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4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4]
太子ㅣ 져믄 주001)
져믄:
젊은. 어린. 졂-[少, 幼].
주002)
:
때. ‘(명사)+의(조사)’가 재구조화되어 명사로 씌었음.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임.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브터 주003)
브터:
부터.
사미며 주004)
사미며:
‘-이며’는 접속 조사.
게 布施 즐겨 願호 衆生이 녜 福 얻게 코져 주005)
코져:
하고자. +고+지+어→코져. 모음 /ㆍ/가 탈락하면서 /ㅎ/과 /ㄱ/이 축약됨.
더니 라거늘 妃子 드리니 주006)
드리니:
맞아들이니. 들-[入]+이(사동접미사)+니.
일후미 曼坁러니 國王 주007)
ㄱ:
-의. 관형격조사. 선행 체언의 말음이 연구개 유성음 /ㆁ/이므로 ‘ㄱ’이 쓰임. 이를 흔히 사잇소리를 표기한 것으로 보는데, 구(句)에서는 사잇소리 현상을 인정하기 어렵다.
리러라 주008)
리러라:
딸이더라. 딸이었다. [女息]+이+더/러+라.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더-’가 ‘-러-’로 ‘-도-’가 ‘-로-’로, ‘-오/우-’가 ‘-로-’로, ‘-다’가 ‘-라’로 교체된다. 한편 ‘-더-’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오 교체된다.
 주009)
:
모양이. (樣姿)+ㅣ. 한자로 적지 않고 한글로 적은 것은 이 어휘가 국어에 크게 동화되었음을 시사함.
端正고 金銀 琉璃 雜寶 瓔珞로 며 니더니 오누의 나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4]
태자가 어릴 때부터 사람이며 짐승들에게 보시〈하기〉를 즐겨서 원하되 중생이 늘 복을 얻게 하고자 하더니, 자라거늘 태자비를 맞아들이니 이름이 만지이더니, 국왕의 딸이었다. 모양이 단정하고 금, 은, 유리, 잡보, 영락으로 꾸미고 다니더니, 오누이를 낳았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져믄:젊은. 어린. 졂-[少, 幼].
주002)
:때. ‘(명사)+의(조사)’가 재구조화되어 명사로 씌었음. ‘-/의’는 형태는 관형격조사이나 기능은 부사격조사임.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조사를 취하는 체언은 정해져 있는데, 대개 ‘시간, 처소, 방향’을 나타내는 어휘들이 이런 경향을 보인다.
주003)
브터:부터.
주004)
사미며:‘-이며’는 접속 조사.
주005)
코져:하고자. +고+지+어→코져. 모음 /ㆍ/가 탈락하면서 /ㅎ/과 /ㄱ/이 축약됨.
주006)
드리니:맞아들이니. 들-[入]+이(사동접미사)+니.
주007)
ㄱ:-의. 관형격조사. 선행 체언의 말음이 연구개 유성음 /ㆁ/이므로 ‘ㄱ’이 쓰임. 이를 흔히 사잇소리를 표기한 것으로 보는데, 구(句)에서는 사잇소리 현상을 인정하기 어렵다.
주008)
리러라:딸이더라. 딸이었다. [女息]+이+더/러+라. 서술격조사 뒤에서는 ‘-더-’가 ‘-러-’로 ‘-도-’가 ‘-로-’로, ‘-오/우-’가 ‘-로-’로, ‘-다’가 ‘-라’로 교체된다. 한편 ‘-더-’ 뒤에서는 종결어미 ‘-다’가 ‘-라’오 교체된다.
주009)
:모양이. (樣姿)+ㅣ. 한자로 적지 않고 한글로 적은 것은 이 어휘가 국어에 크게 동화되었음을 시사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