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보은경 설법 ①
  • 보은경 설법 14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은경 설법 14


[보은경 설법 14]
그 大衆 中에 七寶 蓮花ㅣ 로셔 주001)
로셔:
땅에서. 땅으로부터. +로셔. ‘-셔’는 기원적으로 ‘시-+아/어’의 구조. ‘시-’는 ‘이시-[有]’의 이형태.
외야 나니 白銀이 줄기 외오 주002)
외오:
되고. 외-+고(대등적 연결어미). 연결어미 ‘-고’의 /ㄱ/이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하여 ‘ㅇ’으로 적힘.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동화지 않는다. ‘, 애, 에, 외’ 등이 단모음화하는 것은 근대국어 말기 이후이다.
黃金이 니피 외오 甄叔迦寶 주003)
견숙가보:
보석의 이름.

월인석보 20:26ㄱ

ㅣ 臺 외오 眞珠 그므리 주004)
그므리:
그물이. 그믈[網].
次第로 莊嚴 주005)
장엄:
엄숙하게 장식함.
얫더니 釋迦如來 座로셔 니르샤 花臺 우희 오샤 주006)
오샤:
오르시어. 오-[登]+시+아/어.
結跏趺坐샤 즉재 조 주007)
조:
깨끗한. 좋-[淨].
모 뵈시니 그  가온 五趣身 뵈시고【五趣는 六趣예 修羅 말면 五趣ㅣ라 六趣 주008)
육취:
지옥, 아귀, 축생, 수라, 인간, 천상.
仙道 주009)
선도:
천상과 인계의 두 세계.
조면 七趣ㅣ라】

월인석보 20:26ㄴ

身마다 一萬八千 가짓 시고 주010)
시고:
모양이시고. [姿]+ㅣ(서술격조사)+시+고. ‘’는 한자어이면서도 거의 훈민정음으로 적힘.
마다 百千 가짓 모 뵈시고  가온마다  無量 恒河沙 等 모미 겨시고  가온마다  四天下 大地 微塵 等 모 뵈시고【微塵  주011)
:
가는. 가-[細].
드트리니 주012)
드트리니:
티끌이니. 드틀[塵].
四天下 大地 微塵 四天下 큰  아 주013)
아:
부수어. -[碎]+아→아→아. 사전에서 ‘다’를 기본형으로 등재하였으나, 오류이다.

월인석보 20:27ㄱ

 드트리 외의 주014)
외의:
되게. 외-+긔. 연결어미 ‘-긔’는 ‘-게’와 기능이 동일함. ‘-긔’의 /ㄱ/이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하여 ‘ㅇ’으로 적힘.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동화하지 않는다.
욘 주015)
욘:
한. -+[j]+오/우+ㄴ. [j]는 모음충돌을 막기 위해 개입된 개입된 반자음. ‘욘’ 외에 /ㆍ/ 가 탈락한 ‘혼’도 씌었음. ‘, 애, 에, 외’ 등이 단모음화하는 것은 근대국어 말기 이후이다.
數ㅣ라】
微塵  가온마다  三千大千世界 주016)
삼천대천세계:
고대 인도의 세계관에 따른 전우주. 수미산을 중심으로 4대주가 있고 그 주변에 9산 8해가 있는 우리가 사는 곳을 하나의 소세계라 하고, 이 소세계를 천개 합한 것이 1소천세계, 이를 천 개 합한 것이 1중천세계, 이를 다시 천 개 합한 것을 1대천세계라 하고 이 소, 중, 대의 천세계로 이루어진 것이 3천대천세계임.
微塵等 모 뵈시고 드틀  가온마다  十方 뵈샤 方面마다 各各 百千億 주017)
백천억:
매우 많은 수.
諸佛世界 微塵等 數엣 모미시며 虛空 法界 不

월인석보 20:27ㄴ

思議 衆生 等 몸 니르리 주018)
니르리:
이르게. 이르도록. 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파생접미사 또는 부사형어미).
뵈시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보은경 설법 14]
그때에 대중 중에 7보 연화가 땅에서 생겨나니, 백은이 줄기가 되고 황금이 잎이 되고 견숙가보가 받침이 되고 진주 그물이 차례로 장식되어 있더니, 석가여래께서 자리에서 일어나시어 꽃받침 위에 오르시어 결가부좌하시고 곧 깨끗한 몸을 보이시니, 그 몸 가운데 5취신을 보이시고【5취는 6취에서 수라를 빼면 5취이다. 6취에 선도를 따르게 하면(선도까지 더하면) 7취이다.】 취신마다 1만8천 가지의 모양이시고 모양마다 수많은 종류의 몸을 보이시고, 몸 가운데마다 또 무량한 항하사 등의 몸이 계시고, 몸 가운데마다 또 4천하 대지미진 등〈만큼〉의 몸을 보이시고【미진은 가는 티끌이니, 4천하 대지미진은 4천하 큰 땅을 부수어 가는 티끌이 되게 한 〈만큼의〉 수이다.】 미진의 몸 가운데마다 또 3천대천세계 미진 등의 몸을 보이시고 티끌 몸 가운데마다 또 시방을 보이시되, 방면마다 각각 백천억 제불세계 미진 등 수의 몸이시며 허공 법계 불가사의 중생 등의 몸에 이르기까지 보이셨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로셔:땅에서. 땅으로부터. +로셔. ‘-셔’는 기원적으로 ‘시-+아/어’의 구조. ‘시-’는 ‘이시-[有]’의 이형태.
주002)
외오:되고. 외-+고(대등적 연결어미). 연결어미 ‘-고’의 /ㄱ/이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하여 ‘ㅇ’으로 적힘.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동화지 않는다. ‘, 애, 에, 외’ 등이 단모음화하는 것은 근대국어 말기 이후이다.
주003)
견숙가보:보석의 이름.
주004)
그므리:그물이. 그믈[網].
주005)
장엄:엄숙하게 장식함.
주006)
오샤:오르시어. 오-[登]+시+아/어.
주007)
조:깨끗한. 좋-[淨].
주008)
육취:지옥, 아귀, 축생, 수라, 인간, 천상.
주009)
선도:천상과 인계의 두 세계.
주010)
시고:모양이시고. [姿]+ㅣ(서술격조사)+시+고. ‘’는 한자어이면서도 거의 훈민정음으로 적힘.
주011)
:가는. 가-[細].
주012)
드트리니:티끌이니. 드틀[塵].
주013)
아:부수어. -[碎]+아→아→아. 사전에서 ‘다’를 기본형으로 등재하였으나, 오류이다.
주014)
외의:되게. 외-+긔. 연결어미 ‘-긔’는 ‘-게’와 기능이 동일함. ‘-긔’의 /ㄱ/이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하여 ‘ㅇ’으로 적힘.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동화하지 않는다.
주015)
욘:한. -+[j]+오/우+ㄴ. [j]는 모음충돌을 막기 위해 개입된 개입된 반자음. ‘욘’ 외에 /ㆍ/ 가 탈락한 ‘혼’도 씌었음. ‘, 애, 에, 외’ 등이 단모음화하는 것은 근대국어 말기 이후이다.
주016)
삼천대천세계:고대 인도의 세계관에 따른 전우주. 수미산을 중심으로 4대주가 있고 그 주변에 9산 8해가 있는 우리가 사는 곳을 하나의 소세계라 하고, 이 소세계를 천개 합한 것이 1소천세계, 이를 천 개 합한 것이 1중천세계, 이를 다시 천 개 합한 것을 1대천세계라 하고 이 소, 중, 대의 천세계로 이루어진 것이 3천대천세계임.
주017)
백천억:매우 많은 수.
주018)
니르리:이르게. 이르도록. 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파생접미사 또는 부사형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