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5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5]
太子ㅣ 妃子 …
리 주001)
리:
빨리.
니러 내 말 드르라 주002)
드르라:
들어라. 듣-/들-[聞]+으라.
나 내티샤 주003)
내티샤:
내치시어. 내쫓으시어.
檀特山中…
두  가 이시라 주004)
이시라:
있어라. 잇/이시-[有]+라. 일반적으로 자음 앞에서는 ‘잇-’이, 모음 앞에서는 ‘이시-’가 쓰임.
시다 주005)
시다:
하신다. -+시++다.
妃…
ㅣ 놀라 니러 무로 주006)
무로:
묻되. 묻/물-[聞]+오/우+. ‘ㄷ’ 불규칙동사.
므 주007)
므:
무슨. 관형사로도 쓰이고 대명사로도 쓰임.
罪…
王이 이리록 시니…
ㅣ 닐오 布施 너모…
藏이 뷔오 주008)
뷔오:
비고. 뷔-[虛]+고/오.
怨讐ㅅ …
象 준 다로 주009)
다로:
탓으로. 닷[尤]+로/으로.
王 …
모다 怒샤 내…

월인석보 20:69ㄱ

ㅣ 닐오 나라
과 臣下콰 주010)
콰:
-들과. +과. 현대국어 ‘-들’은 접미사로 간주되나, 중세국어의 ‘’은 명사였을 가능성이 있다.
멸오 便安실
브즈러니 주011)
브즈러니:
부지런히.
太子ㅣ 닐오 사미
므여 주012)
므여:
무서운. 므-[畏]+/은. ‘--’은 형용사파생접미사. 동사 ‘므-’가 확인되지 않으나, 현대 경상도 방언의 ‘무시라(=무서워라)’가 이의 발달형으로 보인다.
해  가죠미 주013)
가죠미:
가짐이. 가지-[持]+오/우+ㅁ+이.
니 버미며 일히며 모딘  주014)
:
짐승이. [衆生, 獸].
여니라 그듸 憍慢
樂이 커니 주015)
커니:
익히니. -[習]+거니. 문맥으로 보아서 ‘-[習]’로 봄.
어드리 주016)
어드리:
어떻게. 어찌.
이
그듸 宮中에 이셔 주017)
이셔:
있어. 이시/잇-+어/아. ‘이시-’는 모음 앞에서, ‘잇-’은 자음 앞에서 쓰임.
즘 주018)
즘:
칸막이 휘장. ‘대 예 즘 디허 리워 두고 (이륜 15)’
보라 주019)
보라:
부드러운. 보-[軟]+/은. 불규칙적 어근 ‘보들’에 형용사파생접미사 ‘--’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파생형용사.
옷 닙고 이 주020)
이:
좋은. 착한. 읻-[善]+/은.
 먹더니 이제 뫼해 주021)
뫼해:
산에. 묗[山].
가면
프귀오 주022)
프귀오:
푸성귀이고. 프귀+∅(서술격조사)+고/오. 서술격조사 뒤에서 ‘-고’의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되어, ‘ㅇ’으로 적힘. 이 ‘ㅇ’은 자음이므로 모음동화되어 ‘요’로 적히지 않음.
먹논 거시 나못 주023)
나못:
나무의. /나모+ㅅ. 관형격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유정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여르
듸 어드리 즐기시리 주024)
즐기시리:
즐기시겠소. 즐기-[樂]+시+리. ‘-리’는 흔히 반말체로 간주됨. 간접화법으로 보임.
 □□□□

월인석보 20:69ㄴ

울에며 주025)
울에며:
우레이며. 울에[雷]+이며(접속조사). 울에〉우레〉우뢰(雨雷). 이 어휘는 원래 ‘울-[鳴]+에(명사파생접미사)’로 구성된 고유어인데, 언중들이 한자어로 착각하여 ‘우뢰’가 형성됨.
번게며 안개며 이스□□□□
면  주026)
:
매우. 심하게. ‘’은 이처럼 부사 외에 명사, 조사로도 씌었음.
칩고 주027)
칩고:
춥고. -[寒]+고.
더면 주028)
더면:
더우면. -[暑]+면/으면.
 덥□□□
서리예 브터 이 주029)
이:
이시-+오/우+ㅭ.
주030)
:
가. +∅(주격조사).
업거늘
돌무적과 주031)
돌무적과:
돌무더기와.
쏘ᇙ 벌에 주032)
 벌에:
쏘는 벌레가. 벌에[虫]+∅(주격조사). ‘ㅭ’은 시제와 무관하게 쓰이기도 함. 이런 경우를 ‘절대시제’라 함.
잇 해
시리 주033)
시리:
참으시리. -[忍].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5]
태자가 태자비 … 되, 빨리 일어나서 내 말을 들으라. … 나를 내쫓으시어 … 단특산 속 … 두 해를 가 있으라 하신다. 비 … 가 놀라 일러 묻되, 무슨 죄 … 왕께서 이토록 하십니 … 자가 이르되, 보시를 너무 … 장이 비고 원수의 … 코끼리를 준 탓으로 왕 … 모두 원망하시어 내 …
… 자가 이르되, 나라 … 왕과 신하들과 … 부유하고 편안하실 … 가 부지런히 … 태자가 이르되, 사람이 … 면 무서운 땅에 마음가짐이 … 니, 범이나 이리나 사나운 짐승이 … 무서우니라. 그대는 교만 … 악이(에) 익숙하니, 어찌 이를 … 그대는 궁중에 있어서 휘장 … 부드러운 옷 입고, 좋은 음 … 껏 먹었는데, 이제 산에 가면 … 푸성귀이고 먹는 것이 나무 열매 … 듸 어찌 즐기시리오. 또 바르 …
… 우레며 번개며 안개며 이슬 … 추우면 매우 춥고 더우면 매우 덥 … 서리에 붙어 있을 데가 없거늘 돌무더기와 쏘는 벌레 있는 땅에 … 어찌 참으시리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리:빨리.
주002)
드르라:들어라. 듣-/들-[聞]+으라.
주003)
내티샤:내치시어. 내쫓으시어.
주004)
이시라:있어라. 잇/이시-[有]+라. 일반적으로 자음 앞에서는 ‘잇-’이, 모음 앞에서는 ‘이시-’가 쓰임.
주005)
시다:하신다. -+시++다.
주006)
무로:묻되. 묻/물-[聞]+오/우+. ‘ㄷ’ 불규칙동사.
주007)
므:무슨. 관형사로도 쓰이고 대명사로도 쓰임.
주008)
뷔오:비고. 뷔-[虛]+고/오.
주009)
다로:탓으로. 닷[尤]+로/으로.
주010)
콰:-들과. +과. 현대국어 ‘-들’은 접미사로 간주되나, 중세국어의 ‘’은 명사였을 가능성이 있다.
주011)
브즈러니:부지런히.
주012)
므여:무서운. 므-[畏]+/은. ‘--’은 형용사파생접미사. 동사 ‘므-’가 확인되지 않으나, 현대 경상도 방언의 ‘무시라(=무서워라)’가 이의 발달형으로 보인다.
주013)
가죠미:가짐이. 가지-[持]+오/우+ㅁ+이.
주014)
:짐승이. [衆生, 獸].
주015)
커니:익히니. -[習]+거니. 문맥으로 보아서 ‘-[習]’로 봄.
주016)
어드리:어떻게. 어찌.
주017)
이셔:있어. 이시/잇-+어/아. ‘이시-’는 모음 앞에서, ‘잇-’은 자음 앞에서 쓰임.
주018)
즘:칸막이 휘장. ‘대 예 즘 디허 리워 두고 (이륜 15)’
주019)
보라:부드러운. 보-[軟]+/은. 불규칙적 어근 ‘보들’에 형용사파생접미사 ‘--’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파생형용사.
주020)
이:좋은. 착한. 읻-[善]+/은.
주021)
뫼해:산에. 묗[山].
주022)
프귀오:푸성귀이고. 프귀+∅(서술격조사)+고/오. 서술격조사 뒤에서 ‘-고’의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되어, ‘ㅇ’으로 적힘. 이 ‘ㅇ’은 자음이므로 모음동화되어 ‘요’로 적히지 않음.
주023)
나못:나무의. /나모+ㅅ. 관형격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유정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24)
즐기시리:즐기시겠소. 즐기-[樂]+시+리. ‘-리’는 흔히 반말체로 간주됨. 간접화법으로 보임.
주025)
울에며:우레이며. 울에[雷]+이며(접속조사). 울에〉우레〉우뢰(雨雷). 이 어휘는 원래 ‘울-[鳴]+에(명사파생접미사)’로 구성된 고유어인데, 언중들이 한자어로 착각하여 ‘우뢰’가 형성됨.
주026)
:매우. 심하게. ‘’은 이처럼 부사 외에 명사, 조사로도 씌었음.
주027)
칩고:춥고. -[寒]+고.
주028)
더면:더우면. -[暑]+면/으면.
주029)
이:이시-+오/우+ㅭ.
주030)
:가. +∅(주격조사).
주031)
돌무적과:돌무더기와.
주032)
 벌에:쏘는 벌레가. 벌에[虫]+∅(주격조사). ‘ㅭ’은 시제와 무관하게 쓰이기도 함. 이런 경우를 ‘절대시제’라 함.
주033)
시리:참으시리. -[忍].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