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52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52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52]

월인석보 20:80ㄴ

□□□
□□□
□□□
□□□
거늘 주001)
거늘:
듯하거늘. ‘(-)’은 어간 뒤에도 쓰이고 ‘-ㄴ, -ㅭ’ 뒤에도 쓰인다. 관례에 따라 전자는 어미, 후자는 명사로 처리해 둔다. ‘(-)시’의 ‘-이’가 어미인지 접사인지 하는 문제도 결정하기 어렵다. ‘어간++이’에서는 어미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간+ㄴ(ㅭ)+(명사)+이’에서는 어미로 보기도 어렵고 접사로 보기도 어렵다.
太子
남 주002)
남:
나무를. 나모/+.
노 주003)
노:
놓는. ‘놓-[置]+’의 비음동화 표기임.

이 닐오 太子ㅅ
蒼天 주004)
창천:
푸른 하늘.
고 주005)
고:
통하고. 사무치고. -[透]+고. ‘ㅊ→ㅅ’은 8종성 표기법에 따른 것.
니르러 주006)
니르러:
이르러. 니를-[至]+아/어. 현대국어 불규칙 활용형 ‘이르러’는 ‘니를-+어→니르러’의 화석형.
布施호
아니실 주007)
아니실:
아니하시므로. 아니-+시+ㄹ.
셔 주008)
셔:
데서. 곳에서. +∅(부사격조사)+셔(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휘 뒤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셔’는 기원적으로는 ‘이시-’[有]의 이형태인 ‘시-’에 어미 ‘-어’가 결합한 것이 하나의 어미로 굳어진 것.
얻고져 주009)
얻고져:
얻고자. 얻-+(겸양 선어말어미)+고+지(원망 선어말어미)+어.
노다 주010)
노다:
하나이다. 합니다. -++오/우++다.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52]
… 유 … 듯하거늘 태자 … 나무를 더 놓는 듯하 … 이 이르기를, 태자의 … 창천에 사무치고 아 … 에 이르러 보시하 … 지 아니하시므로 먼 곳에서 … 얻잡고자 합니다.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거늘:듯하거늘. ‘(-)’은 어간 뒤에도 쓰이고 ‘-ㄴ, -ㅭ’ 뒤에도 쓰인다. 관례에 따라 전자는 어미, 후자는 명사로 처리해 둔다. ‘(-)시’의 ‘-이’가 어미인지 접사인지 하는 문제도 결정하기 어렵다. ‘어간++이’에서는 어미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간+ㄴ(ㅭ)+(명사)+이’에서는 어미로 보기도 어렵고 접사로 보기도 어렵다.
주002)
남:나무를. 나모/+.
주003)
노:놓는. ‘놓-[置]+’의 비음동화 표기임.
주004)
창천:푸른 하늘.
주005)
고:통하고. 사무치고. -[透]+고. ‘ㅊ→ㅅ’은 8종성 표기법에 따른 것.
주006)
니르러:이르러. 니를-[至]+아/어. 현대국어 불규칙 활용형 ‘이르러’는 ‘니를-+어→니르러’의 화석형.
주007)
아니실:아니하시므로. 아니-+시+ㄹ.
주008)
셔:데서. 곳에서. +∅(부사격조사)+셔(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어휘 뒤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셔’는 기원적으로는 ‘이시-’[有]의 이형태인 ‘시-’에 어미 ‘-어’가 결합한 것이 하나의 어미로 굳어진 것.
주009)
얻고져:얻고자. 얻-+(겸양 선어말어미)+고+지(원망 선어말어미)+어.
주010)
노다:하나이다. 합니다. -++오/우++다. ‘-오/우-’는 1인칭 주어와 호응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