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1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1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1]
나랏 주001)
나랏:
나라의. ‘-ㅅ’은 관형격조사. 무정체언과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는 ‘ㅅ’이, 높임의 자질을 갖지 않은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인다.
臣下히 太子ㅣ 白象로 怨

월인석보 20:66ㄱ

家애 布施다 듣고 다 놀라 平床애 려 디여 주002)
려디여:
내려 떨어져. 리-+어+디-+어. 합성동사.
시름야 닐오 나라히 주003)
나라히:
나라가. 나랗[國]+이. ‘나랗’은 ‘ㅎ’ 종성체언. 현대국어에서도 노년층에서는 ‘나라이, 하나이’가 쓰이는데, 이는 이 체언들이 ‘ㅎ 종성체언’이었던 사실에 말미암는다.
다 주004)
다:
다만. ‘다’도 같이 씌었음.
이 象 미더 敵國 이긔더니라 고 모다 주005)
모다:
모여. ‘몯-+아’의 활용형인데, 동사로도 쓰이고 이것이 굳어진 파생부사로도 쓰였음. 여기서는 부사. 현대국어 관형사 ‘모든’은 ‘몯-+(관형사형어미)’가 관형사로 굳어진 것이다.
王 가  太子ㅣ 나라해셔 주006)
나라해셔:
나라에서. 나랗[國]+애셔.
싸홈 이긔 象 怨讐ㅅ 나라해 布施시도소다 주007)
시도소다:
하셨습니다. -+시+돗+오++다. ‘-도소-’를 하나의 어미로 보기도 함.
王이 드르시고 잔야시 주008)
잔야시:
잠자코 계시거늘. ‘-/늘’은 ‘-거/아/어/야’ 없이 단독으로 나타나는 일이 없으므로 ‘-야…/늘’을 불연속형태소로 처리하기도 한다.
臣下ㅣ   이제 주009)
이제:
이제. 지금. 이(관형사)+제(의존명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휘 뒤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王이 天下 가져 겨샤 주010)
겨샤:
계심은. 겨시-+오/우+ㅁ+/은. 보조동사 ‘겨시-’가 ‘-어’ 뒤에 쓰인 것이 현대국어와의 차이점이다.
젼혀 이 象 히미니 太子ㅣ 怨讐ㅅ 나라해 주시니 나라 일흐실까 노니 엇뎨리잇고 주011)
엇뎨리고:
어찌하겠습니까? 엇뎨(부사)+-+리++고. ‘--’은 ‘--’의 이형태로서 의문종결어미 ‘-고, -가’ 앞에 나타남.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다.
太子ㅣ 布施 너므 주012)
너므:
너무. ‘너모’의 오기일 가능성이 있다. 이 책에는 ‘너모’(68ㄴ)가 보인다. ‘너모’는 ‘넘-+오(부사파생접미사).
샤 나랏 庫ㅣ 나날 뷔여 가니 우리 저호 주013)
저호:
두려워하되. 젛-[畏]+오/우+.
나라히며 주014)
나라히며:
나라며. ‘-이며’는 접속조사. ‘나랗’은 ‘ㅎ’ 종성체언. 현대국어에서도 노년층에서는 ‘나라이, 하나이’가 쓰이는데, 이는 이 체언들이 ‘ㅎ 종성체언’이었던 사실에 말미암는다.

월인석보 20:66ㄴ

걋 주015)
걋:
자기의. 갸[自家]. 현대국어 3인칭 높임의 ‘당신’과 같음.
妻子息 다  주실까 노이다 王이 드르시고 더욱 츠기 주016)
츠기:
측은히.
너기샤  臣下 블러 무르샤 太子ㅣ 眞實로 白象 내야 怨讐ㅅ 나라해 주니여 주017)
주니여:
주었느냐. 주-+니+어. ‘-어’는 ‘-가’와는 다른 종결어미. 현대국어의 ‘해체’ 종결어미에 해당한다.
對答 주018)
:
하오되. +(주체겸양 선어말어미)+오/우+.
眞實로 주시니다 王이 드르시고 다시 놀라 平床애 려디샤 림 몯야 주019)
림 몯야:
정신 차리지 못하여.
겨시거  믈로 려 주020)
려:
뿌려. 리-[灑].
오라거 주021)
오라거:
오래되어서야. 오라-+거+(의무, 당연). [의무], [당연],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 체언, 조사, 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가 보조사라면 ‘-거-’는 어말어미가 될 수밖에 없는데, 기원적으로 ‘-거-’는 어말어미였던 것이 선어말어미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시니 二萬 夫人도 다 츠기 너겨 더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1]
나라의 신하들이 태자가 백상을 원가에 보시했다고 듣고, 다 놀라 평상에서 떨어져 시름하여 이르기를, “나라가 다만 이 코끼리를 믿고 적국을 이겼더니라.” 하고 모두 왕께 가서 여쭈되, “태자가 나라에서 싸움에 이기는 코끼리를 원수의 나라에 보시하였습니다.” 왕이 들으시고 잠자코 계시거늘, 신하가 또 여쭈기를, “지금 왕이 천하를 가지고 계심은 전혀 이 코끼리의 힘이니, 태자가 원수의 나라에 주시니, 나라를 잃으실까 생각되오니 어찌하겠습니까? 태자가 보시를 너무 하시어 나라의 창고가 나날이 비어 가니, 우리는 두려워하되 나라이며 자기의 처자식〈까지〉를 다 남에게 주실까 〈근심〉됩니다.” 왕이 들으시고 더욱 측은히 여기시고 한 신하를 불러 무르시되, “태자가 진실로 백상을 내어 원수의 나라에 주었느냐?” 대답하오되, “진실로 주시었습니다.” 왕이 들으시고 다시 놀라 평상에서 떨어지시어 〈정신을〉 차리지 못하여 계시거늘, 찬물로 뿌려 오래되어서야 깨시니, 2만의 부인도 다 측은히 여겨 하더라.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랏:나라의. ‘-ㅅ’은 관형격조사. 무정체언과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는 ‘ㅅ’이, 높임의 자질을 갖지 않은 유정체언에는 ‘-/의’가 쓰인다.
주002)
려디여:내려 떨어져. 리-+어+디-+어. 합성동사.
주003)
나라히:나라가. 나랗[國]+이. ‘나랗’은 ‘ㅎ’ 종성체언. 현대국어에서도 노년층에서는 ‘나라이, 하나이’가 쓰이는데, 이는 이 체언들이 ‘ㅎ 종성체언’이었던 사실에 말미암는다.
주004)
다:다만. ‘다’도 같이 씌었음.
주005)
모다:모여. ‘몯-+아’의 활용형인데, 동사로도 쓰이고 이것이 굳어진 파생부사로도 쓰였음. 여기서는 부사. 현대국어 관형사 ‘모든’은 ‘몯-+(관형사형어미)’가 관형사로 굳어진 것이다.
주006)
나라해셔:나라에서. 나랗[國]+애셔.
주007)
시도소다:하셨습니다. -+시+돗+오++다. ‘-도소-’를 하나의 어미로 보기도 함.
주008)
잔야시:잠자코 계시거늘. ‘-/늘’은 ‘-거/아/어/야’ 없이 단독으로 나타나는 일이 없으므로 ‘-야…/늘’을 불연속형태소로 처리하기도 한다.
주009)
이제:이제. 지금. 이(관형사)+제(의존명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휘 뒤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010)
겨샤:계심은. 겨시-+오/우+ㅁ+/은. 보조동사 ‘겨시-’가 ‘-어’ 뒤에 쓰인 것이 현대국어와의 차이점이다.
주011)
엇뎨리고:어찌하겠습니까? 엇뎨(부사)+-+리++고. ‘--’은 ‘--’의 이형태로서 의문종결어미 ‘-고, -가’ 앞에 나타남. ‘-고’는 의문과 관련된 어사가 있는 문장에 쓰이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고, ‘-가’는 의문의 어사가 없는 의문문에 쓰여 가부의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다.
주012)
너므:너무. ‘너모’의 오기일 가능성이 있다. 이 책에는 ‘너모’(68ㄴ)가 보인다. ‘너모’는 ‘넘-+오(부사파생접미사).
주013)
저호:두려워하되. 젛-[畏]+오/우+.
주014)
나라히며:나라며. ‘-이며’는 접속조사. ‘나랗’은 ‘ㅎ’ 종성체언. 현대국어에서도 노년층에서는 ‘나라이, 하나이’가 쓰이는데, 이는 이 체언들이 ‘ㅎ 종성체언’이었던 사실에 말미암는다.
주015)
걋:자기의. 갸[自家]. 현대국어 3인칭 높임의 ‘당신’과 같음.
주016)
츠기:측은히.
주017)
주니여:주었느냐. 주-+니+어. ‘-어’는 ‘-가’와는 다른 종결어미. 현대국어의 ‘해체’ 종결어미에 해당한다.
주018)
:하오되. +(주체겸양 선어말어미)+오/우+.
주019)
림 몯야:정신 차리지 못하여.
주020)
려:뿌려. 리-[灑].
주021)
오라거:오래되어서야. 오라-+거+(의무, 당연). [의무], [당연],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 ‘-’는 체언, 조사, 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가 보조사라면 ‘-거-’는 어말어미가 될 수밖에 없는데, 기원적으로 ‘-거-’는 어말어미였던 것이 선어말어미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