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0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0
  • 〈협주〉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4
메뉴닫기 메뉴열기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4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4]
太子
니샨 주001)
니샨:
이르신. 니-[謂]+시+오/우+ㄴ.
마리 주002)
마리:
말이야. 말-[言]+이+(보조사). 여기의 ‘-이-’가 서술 기능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이’ 전체가 보조사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거스디 주003)
거스디:
거스르지. 거슬-[逆]++디. 치음인 /ㅿ/ 앞에서 /ㄹ/ 탈락.
니와 내 아 주004)
아:
사유(私有)의. 아[私]+ㅅ(관형격조사). 무정 체언이나 높임의 체언 뒤에는 관형격조사로 ‘-ㅅ’이 쓰임.
쳔랴 주005)
쳔랴:
재물이. 쳔+이.
잇니 布
다 고 니거지다 주006)
니거지다:
가고 싶습니다. 니-[行]+거(확정법 선어말어미)+지++다.
二萬
이 王 모다 주007)
모다:
모두. 활용형 ‘몯-+아→모다’가 부사로 굳어진 것. 현대국어 관형사 ‘모든’은 ‘몯-+(관형사형어미)’가 관형사로 굳어진 것이다.
와 請
太子 닐웻 주008)
닐웻:
이레의. 닐웨[七日]+ㅅ.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나 머
봉施게 쇼셔 王
야시 太子ㅣ 사
出令야 쳔 얻고져
오라 니 四方앳 百姓

월인석보 20:68ㄴ

오나 주009)
오나:
오거늘. 오-[來]+나/거/어+. ‘-나-’는 ‘오-’ 뒤에 쓰이는 확정법 선어말어미. ‘-거-’의 형태론적 이형태.
太子ㅣ 爲
오 쳔랴 흐터 제  주010)
:
마음껏. +ㅅ(관형격조사)+(명사). ‘’은 원래 [限]의 뜻을 지니는 명사인데, 보조사처럼 쓰이기도 함.
게 니 닐웨예 주011)
닐웨예:
이레에. 닐웨+예. ‘-예’는 ‘이’나 ‘ㅣ’ 아래 쓰이는 부사격조사.
쳔이 다…
난니 가며러 萬民…
더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수대나 태자의 보시행 14]
태자 … 되 이르신 말씀이야 거스르지 아 … 니와, 내가 사사로운 재물이 있나니, 보 … 다 하고 가고 싶습니다. 이만 … 사람이 왕께 모두 와서 청하 … 태자를 7일 동안이나 멀 … 보시하게 하소서. 왕 … 하시거늘, 태자가 사 … 명령을 내려 재물을 얻고자 … 라 하니, 서방의 백성 …
… 오거늘 태자가 위하 … 〈만〉들고 재물을 흩어 자기들 마음껏 … 게 하니, 7일만에 재물이 다 … 난하니, 부유하여 만민 … 더라.
Ⓒ 역자 | 김영배 / 2004년 11월 20일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샨:이르신. 니-[謂]+시+오/우+ㄴ.
주002)
마리:말이야. 말-[言]+이+(보조사). 여기의 ‘-이-’가 서술 기능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이’ 전체가 보조사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주003)
거스디:거스르지. 거슬-[逆]++디. 치음인 /ㅿ/ 앞에서 /ㄹ/ 탈락.
주004)
아:사유(私有)의. 아[私]+ㅅ(관형격조사). 무정 체언이나 높임의 체언 뒤에는 관형격조사로 ‘-ㅅ’이 쓰임.
주005)
쳔랴:재물이. 쳔+이.
주006)
니거지다:가고 싶습니다. 니-[行]+거(확정법 선어말어미)+지++다.
주007)
모다:모두. 활용형 ‘몯-+아→모다’가 부사로 굳어진 것. 현대국어 관형사 ‘모든’은 ‘몯-+(관형사형어미)’가 관형사로 굳어진 것이다.
주008)
닐웻:이레의. 닐웨[七日]+ㅅ.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 뒤에 쓰이는 관형격조사.
주009)
오나:오거늘. 오-[來]+나/거/어+. ‘-나-’는 ‘오-’ 뒤에 쓰이는 확정법 선어말어미. ‘-거-’의 형태론적 이형태.
주010)
:마음껏. +ㅅ(관형격조사)+(명사). ‘’은 원래 [限]의 뜻을 지니는 명사인데, 보조사처럼 쓰이기도 함.
주011)
닐웨예:이레에. 닐웨+예. ‘-예’는 ‘이’나 ‘ㅣ’ 아래 쓰이는 부사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