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본생담]
  •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5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5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5]

월인석보 20:107ㄱ

월인석보 20:107ㄴ

월인석보 20:108ㄱ

월인석보 20:108ㄴ

월인석보 20:109ㄱ

월인석보 20:109ㄴ

월인석보 20:110ㄱ

월인석보 20:110ㄴ

월인석보 20:111ㄱ

들 거스디 아니호리니 므슷 주001)
므슷:
무슨.
이 願다 주002)
다:
-하느냐? -++ㄴ다.
湏闍提  父母ㅣ 이제 날옷 주003)
날옷:
나를. 나+ㄹ(목적격조사)+곳/옷(강세 보조사). ‘ㅇ’은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원칙적으로 연철되지 않는다.
어엿비 너기거시든 주004)
너기거시든:
여기시면. 너기-+거(확정법 선어말어미)+시+든. ‘거…든’을 불연속형태소로 처리하기도 함.
날마다 내 모매 세 斤ㅅ 고기 주005)
고기:
살이. ‘고기[肉]’가 ‘사람의 몸(살)’을 의미하기도 함. 후대에 의미 축소.
버혀 주006)
버혀:
베어. 버히-[割]+아/어.
【열 도니  兩이오 주007)
이오:
-이고.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됨. 이 때의 ‘ㅇ’은 자음.
열엿 兩이  斤이라】
기제 주008)
기제:
몫에. 깆+에(부사격조사).
호아 주009)
호아:
나누어. 호-[分]+아/어.
기란 주010)
기란:
몫일랑. 깆+란(보조사).
父母 받고 주011)
받고:
바치옵고. 받-[獻]+//+고.
 기란 내 도로 머거 내 命을 닛우리다 주012)
닛우리다:
이으리이다. 닛-[繼]+오/우+리++다. ‘닛-’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이는 능격동사.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사제 태자의 효양행 5]
“…들 거스르지 아니하리니, 무슨 일을 원하느냐?” 수사제 여쭈되, “부모님이 이제 나를 가엾게 여기시거든, 날마다 내 몸에서 세 근의 고기를 베어【열 돈이 한 냥이고, 열엿 냥이 한 근이다.】 세 몫에 나누어 두 몫은 부모님께 바치옵고, 한 몫은 제가 도로 먹어서 제 명을 잇게 하리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므슷:무슨.
주002)
다:-하느냐? -++ㄴ다.
주003)
날옷:나를. 나+ㄹ(목적격조사)+곳/옷(강세 보조사). ‘ㅇ’은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원칙적으로 연철되지 않는다.
주004)
너기거시든:여기시면. 너기-+거(확정법 선어말어미)+시+든. ‘거…든’을 불연속형태소로 처리하기도 함.
주005)
고기:살이. ‘고기[肉]’가 ‘사람의 몸(살)’을 의미하기도 함. 후대에 의미 축소.
주006)
버혀:베어. 버히-[割]+아/어.
주007)
이오:-이고.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됨. 이 때의 ‘ㅇ’은 자음.
주008)
기제:몫에. 깆+에(부사격조사).
주009)
호아:나누어. 호-[分]+아/어.
주010)
기란:몫일랑. 깆+란(보조사).
주011)
받고:바치옵고. 받-[獻]+//+고.
주012)
닛우리다:이으리이다. 닛-[繼]+오/우+리++다. ‘닛-’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이는 능격동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