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2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2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2]
妃子ㅣ 닐오
 布施샨 야로 주001)
야로:
양으로. 모양으로. (樣 : 한자어)+로/으로.
탱子ㅣ 닐오 그듸 주002)
그듸:
그대가. ‘그듸+∅(주격조사)’로 평성의 ‘듸’가 상성의 ‘:듸’로 바뀜. ‘그듸’는 현대국어 ‘자네, 당신’ 정도에 해당하는 높임의 인칭대명사로 야쎠체에 쓰임. 구어체에도 쓰인다는 점에서 현대국어 ‘그대’와는 다르다. ‘그+듸([處所])’로 구성된 말.
그리
됴타 주003)
됴타:
좋다. 둏-[好].
太子ㅣ 妃子
아기 리고 어마긔 가 가노
대 그 어머니미 몯내 슬허 겨

월인석보 20:73ㄴ

려 니샤 내 모 돌 
야 주004)
야:
같아. -[同]+아/어/야. ‘(부사)’에 ‘-’가 붙어 형용사 ‘-’가 파생되고, ‘니(+-+니)’와 같은 활용형을 ‘-+니’로 오분석하게 된 결과 새로운 어간 ‘-’이 만들어졌다. 한편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大王 셤기
만 이리 업소니 다  아
다가 나 리고 주005)
리고:
버리고. 리-[捨]+고.
가니 내
드리 야디여 주006)
야디여:
찢어져. 째어져. 야디-[裂]+아/어.
죽디 아니
息을 길어 주007)
길어:
길러. 기르-[養]+아/어.
주008)
:
겨우. 방금. 갓.
라 날 리
녀느 주009)
녀느:
여느. 다른. 딴.
夫人히 다 나 
王도 외야 주010)
외야:
다시.
나 고마티 주011)
고마티:
높이지. 공경하지. 고마-+디.
아니
리로다 하하 주012)
하하:
하늘이시여. ‘-하’는 높임의 호격조사.
내 아리 어셔
게 쇼셔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32]
태자비가 이르 … 자 보시하신 모양으로 하 … 태자가 이르기를, 그대는 그리 … 좋다, 태자가 태자비 … 아기 데리고 어머님께 가 가노 … 대 그 어머님이 못내 슬퍼하여 겨 …… 려 이르시되, 내 몸은 돌 같 … 쇠 같아서 대왕을 섬기옵 … 만한 일이 없으니, 다만 한 아들 … 다가 나를 버리고 가나니, 내 … 들이 찢어져 죽지 아니하 … 식을 길러 이제 막 자라서 나를 버리 … 딴 부인들이 다 나를 단 … 왕도 다시 나를 공경하지 아니 … 리로다. 하늘이시여, 제 아들이 어서 … 게 하소서.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야로:양으로. 모양으로. (樣 : 한자어)+로/으로.
주002)
그듸:그대가. ‘그듸+∅(주격조사)’로 평성의 ‘듸’가 상성의 ‘:듸’로 바뀜. ‘그듸’는 현대국어 ‘자네, 당신’ 정도에 해당하는 높임의 인칭대명사로 야쎠체에 쓰임. 구어체에도 쓰인다는 점에서 현대국어 ‘그대’와는 다르다. ‘그+듸([處所])’로 구성된 말.
주003)
됴타:좋다. 둏-[好].
주004)
야:같아. -[同]+아/어/야. ‘(부사)’에 ‘-’가 붙어 형용사 ‘-’가 파생되고, ‘니(+-+니)’와 같은 활용형을 ‘-+니’로 오분석하게 된 결과 새로운 어간 ‘-’이 만들어졌다. 한편 이 ‘-’은 음절말에서는 8종성표기법에 의해 ‘-’으로 적힌다.
주005)
리고:버리고. 리-[捨]+고.
주006)
야디여:찢어져. 째어져. 야디-[裂]+아/어.
주007)
길어:길러. 기르-[養]+아/어.
주008)
:겨우. 방금. 갓.
주009)
녀느:여느. 다른. 딴.
주010)
외야:다시.
주011)
고마티:높이지. 공경하지. 고마-+디.
주012)
하하:하늘이시여. ‘-하’는 높임의 호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