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보은경 설법 ①
  • 보은경 설법 2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은경 설법 2


[보은경 설법 2]
菩薩 摩訶薩 주001)
마하살:
보살의 존칭.
三萬八千 사과  잇더시니 이 菩薩히 오래 德本 주002)
덕본:
덕의 근본. 공덕.
심거 주003)
심거:
심어. -[植]+아/어.
無量 百千 주004)
백천:
많은 수를 이름.
萬億 諸佛 주005)
:
-께. ㅅ(관형격조사. 높임 표시)+그/(명사)+의(부사격조사). 이 ‘-’가 ‘-께’로 변화함. /ㆁ/의 성격이 문제인데, 기원적으로는 명사 ‘’이 존재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녜 주006)
녜:
늘. 항상. ‘녜’는 한자어(常例)이지만, 대개 훈민정음으로 적혔음.
梵行 닷가 주007)
닷가:
닦아. -[修]+아/어.
큰 願을

월인석보 20:9ㄴ

일워 주008)
일워:
이루어. 일-[成]+우(사동접미사)+아/어.
百千 禪定 주009)
선정:
정신을 통일하고 안정시킴.
陁羅尼 주010)
다라니:
부처님 가르침의 핵심으로 신비적인 힘을 지니고 있다고 믿는 주문.
 다 能히 通達야 大悲 리디 아니야 衆生 조차 能히 饒益며 三寶 니 주011)
니:
이어. -[繼]+아/어.
盛케 야 그처디디 주012)
그처디디:
끊어지지. 긏-[切, 斷]+어(보조적 연결어미)+디-(피동 보조용언)+디(보조적 연결어미). 연결어미 ‘-디’는 ‘-디’의 발달형.
아니케 며 能히 法幢 주013)
법당:
불법. 불법의 깃발.
셰여 주014)
셰여:
세워. 셔-[立]+ㅣ(사동접미사)+어.
衆生 爲야 아니 請 버디 주015)
버디:
벗이. 벋[友]+이. 근대국어 시기에 ‘벋’이 ‘벗’으로 변화함.
외야

월인석보 20:10ㄱ

大智ㅅ  주016)
:
가에. [際]+애.
다라 名稱이 너비 주017)
너비:
널리. 넙-+이(부사파생접미사). ‘넙-+의(명사파생접미사)’로 구성된 ‘너븨’는 파생명사. 이른바 척도형용사들의 파생에서 이런 대립이 나타난다. ‘기리 : 기릐, 기피 : 기픠, 노피 : 노’ 등.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이 있었다.
들이시니러니 주018)
들이시니러니:
들리시는 이(분)이더니. 듣/들-+이(피동접미사)+시++ㄴ+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더/러+니.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더-’가 ‘-러-’로 교체됨.
그 일후미 觀世音菩薩 得大勢菩薩 常精進菩薩 妙德菩薩 妙音菩薩 電光菩薩 普平菩薩 德首菩薩 須彌王菩

월인석보 20:10ㄴ

香象菩薩 大香象菩薩 持勢菩薩 越三界菩薩 常悲菩薩 寶掌菩薩 至光英菩薩 炎熾妙菩薩 寶月菩薩 大力菩薩 無量慧菩薩 跋陁

월인석보 20:11ㄱ

和菩薩
師子吼菩薩 師子作菩薩 師子奮迅菩薩 滿願菩薩 寶積菩薩 彌勒菩薩 文殊師利法王子 等이 百千 眷屬과  와 겨시며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보은경 설법 2]
보살마하살 3만8천 사람과 함께 계시더니, 이 보살들이 오래 공덕을 심어 무량 백천 만억 제불께 늘 범행을 닦아 큰 원을 이루어 백천의 선정다라니를 다 능히 통달해서 대비를 버리지 아니하여 중생을 따라 능히 요익하며 3보를 이어 성케 하여 끊어지지 아니하게 하며 능히 법당을 세워 중생들 위하여 청하지 않은 벗이 되어 큰 지혜의 끝에 다다라 이름이 널리 들리시는 이더니, 그 이름이 관세음보살, 득대세보살, 상정진보살, 묘덕보살, 묘음보살, 전광보살, 보평보살, 덕수보살, 수미왕보살, 향상보살, 대향상보살, 지세보살, 월삼계보살, 상비보살, 보장보살, 지광영보살, 염치묘보살, 보월보살, 대력보살, 무량혜보살, 발타화보살, 사자후보살, 사자작보살, 사자분신보살, 만원보살, 보적보살, 미륵보살, 문수사리법왕자 등이 많은 권속과 함께 와 계시며,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마하살:보살의 존칭.
주002)
덕본:덕의 근본. 공덕.
주003)
심거:심어. -[植]+아/어.
주004)
백천:많은 수를 이름.
주005)
:-께. ㅅ(관형격조사. 높임 표시)+그/(명사)+의(부사격조사). 이 ‘-’가 ‘-께’로 변화함. /ㆁ/의 성격이 문제인데, 기원적으로는 명사 ‘’이 존재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ㆁ’이 들어간 ‘이, 뎌, 그’는 공통적으로 [장소]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주006)
녜:늘. 항상. ‘녜’는 한자어(常例)이지만, 대개 훈민정음으로 적혔음.
주007)
닷가:닦아. -[修]+아/어.
주008)
일워:이루어. 일-[成]+우(사동접미사)+아/어.
주009)
선정:정신을 통일하고 안정시킴.
주010)
다라니:부처님 가르침의 핵심으로 신비적인 힘을 지니고 있다고 믿는 주문.
주011)
니:이어. -[繼]+아/어.
주012)
그처디디:끊어지지. 긏-[切, 斷]+어(보조적 연결어미)+디-(피동 보조용언)+디(보조적 연결어미). 연결어미 ‘-디’는 ‘-디’의 발달형.
주013)
법당:불법. 불법의 깃발.
주014)
셰여:세워. 셔-[立]+ㅣ(사동접미사)+어.
주015)
버디:벗이. 벋[友]+이. 근대국어 시기에 ‘벋’이 ‘벗’으로 변화함.
주016)
:가에. [際]+애.
주017)
너비:널리. 넙-+이(부사파생접미사). ‘넙-+의(명사파생접미사)’로 구성된 ‘너븨’는 파생명사. 이른바 척도형용사들의 파생에서 이런 대립이 나타난다. ‘기리 : 기릐, 기피 : 기픠, 노피 : 노’ 등.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이 있었다.
주018)
들이시니러니:들리시는 이(분)이더니. 듣/들-+이(피동접미사)+시++ㄴ+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더/러+니.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더-’가 ‘-러-’로 교체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