표기.
王ㅅ 일후믄

월인석보 20:62ㄱ

濕波ㅣ러시니 正法으로 나라 주005)
나라:
나라를. 나랗+. 현대국어에서도 ‘나라가’ 대신 ‘나라이’가 노년층에서 쓰이는데, 이것은 어말 자음 ‘ㅎ’의 흔적이다.
다려 百姓을 보차디 주006)
보차디:
보채지. 괴롭히지. 현대국어의 ‘보채다’는 의미가 변화한 것.
아니시며 굴근 주007)
굴근:
큰. 굵-+/은.
臣下 四千을 두겨시며 주008)
두겨시며:
두고 계시며. 두-[置]+겨시-+며.
여 주009)
여:
예순.
小國이오 八百  주010)
:
마을을. +/을.
거느려 겨시며 큰 白象 五百 뒷더시다 주011)
뒷더시다:
두어 있으셨다. 두시었다. 두-[置]+(완료상 표지)+더+시+다.
王이 二萬 夫人 두샤  子息도 업스실 諸神이며 山川 손 주012)
손:
손수.
비르시니 주013)
비르시니:
비시니. 빌-[祈]+시/으시+니. 현대국어와 달리 어간 말음 /ㄹ/은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지 않음.
 夫人이 아기 여시 주014)
여시:
배시거늘. -[孕]+어/여+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늘. ‘-’은 ‘-거/아/어/야/여’ 없이 단독으로 나타나는 일이 없으므로 ‘-여…’을 불연속형태소로 처리하기도 한다.
王이 손 供養더시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2]
아난이 묻자오니까 부처님이 이르시되, “지난 이루 다 헤아리지 못할 겁 시절에 한 큰 나라의 이름이 섭파이고, 왕의 이름은 습파이시더니, 정법으로 나라를 다스려 백성을 괴롭히지 아니하시며 큰 신하 4천명을 두고 계시며, 예순의 작은 나라이고, 8백 마을을 거느려 계시며, 큰 백상 5백을 두시었더라. 왕이 2만 부인을 두시되, 한 자식도 없으시므로 제신이며 산천께 손수 비시니, 한 부인이 아기 배시거늘 왕이 손수 공양하시었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묻대:묻자오니까. 물으니까. 묻-+(주체겸양 선어말어미)+대.
주002)
몯내:끝내 다하지 못-.
주003)
혤:헤아릴. 혜-+ㄹ.
주004)
ㅣ오:-이고. ‘이, ㅣ’ 아래 /ㄱ/ 약화표기.
주005)
나라:나라를. 나랗+. 현대국어에서도 ‘나라가’ 대신 ‘나라이’가 노년층에서 쓰이는데, 이것은 어말 자음 ‘ㅎ’의 흔적이다.
주006)
보차디:보채지. 괴롭히지. 현대국어의 ‘보채다’는 의미가 변화한 것.
주007)
굴근:큰. 굵-+/은.
주008)
두겨시며:두고 계시며. 두-[置]+겨시-+며.
주009)
여:예순.
주010)
:마을을. +/을.
주011)
뒷더시다:두어 있으셨다. 두시었다. 두-[置]+(완료상 표지)+더+시+다.
주012)
손:손수.
주013)
비르시니:비시니. 빌-[祈]+시/으시+니. 현대국어와 달리 어간 말음 /ㄹ/은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지 않음.
주014)
여시:배시거늘. -[孕]+어/여+시(주체존대 선어말어미)+늘. ‘-’은 ‘-거/아/어/야/여’ 없이 단독으로 나타나는 일이 없으므로 ‘-여…’을 불연속형태소로 처리하기도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